실크로드 이야기 이산의 책 19
수잔 휫필드 지음, 김석희 옮김 / 이산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실크로드가 조명받기 시작한 것은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실크로드의 위치는 중국으로부터 중앙아시아와 서역을 경유해 아라비아를 거쳐 로마에까지 이르는 경로이다. 이 길은 단지 떠돌이 유목민족의 여행경로 정도로 취급되어 역사의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 둔황의 석굴사원에서 천년 전의 유물과 서적이 무더기로 발굴되면서, 실크로드시대의 서막이 오르게 되었다. 둔황사원의 사적에 관련된 학문이 '둔황학'이란 독자적 학문분야로, 주변을 경로를 일컫는 '실크로드'란 명칭의 신조어가 만들어 졌을 정도로 그 반향은 엄청났다.

둔황학의 연구성과에 의해 실크로드의 역사는 주변의 역사로부터 중심의 역사로 부할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실크로드는 유목민들의 이동경로, 상인들의 활동경로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상인들의 상거래와 각 종교의 전파를 통해 동양과 서양의 문물이 교류하고 전파되는 가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불교가 바로 비단길의 통해 서역에서 들어왔고, 중국의 비단 역시 바로 이 길을 통해 로마까지 전파되었다. 약 천년 전만해도 비단길을 통한 동서문물의 교류가 활발했지만, 주변국가들의 정치적 변화와 전쟁에 의해 비단길의 이용가치가 점점 소멸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비단길 주변의 사람들은 다른 곳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야 했으며, 이 찬란한 도시 역시 사막의 모래바람에 묻히고 말았던 것이다.

이 책 수잔휫필드의 '실크로드 이야기'는 사막속에 묻혀버렸던 옛 실크로드의 화려한 과거를 부활시키고 있다. 그러나 정치사의 시각에서가 아닌 보통사람들의 삶을 통해 실크로드의 전모를 추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높이 평가할만 하다. 상인 기생 과부 승려 비구니 관료 화가 병사 목자 공주 등의 삶을 통해 실크로드의 옛 영화가 재현된다. 이들 열 사람의 이야기는 상층에서부터 하층인물까지 망라되어 있으므로 당시의 시대상 전체를 파악하는데 유감없을 정도다. 방대한 자료에 근거한 저자의 이야기 전개와 컬러삽화의 생생함은 실크로드가 바로 앞에서 펼쳐지는 듯한 신기루와도 흡사하다.

아쉬운 점은 수 많은 자료와 유적의 발굴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귀중한 유물들이 도굴꾼들에 의해 도굴되고 있다는 점이다. 도굴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해도 과언이 아닌데, 황량한 사막의 실크로드에서마저 이런 일이 벌어진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웠다. 더욱 놀라웠던 사실은 고분의 유적이 세월에 따라 훼손됨에도 불구하고 사막의 유적은 건조한 기후때문에 원형그대로 보존된다는 점이었다. 때문에 사막의 유적을 발굴할 때는 당시의 오폐물마저 그대로 보존되기 때문에 발굴에 상당한 장애가 따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역설적으로 실크로드의 역사가 완벽히 옛 모습 그대로 재현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의 교류가 단지 중국에서 로마까지 머문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아프리카까지 그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실크로드의 유적은 전세계의 유산이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중국과 한국의 고분 중 도굴이 안된 것은 채 5%마저 되지 않을 것이라 한다. 하물며 광활한 사막의 유적은 모든 도굴꾼들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을 계기로 모든 사람들이 세계문화유산의 소중함을 각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