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학사 - 개정판
이상신 지음 / 신서원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 내용의 방대함에 놀랐었다. 서양고대로부터 중세를 거쳐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역사서술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는 저자의 성실성에 대한 경이로움에서였던 것이다. 근현대의 역사서술 방식이 실증주의에 근거한 것이라든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사회경제사적 서술이 한때 유행했던 사실에 대해서는 익히 어느정도 알고 있었지만, 고대와 중세의 역사서술방식이 어떠했는가에 대해서는 솔직히 전혀 알길이 없었고 매우 궁금하던 차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던 것이다.

저자는 고대의 역사서술방식에 대해 신화적이고 영웅주의적인 서술과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와 같은 엄격한 실증주의적 방식에 근거한 것이라기 보다는 다소 허황되지만, 역사와 신화의 구분이 모호했다는 것이다. '플루타르크 영웅전'과 같은 작품이 말하자면 고대의 역사서인데 다소 황당무게한 내용도 있지만, 이러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고대인들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으며 약간이나마 생활상의 추적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중세의 역사는 '역사학 자체가 신학의 시녀'라 간주되었을 정도로, 철저히 기독교에 종속된 상태였다한다. 역시 종교와 학문간의 뚜렷한 구분이 없었던 듯 싶다. 고대 중세인들이 세계를 정말 그런 방식으로 바라보았더라면, 근현대로 접어들면서 실증주의 논리주의를 발견하게 된 것은 얼마나 엄청난 인식의 전환이었을까? 실증주의에 기반한 서술방식이 지금의 우리에겐 너무도 상식적으로 느껴지겠지만, 만약 고대인이나 중세인들이 현대의 역사책을 본다면 아마도 너무 무미건조하다고 느끼거나 아니면 다소 황당무개하다고 느꼈을지 모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