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연구
서대숙 지음 / 이론과실천 / 1985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서대숙교수의 콜롬비아 대학교 국제관계론전공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충한 저작이다. 당시 한국공산주운동사에 대한 연구가 한반도의 남쪽에서는 금기시되었고, 이렇다할 연구성과마저도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나마 미국사회에서는 반공적 분위기가 이곳보다는 덜 억압적인 실정이었고 따라서 이러한 역작이 서대숙교수에 의해 탄생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남북한전체 즉 한반도에서의 공산주의운동이 어떤 경로를 거쳐 유입되었으며 일제시기 어떤 양상으로 발전 혹은 쇠퇴해 갔는지를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이 우리에게 놀라움을 주는 이유는 기존의 한국 공산주의역사에 대한 인식상 전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있다.

즉 한국공산주의운동의 원류는 북한이 아니라 한반도의 정치적 중심지인 서울에서 발생했다는 점, 일제시기 항일독립운동의 주류로서 공산주의운동이 민족주의 못지않게 크나큰 족적을 남겼다는 점, 그리고 해방직후 한국공산주의 운동의 중심은 김일성의 평양이 아니라 박헌영의 서울에서 남북분단 후 힘의 중심이 차츰차츰 평양으로 전이돼갔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한반도의 공산주의에 대해 왜곡된 교육을 받아왔던 우리들에게 숙연함마저 느끼게 한다. 특히 일제시기 항일독립운동의 주류로서 공산주의운동이 커다란 역할을 담지했던 사실은 기존의 역사교육에 있어서는 누락되다시피 했었다. 비록 서대숙교수에 의한 이 소중한 연구성과가 현재의 역사학계에서는 진부할 정도로 반공적 관점에 입각해 있다고 평가될 지라도, 많은 일반인들이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공유함으로써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