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란 무엇인가 ㅣ 까치글방 133
E.H. 카 지음, 김택현 옮김 / 까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가는 구체적인 사료를 수집해야 한다. 그러나 단지 사실그대로의 역사를 거대한 산처럼 방만히 나열하는 것은(Ranke), 사실 개개의 중요정도를 간과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나열에 그치고마는 '의미없는 역사' 즉 무의미한 수집활동과 다를 바 없다. 그러므로 역사가는 사실에서 중요성의 정도에 따라 구체적 사실들을 추출해야할 필요성에 직면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구체적 사실들의 선별작업이 역사가의 평가에 의존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평가작업과 아울러 사실에 대한 해석에는 역사가의 주관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역사가는 사실을 해석함에 있어 당대의 사상조류 속에서 해석하거나,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지 현재를 이해하려는 도구로서 '과거의 사실'을 바라보려는 서술이 극단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역사의 객관성에 대한 중요성이 깡그리 무시되어 역사회의주의에 빠지거나 역사를 실용적인 관점에서 이용하려는 오류를 배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역사가는 객관적인 사실을 토대로 사실 그 자체에 무게를 두면서도 현재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자신의 해석을 서술해야 한다. 일종의 중용적 자세인 것이다. 이러한 작업(과거와 현재의 대화)은 단 한번의 시도로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역사가의 끊임없는 성실성에 의해 반복적으로 되풀이 되어야만 한다. 이것만이 역사의 개관성과 진실성을 담보해 줄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역사가의 의무에 의해서만이 역사의 객관성과 진실성 그리고 역사의 정의를 회복할 수 있다고 E.H Carr는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