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 - 마야문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
디에고 데 란다 지음, 송영복 편역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2년 4월
평점 :
중앙아메리카의 찬란했던 고대 문명 마야. 독특한 문화와 상형문자를 남겼고, 거대한 신전과 피라미드 등 미스터리한 유적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연대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17세기가지 번영했으며, 지역적으로는 멕시코와 과테말라 등에 속한 유카탄 반도 주위로 퍼져있다.
유명한 휴양지이기도 한 마야 문명의 중심 유카탄 반도. 16세기 스페인의 탐험가와 원주민과의 대화에서 나온 '그들이 이렇게 말하는데'라는 의미의 '시우탄'이라는 마야어가 '유카탄'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16세기 스페인(에스파니아)의 신부 디에고 데 란다가 유카탄에 최초의 주교로 파견되면서 마야는 큰 변화에 휘말린다. 란다는 마야 문명의 토착종교를 배척하기 위해 고적을 모두 불살라 버린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마야의 역사와 신화, 언드 등을 존중하면서 <유카탄 풍물지>에 남겼다고 한다. 바로 이 기록이 <란다의 유까단 견문록> 원전이다.
송영복 편역의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에서 마야 인디오들이 조각한 신상을 '악마'라고 줄곧 표현한 것을 보더라도 란다의 마야 토착신앙에 대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책은 '유까딴', '에스빠냐', '꾸스또디오(감독관)'등 원어의 발음을 그대로 사용해 본래의 의미에 가깝게 받아들여지도록 한다.

책은 원문보다 주석이 훨씬 많은 양을 차지할 정도로 친절하다. 란다의 기록에 더해 당시의 의미, 그리고 오늘날 비유까지 함께 해설을 덧붙여 마야를 알고자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유카탄 전반에 대한 묘사, 지배구조와 부족간 관계, 주요 건축물과 사료, 각종 기념물과 풍습 등 마야 인디오들에 대한 방대한 자료가 기록돼있다. 주민들이 먹는 음식, 동식물과 자연 환경 등은 물론이고 그들의 문자와 달력, 표기법까지 깊이를 더한다.
란다가 원주민 정복과 교화를 위해 정리해 보고하는 수준을 넘어 원주민의 기원과 역사를 관찰하고 기록한 책. 그래서 역자는 '청원서이자 보고서, 그리고 역사서'라고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을 정의하고 있다.

어마어마한 건축물과 제사 풍습 등 놀라운 마야의 삶과 함께 그들의 징계화 형벌에 대한 기록이 눈에 듼다. 간음을 저지른 남자와 여자에 대한 판결-여자의 남편이 용서해주면 자유가 주어지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높은 곳에서 커다란 돌은 떨어뜨려 사형에 처한다-, 과실일지라도 살인에 대한 형벌은 비록 잔혹하지만 엄격했다. 살인은 사형으로, 그게 아니면 죽음을 보상하도록 하는 형버이 그것이다.
또 '젊은이들은 노인들을 매우 존경하며 그들의 조언을 따랐다'는 대목도 흥미롭다. 때문에 노인은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생각했으며, 그들은 젊은이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물려주고 신뢰를 받았다는 기록이다. 마야의 문자, 연도계산, 달력 등은 그 의미를 곧바로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그림과 해설로 어렴풋하게나마 이해를 돕고 있다.
마야 문명의 뿌리를 파괴한 장본인이자 그 파괴대상을 상세히 기록한 견문록을 남긴 이.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은 역사의 아이러니를 담고 있다.<란다의 유까딴 견문록>을 두고 "그들 역사에서 결코 지울 수 없는 가장 큰 흉터이자 가장 극적인 순간의 생생한 증언"이라 평가한 머리말이 남는다. 마야에 대한 최초이자 거의 유일한 기록이라는 의미다.(*)
*리뷰어스 클럽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