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지구
윤재호 지음 / 페퍼민트오리지널 / 2022년 11월
평점 :
절판


점점 메마른 땅, 그 위에 살던 수많은 동식물의 멸종에 이어 급격하게 줄어든 산소량에 따라 인구의 절반마저 목숨을 잃게 된다. 지구인들이 찾은 행성은 화성, 그러나 그마저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지 못했고 결국 찾아낸 미지의 행성. 그 곳 <제3지구>에서 이야기는 출발한다.


나노메탈과 나노크리스탈 자원 덕에 첨단 기계 문명이 급격히 발전하게 된 <제3지구>. 그로부터 200년 후 기술과 마법, 인간과 기계, 그리고 미지의 문명이 충돌한다.


윤재호의 <제3지구>는 SF 액션 판타지다. 영웅의 탄생, 거대한 힘, 두려운 여정, 우림지대의 전투로 이어지는 소설은 웅장한 스케일의 공상과학 영화처럼 빠른 속도로 전개된다.


자류롭지 못한 세상을 바로 집고 스스로의 의지대로 살아야 한다는 희망은 반란군 '레볼트'를 탄생시켰고, 본격적인 끝없는 전쟁이 시작된다.


<제3지구>에서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계급이 나뉘고 극심한 양극화는 하층민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다. 노예처럼 사는 하층 구역민은 접근할 수조차 없는 중앙본부에서도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암투와 모략이 벌어진다. <제3지구>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은 욕망이 여기저기서 꿈틀댄다.


'가디언의 두 아이 중 하나가 피로 물들 세상을 구한다'


예언은 사실일까. 반은 지구인, 반은 페르다인의 피를 이어받은 해성은 고대 격투사를 연상시킬만큼 강력한 정신력과 실력을 자랑한다. 여기에 40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온 페르다 왕국 후손 아리아의 도움으로 더욱 각성하면서 <제3지구>와 미래를 지키기 위한 전투는 더욱 격렬해진다..


카이로, 벤, 렌쳉, 스카이, 울프, 헤나, 크루거, 타케시, 그리고 해성과 아리아. 반대편에 서있는 케이와 비할 등 많은 등장인물들은 서로 이어지고, 끊어지면서 독특한 매력을 발산하는 장편소설 <제3지구>다.


"인간이든 괴물이든 이 세상은 나약한 자에겐 자리가 없어. 명심해. 강한 자만이 먹히지 않아." 황제가 보낸 전함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전투가 벌어질 내일을 예고한 <제3지구>의 다음 이야기가 벌써 궁금해진다.(*)


* 리뷰어스클럽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중괴담 스토리콜렉터 104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은 밤 숲 속을 걷다 정체모를 존재를 맞닥뜨리거나, 낡은 폐가의 지하에서 음습하는 기운을 체험하게 된다면 분명 극심한 '공포'를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를 더욱 소스라치게 하는 경우는 이같은 특수한 상황과 환경이 아닌 일상에 상존하는 공포가 아니겠나. 이를테면 우리집 안방이나 화장실, 현관문 또는 매일 가야하는 학교나 회사의 복도나 엘리베이터 같은 공간이 늘상 공포의 대상이라면 이보다 더 끔찍한 일이 있을까.




미쓰다 신조(三津田信三)의 <우중괴담(원제:逢魔宿り)>은 바로 곁의 공포를 지나칠 정도로 담담하게 풀어놓는다. 그래서 더욱 기괴하고, 공포스럽다. 그의 작품에 매겨진 '대체 불가한 유일의 장르'라는 수식어는 특유의 전개와 필체에서 비롯된 것일 듯하다.


<우중괴담>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화자로 등장하는 미스터리 작가가 자신의 경험에 더해 지인으로부터 전해들은 체험을 옮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체험'임을 강조해 마치 실제 있었던 일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은거의 집(お籠りの家). '예고화(予告画)', '모 시설의 야간 경비(某施設の夜警)', '부르러 오는 것(よびにくるもの)', 그리고 앞선 네 편의 이야기가 종합적으로 연결지어지는 '우중괴담(逢魔宿り)'까지 다섯 단편으로 구성돼있다.




먼저 '은거의 집'에서 일곱살 생일을 앞둔 남자 아이는 아버지를 따라 낯선 집에 처음 보는 할머니와 일주일을 보내게 된다. 말 그대로 '은거'. 이곳에서 아이는 자신의 이름이 아닌 '도리쓰바사(鳥翼)'로 불리고, 집 울타리를 넘어설 수 없는 규칙을 따르며 '저것들'로부터 화를 피하게 된다. 도리쓰바사는 유아의 장례를 말하는데 아이의 시신을 새의 날개에 빗대어 불렀던 과거의 풍습에서 따온 이름이다.


초등학교 남자 선생님이 겪은 '예고화'는 죽은 자의 시선에서 보이는 장면을 그리는 아이, 이후 똑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기이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다. 자신이나 주위의 흉한 기운을 인지했거나, 혹은 고의로 그린 그림이 갖는 이해하기 어려운 힘을 이야기한다.


신흥종교단체에서 밤을 새며 불가의 십계(十界)를 딴 시설을 순찰하던 일화를 다룬 '모 시설의 야간 경비', 검은 끈을 타고 죽음을 부르는 그것과의 대를 이어온 인연에 대한 '부르러 오는 것'은 언제, 어디선가에서 한번쯤 들어본 듯한 느낌마저 준다.




"비가 내리고 있지 않은가. 괴담을 이야기하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상황이지."


그리고 '우중괴담'. 산책로 깊은 곳에 자리한 한 정자에서 할아버지와 그의 손녀, 아들로부터 순차적으로 듣게된 사연에 관한 내용이다. 그리고 피할 수밖에 없었던 나머지 이야기까지 이어지면서 '비가 내리는 날 고개드는 무서운 이야기'로 긴장감은 극에 달한다.


작가의 말대로 괴이한 것을 듣게 될까하는 희망, 그 괴담이 뜻밖의 앙화를 초래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두려움이 마지막 편에서 제대로 교차한다. <우중괴담>을 통해 끊임없이 느끼게 되는 감정은 '위화감'과 '기시감'이다. 이 두 요소는 독자를 더욱 공포로 몰아넣기에 충분하다.(*)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계절
이상택 지음 / 델피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택의 <우리의 계절>. 한마디로 재미있다. 


'갓 마흔 회사원의 봄', '서른다섯 교주의 여름', '스물일곱 집사의 가을', '쉰둘 환자의 겨울' 등 네 개의 단편이 이어진다. 우리의 꿈과 계절로 연결되는 흥미로운 구조를 지녔다. 오쿠다 히데오(奥田英朗)의 작품에서처럼 순수하면서 고집스러운 등장인물들이 정겹다. 특히 상당한 유머가 섞여 있어 절로 '피식' 웃음이 자주 만들어지는 작품이다.




"개지랄!"

"맞추자, 맞추자, 맞추자!"


"세상을!"

"바꾸자, 바꾸자, 바꾸자!"


사장의 선창에 따라 '갓 마흔'의 회사원은 소리친다. 오해하진 말자. '개지랄'은 분기별 타깃인 '지랄(GRAL:Gross Revenue After Loss)'의 개인 달성을 의미한다. 이 회사는 전사 실적 관리 시스템(PENIS:Performance Estimation "N'Iquiry Systerm)인 '페니스'를 독자 개발해 운영하는 훌륭한 회사다. <우리의 계절>은 이처럼 우스꽝스러운 상황도 나름 진지하게 흘러간다. '바꾸자'는 이 회사의 사장 '박구자'와도 비슷하다.


"그때의 순수함만 보여주고 싶었지만, 그 후 십 년의 그리움과 또 그 후 십 년의 아련함이 섞여 들여가는 건 어쩔 도리가 없었다." 갓 마흔의 회사원이 회사를 그만두고 첫사랑과의 은밀한 꿈을 찾아 나서기 전 야릇한 심경을 토로한다.


우주 만물의 근원으로서 '수'에 대해 논할 뿐, 절대 사이비 종교는 아니라 주장하는 '서른 다섯'의 교주는 불행했던 가족사를 극복해나간다. 짝사랑하는 빵집 주인 파티시엘과 유일한 수제자가 그가 맺은 관계의 주요 인물이다.




고양이 '묘섺이'와 완벽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스물 일곱의 집사'는 백수다. 묘쉒이와 함께 세계를 평정할 꿈을 꾸지만 그의 삶은 녹녹치 않다. 아르바이트를 하게된 동물병원 수의자이 남편에게서 '스물 일곱'은 어쩌면 자신의 무기력한 모습을 발견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그 남편은 나름 '작가'다.


"찰스 디킨스 시대에 제이디 샐린저의 출현이라고나 할까... 내 경우엔 오히려 조금은 진부해질 필요가 있어. 의도적으로 클리셰라는 조미료를 살짝 살짝 치는 거지."

"뭐래, 저 븅신 저거."


출판사로부터 외면당하고, 독자로부터 관심조차 받지 못하는 수의사 남편의 '자뻑' 평가에 가해지는 '묘쉒이'의 평가다.




책은 어느 지하철역 편의점으로 돌진한 자동차 사고로 연결된다. 그 사고를 중심으로 네 명의 주요 인물, 그리고 그들과 이어져있는 사람들이 오랜 방황과 갈등을 겪고, 결국 꿈을 향해 한발 한발 나아가는 이야기다.


흔하디 흔한 우리 주위의 사람들이 등장하고, 모두에게 지나치는 시간이 흘러간다. 출판사의 소개처럼 세상에 있는 70억 개의 꿈, 그리고 그보다 많은 수의 인연을 이야기한다. 결국은 우리의 계절처럼 모두 이어져 있음이 애틋한 책 <우리의 계절>이다.(*)


*문화충전 200%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의 손길 페르세포네 × 하데스 1
스칼릿 세인트클레어 지음, 최현지 옮김 / 해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을 넘어서는 모험, 이어지는 ‘페르세포네�하데스‘ 시리즈가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의 손길 페르세포네 × 하데스 1
스칼릿 세인트클레어 지음, 최현지 옮김 / 해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색다른 배경, 독특한 등장인물, 그리고 황홀한 사건이 이어진다. 스칼릿 세인트클레어의 장편소설 <어둠의 손길(Touch of Oarkness)>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르세포네와 하데스의 만남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가 시대와 배경을 달리 해 다시 시작된다.




"당신은 거래를 했고, 졌습니다. 당신이 조건을 이행하지 않는 이상 이 계약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지하세계를 뛰어넘는 존재이자 모든 신 중에서 가장 부자인 하데스. 뉴 그리스의 가장 인기 있는 클럽 '네버 나이트'의 소유자인 그는 이기는 내기를 좋아하며, 특히 인간의 영혼을 거는 내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여신임을 감추고 평범한 인간으로서 뉴 아테네 최고의 언론사에서 기자로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와 처음부터 마치 인간처럼 감정을 뒤섞게 된다. 하데스가 내건 조건에 따라 현실과 또 다른 세계를 오가며 그들은 얽히고 섥히길 반복하며 서로를 탐닉한다.



자신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간섭과 구속하는 어머니 데메테르로부터의 극복 과정은 페르세포네를 더욱 이해하게 한다. 봄의 여신이 만난 어둠의 신. 그가 가진 위험한 매력은 <어둠의 손길> 전반에 흐른다. 


<어둠의 손길>은 그리스 신화를 새롭게 해석한 판타지 소설로 유명하다. 신화적인 분위기 속에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시리즈에서 느꼈던 감정과 같은 로맨스 판타지가 넘쳐 나는 것이 책의 가장 큰 특징으로 느껴진다. 인간과 닮은 신들의 끈적한 사랑이라.


작가는 "페르세포네는 봄의 여신이자 궁극적으로는 지하 세계이 여왕으로서 자신의 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상상을 넘어서는 모험, 이어지는 '페르세포네×하데스' 시리즈가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