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중괴담 ㅣ 스토리콜렉터 104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22년 11월
평점 :
깊은 밤 숲 속을 걷다 정체모를 존재를 맞닥뜨리거나, 낡은 폐가의 지하에서 음습하는 기운을 체험하게 된다면 분명 극심한 '공포'를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를 더욱 소스라치게 하는 경우는 이같은 특수한 상황과 환경이 아닌 일상에 상존하는 공포가 아니겠나. 이를테면 우리집 안방이나 화장실, 현관문 또는 매일 가야하는 학교나 회사의 복도나 엘리베이터 같은 공간이 늘상 공포의 대상이라면 이보다 더 끔찍한 일이 있을까.

미쓰다 신조(三津田信三)의 <우중괴담(원제:逢魔宿り)>은 바로 곁의 공포를 지나칠 정도로 담담하게 풀어놓는다. 그래서 더욱 기괴하고, 공포스럽다. 그의 작품에 매겨진 '대체 불가한 유일의 장르'라는 수식어는 특유의 전개와 필체에서 비롯된 것일 듯하다.
<우중괴담>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화자로 등장하는 미스터리 작가가 자신의 경험에 더해 지인으로부터 전해들은 체험을 옮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체험'임을 강조해 마치 실제 있었던 일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은거의 집(お籠りの家). '예고화(予告画)', '모 시설의 야간 경비(某施設の夜警)', '부르러 오는 것(よびにくるもの)', 그리고 앞선 네 편의 이야기가 종합적으로 연결지어지는 '우중괴담(逢魔宿り)'까지 다섯 단편으로 구성돼있다.

먼저 '은거의 집'에서 일곱살 생일을 앞둔 남자 아이는 아버지를 따라 낯선 집에 처음 보는 할머니와 일주일을 보내게 된다. 말 그대로 '은거'. 이곳에서 아이는 자신의 이름이 아닌 '도리쓰바사(鳥翼)'로 불리고, 집 울타리를 넘어설 수 없는 규칙을 따르며 '저것들'로부터 화를 피하게 된다. 도리쓰바사는 유아의 장례를 말하는데 아이의 시신을 새의 날개에 빗대어 불렀던 과거의 풍습에서 따온 이름이다.
초등학교 남자 선생님이 겪은 '예고화'는 죽은 자의 시선에서 보이는 장면을 그리는 아이, 이후 똑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기이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다. 자신이나 주위의 흉한 기운을 인지했거나, 혹은 고의로 그린 그림이 갖는 이해하기 어려운 힘을 이야기한다.
신흥종교단체에서 밤을 새며 불가의 십계(十界)를 딴 시설을 순찰하던 일화를 다룬 '모 시설의 야간 경비', 검은 끈을 타고 죽음을 부르는 그것과의 대를 이어온 인연에 대한 '부르러 오는 것'은 언제, 어디선가에서 한번쯤 들어본 듯한 느낌마저 준다.

"비가 내리고 있지 않은가. 괴담을 이야기하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상황이지."
그리고 '우중괴담'. 산책로 깊은 곳에 자리한 한 정자에서 할아버지와 그의 손녀, 아들로부터 순차적으로 듣게된 사연에 관한 내용이다. 그리고 피할 수밖에 없었던 나머지 이야기까지 이어지면서 '비가 내리는 날 고개드는 무서운 이야기'로 긴장감은 극에 달한다.
작가의 말대로 괴이한 것을 듣게 될까하는 희망, 그 괴담이 뜻밖의 앙화를 초래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두려움이 마지막 편에서 제대로 교차한다. <우중괴담>을 통해 끊임없이 느끼게 되는 감정은 '위화감'과 '기시감'이다. 이 두 요소는 독자를 더욱 공포로 몰아넣기에 충분하다.(*)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