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은행의 눈으로 보라 - 주식.채권에서 M&A.LBO까지 단숨에 이해되는 금융의 논리
김지훈 지음 / 원더박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기 전까지는 엄청난 인재 풀들이 모이고, 국제 금융의 중심에 서 있었던 월스트리트가 최근에는 오히려 Entrepreneur쪽으로 인재들이 몰리고 있다. 예전만큼의 인기가 사그러든 느낌이긴 하지만, 그래도 경영/경제 쪽을 공부한 사람들에게는 항상 관심이 가는 직종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책을 투자은행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아는 은행과 투자은행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고, 자연스레 투자은행 업무에 대한 윤곽이 그려지게끔 쓰고자 하였다. 그리고 투자은행 업무의 핵심인 '가치(Value)'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게 되고, 그에 따른 M&A, LBO 분석 등 심층적인 내용도 같이 다루고자 하였다. 좀 더 쉽게 일반인들이 접근 할 수 있도록 내용을 담는게 주 목적이기 때문에, 상당히 내용이 간단한 사례를 바탕으로 쉽게 표현되어 있다. 관련 전공의 대학생 초년생 수준의 지식이면 충분히 편하게 읽을 수 있을 정도로 편하게 쓰여져 있다. 전체적인 책의 구성은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전반적으로 투자은행에 대한 정의, 그리고 역사, 은행 구분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절반 정도를 투자은행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고, 나머지 2부에서는 투자은행은 어떻게 일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가치'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2부를 중심으로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고,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라고 생각한다면 1부부터 천천히 읽어나가면 이해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을거라 생각이 든다. 


 2부에서 다뤄지는 기본적인 내용들은 대학교 수준의 재무관리(Corporate Finance)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여기에 기업가치평가(Valuation)의 내용을 포함하여 실제적으로 현업에서 활용되는 실질을 설명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에 이야기한 2가지 과목을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확실히 쉽게 내용을 머릿속에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가 결과적으로 투자은행을 소개하고, 관련 실무 이론들을 설명하면서 말하고자 한 내용은 다음의 내용처럼 정리할 수 있다. 

1. 투자은행처럼 생각하라.

2. 투자은행처럼 리스크를 관리하라.


 마지막으로 저자는 투자은행 취업을 꿈꾸는 취업준비생 및 대학생들에게 취업 노하우 관련하여 Q&A식으로 15가지를 담고 있는데 충분히 도움이 될만한 실질적인 내용들이 담겨져 있다. 관련 내용이 궁금하다면 해당부분만 찾아서 읽어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들었던 생각은, 본인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서적을 출간하려고 고민을 하고 있었다. 이 책의 저자 또한 좀 더 쉽게 표현을 하고, 좀 더 많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쓴 서적이지만, 분명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새삼 다시 느끼게 한다. 확실한 독자층을 정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반 독자들의 범위를 넓히면 해당 서적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요 전문적인 내용이 수박 겉핥기 식으로 정리되고 마무리 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독자의 범위를 해당 분야에 관심있는 중상이상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면 해당분야에 집중한 전문서적으로 탈바꿈할 수도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상황에서 전자를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기 때문에 조금 더 자세한 전문적 내용과 해당 이론 이외에 좀 더 심화된 내용을 알고자 한 사람들에게는 아쉬움이 있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항상 드는 생각이지만, 관련 유사 분야의 서적들에 대해서는 이런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이것으로 리뷰를 마칠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