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 딥 시나리오 - 긴급 수정경제전망
김광석 지음 / 지식노마드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블 딥 경제상황이라는 말을 항상 경제위기가 다가왔을때마다 접하였을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휩쓸면서 팬데믹 현상이 벌어졌다. 모든 경제상황은 마비가 되었고, 국가간 거래도 절벽상태가 되어가고 있다. 우선 '팬데믹'이라는 용어를 보면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전염병 경보 단계 중 최고 위험 등급에 해당한다. 그리스어로 'pan'은 '모두', 'demic'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책은 팬데믹이 휩쓴 상황에서 한국의 경제전망에 대해 새로운 변동성을 반영한 분석 보고서로 볼 수 있다. 경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분명 이 책을 접해서 읽고 있을거라 생각이 든다.


책은 총 5장에 걸쳐서 경제전망을 하고 있다. 1장은 아마도 가장 마지막에 써지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든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현황 data가 3.5일자인걸 보면, 해당 상황에서 전세계에 팬데믹으로 퍼질거란 가정하에 전망을 하고 있다. 2장은 전염병 바이러스에 의한 역사적 경제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14세기 페스트 - 2003년 SARS(사스) - 2015년 MERS(메르스) 사태를 기준으로 한국의 상황과 세계의 상황을 담고 있다. 3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시발점이된 중국의 경제적 위상변화를 담고 있다. 4장부터가 실질적으로 본 내용으로 보면 될 것 같다. 4장은 코로나19의 한국경제 파급 영향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GVC: Global Value Chain)의 차질을 피해가기 어려우며, 중국경제 침체는 또한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한국경제 자체적인 충격도 문제라 볼 수 있다. 국내 주력 제조업들의 생산량이 축소될 전망이며, '집객산업'은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마스크와 백신 관련 기업들은 특수를 누리는 분야로 볼 수 있다.


5장은 수정경제전망을 담고 있다. IHS마킷은 최악의 시나리오로 중국 경제성장률을 1.6%p, 세계 경제성장률을 0.3%p 하향 조정했다. 즉, 세계 경제성장률도 2019년 2.9% 수준 아래로 낮아질 전망으로 예상된다. 2020년 한국경제 수정 전망은 2019년 2% 성장률보다 낮은 1.9%로 예상되며, 더블 딥의 경제로 들어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2020년 대응전략은 총 9가지 방법론을 제시하면서 마치게 되는데 해당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민적인 조기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

2. GVC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수출시장 다변화를 본격화해야 한다.

4. 산업구조 상의 재편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5.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한다.

6. 기업들의 투자심리를 끌어올려야 한다.

7. 기업들은 경기부양책들을 활용하는 사업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8. 가계의 투자 관점에서도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9. 바이러스 검역 시스템을 완비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