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의 여자
서영은 지음 / 문학사상사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본 텍스트보다 뒤에 딸린 작품 해설이 더 재미있다. 비평가 김정란은 이 소설을 [그녀의 여자]가 아닌 [그녀의 아들]로 읽어 낸다. 중견화가인 '그녀' 현여사가 아들에 대한 근친상간적 욕망을 아들의 애인인 소연에게 투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정란의 비평이 설득력 있는 이유는 이 소설에 동성애 소재와 모순되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현여사와 그의 양아들 사이의 긴장은 소연과의 관계에서보다 더 팽팽해서 무언가 억압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한다. 영화 [페드라]가 인용되는 것도 이상하다. 페드라는 양아들을 사랑하여 파멸하는 희랍 비극의 여자 주인공이다. 결국 이 소설의 핵심 모티브는 동성애가 아니라 근친상간적 욕망이다. 현여사에게 소연은 아들 대용이며, 소연은 자기 어머니의 아들이 되어주고 싶었던 욕망을 현여사와의 관계를 통해서 충족하려 한다.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집착과 어머니에게 아들이 되어줄 수 없었던 딸의 좌절이 이 소설에서 여자들 사이의 사랑으로 탈바꿈한다는 것이 흥미롭다. 그렇다면 여기서 그녀와 그녀의 여자 사이의 사랑의 본질은 무엇일까? 이 소설을 레즈비언 소설로 볼 수 있을까?

이 소설이 그리고 있는 관계는 이성애적인 사랑법을 따르고 있으므로 레즈비언 관계라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 레즈비언 관계란 사회적으로 강제된 이성애 관계 바깥에 있기 때문이다. 레즈비언의 관계는 에로틱함이 가미된 우정에 가까워서 폭력성이나 일방성과는 다르다. 토니 모리슨이나 엘리스 워커 같은 작가들이 보여주는 여자들 사이의 사랑은 (유색인 여자로 두 번 소외된 사람들이) 서로를 보듬어 주는 것이지 상대를 파괴하는 정념이나 다른 욕망의 가면으로서의 사랑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