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이 싸운 바다 한려수도 - 개정 증보판
이봉수 지음 / 새로운사람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1.

     전쟁을 놀이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맹수의 기질을 타고났단 말인가. 무서운 일이다. 50여년간 전쟁 없이, 대신 휴전으로 전쟁에 둔감해진 한민족은 늘 전쟁 위협에 놓여 있다는 사실에 무뎌져 가고 있다. 이미 무뎌져 있다.

 

2.

    <이순신이 싸운 바다>. 한려수도를 기점으로 해서 이순신 장군의 행적을 살피는 책이다. 꼼꼼하게 씌어진 책이다. 이순신 장군 관련 역사서와 민간에서 전해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글쓴이는 남해안을 두루 다니며 수집한 자료, 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잘 정리해 놓았다.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태어난 이 책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순신 장군의 숨결을 느끼며 자랑스러운 역사의 현장을 답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길잡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2008년 4월 이봉수)

 

    <이순신이 싸운 바다>를 읽는 묘미는 아무래도 현지명과 과거의 지명을 연결해두는 친절함일 것이다. 남해는 변방이다. 변방이라 함은 곧잘 압록강, 두만강 쪽으로 오해한다. 외침이 많았던 곳, 단일민족이라 주장하며 이민족을 배척하는 자세는 곧 자신의 역사 역시 냉혈차게 밀어내는 기괴한 행동을 보인다. 경상도 사람이 진주를 거점으로 북녘은 양반들 땅이고 남녘은 상놈들 세상이라 하시했던 것 역시, 어쩌면 외침의 영향이 아니었을까. 생명이 아닌 피를 우선시한 대중심리의 결과는 처참하다.

 

     나는 글쓴이가 쓴, 이순신 장군을 기리고자, 잊지 않고 기리고자 한 의도를 충분히 이해한다. 일본의 역사왜곡이나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서도 치가 떨린다. 하지만 <이순신이 싸운 바다>에서는 내 눈에 비친 것은 이순신 장군보다는 그곳에서 살아남으려 저항했던, 이 땅의 생명들이었다. 눈 감으면 울분이 치솟고, 눈을 뜨면 하늘이 샛노래지는 생명들이다.

 

     이순신 장군이 누구를 위해서 싸워 승전했는지에 대해서 <이순신이 싸운 바다>에서는 자세히 다루고 있다. 하지만 나는 모른다. 이순신 장군이 누구를 위해 싸웠는가는 내 관심 밖이다. 귀 따갑게 들어왔던 이야기고, 초등학교 강당에 쪼그려 앉아 이순신 장군을 기리는 만화를 보면서 몸으로 익혀 왔던 교훈은 이제 소용이 없다. 달갑지 않다.

 

3.

     목동 김천손 (119쪽), 기생 월이의 전설 (80쪽) 들과 같은 이야기는 <이순신이 싸운 바다>에서 얻은 값진 보화다. 양반님네들이 천시하고, 늘 곁에 두고 품고 자던 기생이 오히려 민족을 지키는 데에 더 큰 역할을 해낸다는 사실, 예부터 그러했고 지금도 역시 그럴 것이다.

 

     '비록 내가 기녀의 몸이지만 조선은 내가 태어난 땅이고 부모의 혼이 묻혀 있는 곳이 아닌가?' (82쪽)

 

     <이순신이 싸운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의 적은 왜군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추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보 2013-05-29 1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ㅗㅕ뎐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