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크 재패니즘을 논하다
하야사카 다카시 지음, 남애리 옮김 / 북돋움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유머를 사람들은 희한하게 말한다는 것을 최근 알았다. 이 책 덕분이라 하면 과장 심하다 말씀을 하실까. 그러면 어쩌랴, 그렇게 느끼셨다면 그 감정 역시 실재하는 것이고, 나 역시 '유머'를 농담인가, 그 적합한 명칭에 대해서 고심했으니 진실일 터. 사람들은 유머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나는 추정을 하고 있었다. <재패니즘을 논하다>(이하 <일본 통찰>)을 읽으면서 의식적 엿보기를 했다. 남은 것은 무엇이냐, 없습니다. 말할까. 아니 웃음이 남았다. 양껏 웃었고 재미있었다. 하지만 단순히 웃어넘기고 '재미있다'는 식으로 기억하기에는 뭔가 미심쩍은, 아쉬운 건덕지가 남아 있다. 건덕지는 목울대, 과한 술을 마시고 토한 구토물이 걸린 목울대처럼 껄끄럽고, 불편한다.

 

    유머, 농담에 대해서 생각한다. 그것은 강한 자만의 특권인가. 그럴 수 있다 생각한다. 유머, 각박한 현실을 우스개로 넘길 수 있는 것은 현실을 다른 관점으로, 고통이지만 심각하지 않다고 여기는 사고의 차이에서 기인할 것이다. 유머, 웃어 넘기기고자 만들어낸 화법이 아닐 터, 그것은 세상은 결국 농담, 너무 심각해 말라. 눈 가까이 종이를 들이대면 숲도, 나무도 보지 못한다. 그 우려를 뛰어넘고자 유머, 농담이 있잖겠나. 물론 <일본 통찰>은 미국편보다는 수위가 낮다. 아무래도 글쓴이의 국적이 일본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추측을 해보지만, 확실치는 않다.

 

     자신이 국적을 두고 있는 나라(조국이라는 말은 삼가자)를 우스갯거리로 만들고자 한 의도는, 목적이 과연 무엇일까. '일본'이 우스갯거리로 쓰인다는 것에 글쓴이는 적잖이 자부심을 느끼는 듯한 어조가 책 곳곳에서 느껴진다. 왜일까. 강대국, 선진국이라는 허울이 이제 일본에도 허락된다는 것 때문일까. 한데 글쓴이가 보는 일본의 현실은 그닥 문문하지가 않다. 때때로 안타까워하면서 또 때때로 혐오를 드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미국편과는 달리 애정, 애국심이 느껴진다. 그렇게 읽혔다는 것은 아무래도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다른 국가에 침략 전쟁을 벌이지 않았다는 데에서 비롯되는 듯, 나는 오해를 한다. 오해가 착각을 부르기도 한다. 글쓴이의 국적 때문에 나는 이 책의 우스개가 썩 내키지 않기도 했고, 과연 미국편과 일본편의 서술방식이 썩 다르지 않음에도 오히려 미국편이 더 면밀한 느낌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가 알고 있는 정보가 전부 사실이라는 오만은 일찌감치 버렸다. 그것이야말로 바로 소시민의 특권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사실, 진실을 찾기 위해 굳이 노력할 필요가 있을까. 조선조에 천민이었을 '나'가 지금 구태여 역사를 살피고, 국제정세를 살피고, 국가간의 협약, 의정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까. 주는 대로 먹고, 부당해도 끽소리 말고 먹을 밥이라도 있으니 참말로 고맙고 황송하다고 엎드려 절해야 하지 않을까. 모르겠다. 하지만  ...

 

    유머, 농담은 강자의 이야기 방식이다.  강자란, 역시 고위직 재벌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을 살필 여력이 있는, 융통성 있는 사람이다. 융통성은 남을 위함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재패니즘을 논하다> 즉 농담으로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 그 의도가 무엇인지 간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충분히 이 책에서 원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농담으로 일본을 이해하고 말기에 일본은 한국에 위협적인 국가이다.  이어령 씨, 박경리 선생님의 일본론을 함께 살펴 읽는다면 <재패니즘>은 더욱 윤택한 글읽기로 기억될 것이다.  재미는 관심을 유발하고 여러 책으로 손을 뻗힐수록 결국 처음 읽은 책을 두드러지게 만드는 효과를 획득한다. <재패니즘>은 일본을 알고 싶어하는 한국인들에게 유용한 책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