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중국은 전통적으로 아이의 예절과 사회성 지도를강조하는 사회이다. 1949년 이전의 중국의 전통적인 양육 교재에서도 응석받이 아이에 대한 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으며, 문화혁명기에도 아이들이 조부모 손에 자라면서 응석받이가 된다고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그리고 대만에서도 응석받이버릇들이기가 양육의 큰 관심사이다.
더구나 지금의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으로 향후 20~30년 후세계경제대국으로서 발돋움하면서도 사회주의 체제의 도덕성과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는 욕심을 가지고 있다. 개방의 과정에서 중국인들은 좋은 면에서건 나쁜 면에서건 중국 아이들이미국 아이들처럼 될까봐 우려한다. 그들은 창의성을 중시하는미국의 개인주의에 관심을 갖는다. 그러면서도 그것이 사회주의를 위협하는 요소가 될까봐 두려워한다.
부모들은 머리로는 아이를 응석받이로 키우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막상 자기 자녀에게는 그게 쉽지 않다. 그리고는 아이의 응석을 받아주고 밀착되고자 하는 욕망과 한편으로는 아이에게 인내심과 자신감을 길러줘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리고는 자신들이 아이의 장래를 그르치지 않았나 하는 불안과 죄책감을 느끼기도 한다.
아이들이 형제자매 없이 자라면 동료시민과 형제자매처럼협동하며 살 수 있을까? 자기자신밖에 모르는 이기적이고 비사회적인 인간이 되어 사회주의 혁명에 반대하는 사람이 되지는않을까? 결국 이런 응석받이 세대가 지난 30년간 중국 사회주의의 성과를 뒤집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런 염려는 오늘날의중국사회에 광범하게 만연되어 있다. 그래서 부모들은 원대하고 장기적인 사회의 요구보다 사랑스러운 자녀들의 순간적인요구를 너무 자주 받아들여 줌으로써 자녀를 훈련시키는데 실패하고 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로끼(4살)란 아이가 유독 수업시간 내내 말썽을 피웠다. 참관하던 미국인 교사들은, 이 아이가 어긋난 행동을 하는 것은 다른 아이들보다 영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래서 일본인 교사들에게자신들의 의견을 이야기하였다미국인 교사 히로끼는 다른 아이들보다 과제를 빨리 끝내며, 노래를 많이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눈에는 총기가 엿보이며, 활기가 넘치고 행동은 민첩합니다. 분명 이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영리하고 ‘선천적으로 지능이 뛰어나(gifted)‘ 보입니다. 이런 아이들은쉽게 학교생활에 싫증을 낸답니다. 또 선생님과 다른 아이들을 자극하려고 문제행동을 한답니다.
일본인 교사(혼란스러워 하면서) : 히로끼의 지능은 보통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신이 말하는 ‘선천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미국인 교사: 미국에서는 누군가가 어떤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훨씬 뛰어날 때 쓰는 말입니다.
일본인 교사: 히로끼가 영리하다고 보지 않습니다. 과제를 빨리끝내는 것이 지능이 높은 증거도 아니고요. 그 아이가 영리하다면왜 자신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까? 정말영리하다면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대화에서처럼 미국에서는 재능과 사회성을 별개로 본다. 아니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너무 약삭빠른‘, ‘너무 재주부리는‘ 등의 표현에서처럼 영리하다는 것은 사회성이 부족한빗나간 행동으로도 나타난다고 본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영리한(smart) 것과 지능적인(intelligent) 것, 좋은 행동(well-behaved)과 기특한 행동(praiseworthy)은 어느 정도 동의어로 사용된다.
더구나 그들은 영재성이나 천재성이란 개념 자체를 인정하기 어려워한다. 물론 일본의 교사들도 아이들이 각기 다른 능력이나 재주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은 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로끼(4살)란 아이가 유독 수업시간 내내 말썽을 피웠다. 참관하던 미국인 교사들은, 이 아이가 어긋난 행동을 하는 것은 다른 아이들보다 영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래서 일본인 교사들에게자신들의 의견을 이야기하였다미국인 교사 히로끼는 다른 아이들보다 과제를 빨리 끝내며, 노래를 많이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눈에는 총기가 엿보이며, 활기가 넘치고 행동은 민첩합니다. 분명 이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영리하고 ‘선천적으로 지능이 뛰어나(gifted)‘ 보입니다. 이런 아이들은쉽게 학교생활에 싫증을 낸답니다. 또 선생님과 다른 아이들을 자극하려고 문제행동을 한답니다.
일본인 교사(혼란스러워 하면서) : 히로끼의 지능은 보통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신이 말하는 ‘선천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미국인 교사: 미국에서는 누군가가 어떤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훨씬 뛰어날 때 쓰는 말입니다.
일본인 교사: 히로끼가 영리하다고 보지 않습니다. 과제를 빨리끝내는 것이 지능이 높은 증거도 아니고요. 그 아이가 영리하다면왜 자신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까? 정말영리하다면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대화에서처럼 미국에서는 재능과 사회성을 별개로 본다. 아니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너무 약삭빠른‘, ‘너무 재주부리는‘ 등의 표현에서처럼 영리하다는 것은 사회성이 부족한빗나간 행동으로도 나타난다고 본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영리한(smart) 것과 지능적인(intelligent) 것, 좋은 행동(well-behaved)과 기특한 행동(praiseworthy)은 어느 정도 동의어로 사용된다.
더구나 그들은 영재성이나 천재성이란 개념 자체를 인정하기 어려워한다. 물론 일본의 교사들도 아이들이 각기 다른 능력이나 재주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은 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주체별로 선호하는 종목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각 년도 말일 기준KOSPI200 구성종목에 대해 최근 3년 동안의 각 주체별 누적 매수금액비중을 주가수준, 역사적변동성, 거래대금, 거래량과 비교하여 상관계수를구해 보았다.
여기서 주체별 누적 매수금액 비중은 개별 종목에 있어서 각 투자주체의1년 동안 누적 매수금액을 1년 동안의 누적 총거래금액으로 나누어서계산하였다. 예를 들어 A종목의 1년 동안 거래금액(매수금액 + 매도금액)을누적한 값이 1,000억 원 이고, 이 종목에 대해 1년 동안 누적으로 개인이 100억 원을 매수하였다면 개인 누적 매수금액 비중은 10%로 계산된다. 투자주체중 이렇게 계산된 비중 값이 가장 큰 주체가 그 종목 거래를 더 많이 했고선호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데이터의 비교 시점은 각 년도 말일이다. 비교 대상 항목인 주가수준은 각년도 말일의 주가, 역사적변동성은 250일 역사적변동성, 거래대금은 250일간의 누적 거래대금, 거래량은 250일간의 누적 거래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일어난 코소보 사태로 인해 스텔스 기가 한때 뉴스의 초점이됐었다. 스텔스 기는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파를 산란 또는 분산시키거나, 램 코팅Ram Coating 기술을 통해 흡수해버림으로써 레이더에잡히지 않도록 개발된 폭격기다. 미국의 자존심인 스텔스 기가 유고의 군사 시설 지역을 폭격하던 중 추락하여 문제가 됐던 것이다. 한대에 수백억 원이 넘는 고가의 무기가 한순간에 고철이 된 것도 큰일이었지만, 스텔스 기에 기술적인 결함이 발견된 것은 아니냐는 지적으로 연일 뉴스의 도마 위에 올랐다. 폭격기 한 대가 추락해도 뉴스에서 이렇게 떠드니, 헬리콥터가 추락하고 비행기가 폭파되는 영화속 이야기가 실제 상황으로 벌어진다면 얼마나 대단한 뉴스거리가될까? 영화를 너무 많이 본 탓인지, 조종사가 걱정될 뿐 스텔스 기추락에는 별로 관심이 가질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