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암산에도 약한 미국 학생들에게서는 Math turns me off란 불평이 곧잘 터져 나옵니다.
"~ 이 정말 싫다"라고 할 땐 turn off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래서 "존 걔는 정나미 떨어져"는John turns me off라고 하지요. turn off의 원래 뜻은 ‘스위치를 끄다‘ 입니다. 그래서 Johnturns me off라면 ‘존은 내 마음속의 스위치를 탁 끈다‘ 라는 뉘앙스를 지니게 되는 겁니다. 오늘의표현인 Math turns me off를 다르게는 I really hate math라고 할 수 있지요. 참고로 turn off의반대말은 turn on입니다. 따라서 Math turns me on이라면 "수학은 정말 재미있어"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존대 표현을 잘 보니 주어가 많이 생략되는군요(4, 5, 6 참고). 그래서 영문법에서 you가 생략된 문장을 ‘명령법‘ 이라 하는 거죠. 그리고 존대 표현은 문장의 길이가 비존칭보다 길다는 것도 특징이고요. 사실 한국어도 비슷하죠. 예를 들어 "진지잡수셨습니까?"와 "밥 먹었냐?"를 비교해 보세요. 그런데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어요. 영어에서 please를 붙이면 즉시 존칭의 의미가 된다는 것입니다. 예로 Sitdown.과 Sit down, please.에서 please의 유무 하나의 차이로 첫 번째 표현은 ‘앉아‘ 가 되고 두 번째 표현은 ‘앉으시죠‘ 라는 뜻이 됩니다. 그래서 영어에선 please를magic의 힘이 있다고 하지요. 다시 말하면 please를 붙이면 상대방의 기분을 부드럽게 하는 ‘마술‘ 같은 힘이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고 아무 때나 please를 붙이면 안되죠. 예로 F__k you, please. 하는 건 안 되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EIC은 미국 고졸 학력 이상의 일반 직장 성인을 기준으로 출제하지요. 따라서TOEIC에는 안내(announcement), 광고(advertisements), 뉴스(news), 비행 시간표(plane schedule), 사무실에서 복사기 (photo copier machine) 사용 등 ‘일상적비즈니스에 필요한 문제가 출제되고 TOEFL에는 Shakespeare(셰익스피어), 학과목, 대학교 내 도서관(school library)의 이용 방법 등 ‘대학 생활‘ 에 관련된 문제가출제되기 마련이지요. 그런데 TOEIC과 TOEFL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structures and written expressions라는 일종의 실용 문어체 문법이 그것입니다. 그 문법 문제들은 당연히 미국인들이 작문을 할 때 자주 혼동하는 내용을 묻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damage에 관련된 용법입니다. 자, 그럼 함께 다음문장들을 보며 어색한 부분을 해결해 나가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y earned their medical degrees.
‘학위를 얻다‘ 라고 할 땐 earn a degree라는 관용적 표현을 씁니다.
번역) 그들은 의학 박사 학위를 얻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지를 얻다’ 라고 할 때는 gain somebody as an ally라는 관용적 표현을 사용합니다.
‘학위를 얻다‘ 라고 할 땐 earn a degree라는 관용적 표현을 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