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예는 그러한 말을 하는 그녀를 몹시 미워했다. 궁예는 강씨를 제거하기로 마음 먹고 역습을 시도하였다. 돌연히 강씨에게 물었다. "네가 다른 사람과 간통했으니 어찌 된 거냐!" 강씨가 대답했다. "어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궁예는 말하였다. "나는 신통력으로써 그것을 보았노라." 궁예는 뜨거운 불에 쇠공이를 달구어 그녀의 음부에 찔러서 죽였다. 그러고는 강씨가 낳은 두 아들, 그러니까청광보살과 신광보살까지 죽였다고 한다. 그때가 915 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부식과 같은 신라 계승론자의 견해가 그 시대의 역사 편찬을 지배하였다.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은 성격이 다른 책임에도 불구하고<삼국사기》에 나타난 김부식의 입장을 따랐다. <고려사》도 마찬가지로 신라 계승론의 전통 아래 유교적인 역사가들에 의해 편찬되었다.
여기서 몇 가지 사실을 정리할 수 있다.
처째 토익시카는 우리가 토사 미는 저ㅂㅁ느 더 토하되 시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예가 한강을 끼고 있는 한반도 중부권 지역을 장악한 후에 고구려를 재건하여 맹위를 떨치고 있을 때였다. 한반도의 남서부 지역에는 일찌감치 강대한 세력을 가진 잔훤(甄萱)이 등장하여 백제를 부활시켜 놓고 있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명백히 적혀 있듯이진환은 상주 가은현 출신이었다. 가현은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가은읍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원 땅은 골이 좁고 산이 높은 강원도에서 가장 넓고 시원하게 트인 철원 평야를 포함해 곳곳에 넓은 들판을 가지고 있다. 그 땅 넓이는 강원도 전체 면적의 2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논밭이차지하는 비율이 강원도 다른 군(郡)과 비교하면 세 곱절이 넘는다.
1980년 통계에 따르면 강원도 전체 인구의 30분의 1이 사는 철원 땅에서 생산해 낸 쌀이 강원도 전체 생산량의 6분의 1을 넘는다. 철원땅이 점하는 경제적 비중을 단적으로 웅변해 준다. 게다가 철원 쌀은지금도 유명하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지몽과 관련된 점복에 관한 일화가 몇 토막 전한다. 일례로 훗날혜종이 병석에 누워 있을 때였다. 왕규(規)가 반란을 획책하고 있었다. 그때 최지몽은 점을 친 후 "가까운 장래에 변란이 있으니 마땅히 거처를 수시로 옮기는 게 좋겠습니다" 라고 아뢰었다. 경종 때에도 역시 그는 점복으로 예언을 하여 왕(王)의 반란을 막는 공을세우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