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비교하려면 자연수나 정수, 실수 등을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어야 했어. 난 그걸 ‘집합(集合)‘이란 개념으로 표현했지. 자연수의 집합, 정수의 집합, 실수의 집합. 그 집합을 이루는 각각의 수들을 ‘원소‘라고 부르고 말야. 이런 식으로 ‘집합‘이란 개념은 어떤 원소들을 하나로 묶어서 다루기에 편리한 개념이었어. 그뒤로 ‘집합‘
이란 말은 그것 없이는 수학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고 기초적인 개념이 되었지. 덕분에 나는 ‘집합론‘의 창시자가 되었고 말야. 생각지도 않았던 곳에서 창시자 대접을 받는 것도 기분 좋은 일이지. 게다가 나중에는 집합론을 통해 수학의 모든 개념이나 체계를 다시 정리하려는 흐름이 만들어지기도 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가 보기에 메피스토가 가르쳐준 방법은 확실히 수학이나 과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기여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었다. 캘큘러스 박사도 이를 잘 알고 있었다. 덕분에 그로서는 거대한 명예를 거머쥘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까딱하면 그나마쌓아온 신뢰와 명예 전부를 깨뜨릴지도 모를 거대한 도박이었다.
무한소라는 모호하기 그지없는 개념을 시비할 사람이 없으리란 건생각도 할 수 없었다. 그로서는 일단 그런 시비를 방어할 자신이 없었다. 더구나 이 도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대한 명예를 탐하고시기, 질투할 자들 또한 그득그득할 터인데, 만약 그들이 흔히들 그래 왔듯이 악마와 만났느니 하면서 마녀사냥 같은 비난을 퍼붓는날에는 결코 곱게 죽지 못하리란 걸 그는 잘 알고 있었다. "브루노가 그렇게 죽었지." 이에 비하면 영혼을 건다는 것은 정말 도박 축에도 끼지 않는 일이었으리라. 그래서 그는 고심에 고심을 더한 끝에 약점이 많은 이 방법을 포기하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라서 하나의 사변형을 이루던 이전 시기의 수학적 공간은 두개의 삼각형으로 분할되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한 분할의한편은 앞서 말했던 ‘다수적 수학의 삼각형‘ ‘기초 삼각형‘ 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은 방금 말한 ‘소수적 수학의 삼각형‘ ‘변환과 파생의 삼각형‘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삼각형은 결코대칭적인 것은 아니었으며, 어떠한 대응성을 갖는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이 두 삼각형 사이에는 때로는 끌어당기고 때로는 밀쳐내거나 배제의 칼을 휘두르는 강렬한(intensive) 벡터장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두 삼각형 사이의 공간, 그 비틀린 공간에서 19세기 수학의 다양한 궤적들이 그려지며 상호작용한다. 그렇다면 이제 19세기의 수학적 사유의 배치를 요약하는 이 두 개의 삼각형을 우리는 대략 이렇게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정학교, 이른바 홈스쿨링(Homeschooling)이라는 이 흐름은 부모들이 스스로 교사가 되어 집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들어 공교육에 대한 비판이 거세어지면서 자유학교(Free-school) 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는 한편 홈스쿨링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미국에서는200년 전까지만 해도 대개의 아이들이 이렇게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학교제도가 일반화되면서 교육과 양육의 역할이 분리되었는데 이제 그 흐름에 다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동아이들은 가정의 중심이고 보배이며, 어른들 사이에서작은 태양이요, 황제이다. 과거 4~5명의 자녀를 돌보던 부모들은 한 자녀에게 모든 관심과 자원을 쏟는다. 따라서 중국의 절약을 강조하는 생활풍조에 비해 자녀양육비는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최근의 한 조사에 의하면 북경, 천진, 상해 등 3대 대도시에서는 85%이상의 가정에서 자녀양육비가 가정 전체 수입의 1/3을 넘으며 아이 한 명에 대한 소비가 어른 한 명에 대한소비보다 많다고 한다. 그리고 소득이 높은 가정일수록 이러한경향이 더 높다고 한다.
아이들의 영양상태도 좋아지고 비만아도 늘고 있다. 난징에서는 형제가 있는 아이들은 12%만이 집에서 우유를 마시는데 비해 외동아이는 80%가 우유를 마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