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공부머리 말 습관 - 매일의 ‘작은 성공’을 이끌어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이임숙 지음 / 카시오페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의 말』에 관한 책을 많이 쓰신 이임숙선생님의 책입니다.

작년 8월에도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게 된 아이들에게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엄마의 말 공부』가 출간되어서 읽었었습니다.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사, 의사소통 전문가, 부모교육 전문가로 일하시고, 부모 자녀 대화법, 그림책 심리치료, 인지학습치료, 마음 글쓰기 등에 관한 강연 활동을 하시고, 맑은숲아동청소년상담센터소장, 한국독서치료학회 이사를 맡고, 독서문화진흥유공 국무총리 표장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제 아이가 어릴 때보다 점점 자라면서 보니 엄마의 말이 중요해짐이 더 느껴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는 입학을 앞두고 있지만, 앞으로 2학년, 3학년 점점 학년이 올라가고 아이는 계속 자랄 텐데 이 책의 겉표지에서 보듯 하니 아이가 공부를 하고 안 하고는 엄마가 어떻게 말하냐에 달려있다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총 3장으로 공부 시작, 공부 자극, 공부 실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특히 공부하는 학생이 공부할 수 있도록 말하는 법이 담겨있기 때문에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엄마 아빠라면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3장에서는 그 상황에 있어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화법이 담겨있습니다.


위의 문장을 보는 순간,

5년여 전에 아는 선생님이 학생에게 집에서 문제를 풀어오라고 숙제를 내줬는데 안 풀어와서 선생님과 문제를 푸는데 잘 풀더랍니다. "잘 푸는데 왜 풀어오지 않았어?" 물어보니 학생이 "엄마가 (어떤) 말을 했는데, 짜증 나서 안 했어요."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런 상황과 같은 맥락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고, 이 말을 듣고 '엄마의 말에 의해 아이들은 할 수 있어도 안 하는구나.' 오래도록 생각이 남아 있었는데, 이 책 내용과 관련이 된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공부라는 말만 들어도, 공부하고 싶어도 안되고, 성적이 떨어지고, 노력해도 성과가 없다면, 학원이나 과외가 필요한 게 아닌 새로운 엄마의 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18)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공부가 시작되는 시기에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말이다.

엄마의 공부머리 말 습관 p27


아이가 커간다는 것은 신체적 성장과 더불어 심리적 성장도 의미한다. 몸의 성장도 나이에 적합하게 커가야 하듯이 심리적 성장에도 각각의 시기에 획득해야 하는 발달 과업이 있다.

아이에게 질문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엄마의 공부머리 말 습관 p37


① 너 숙제 안 해? 숙제해야지.

② 몇 시에 숙제하고 싶어?


제 아이는 초등학교에 들어가지 않아 숙제는 없지만, 글씨를 바르게 쓰도록 글씨 연습할 수 있는 책과 계이름 공부 책 두 가지를 날마다 알아서 하면 좋겠지만, 아이는 어떻게든 안 하려고 하니 제가 말하지 않으면 안 하지요. 내가 말할 땐 몰랐는데, 이 두 가지의 문장을 보는 순간, ①의 문장을 보자마자, 아 하기 싫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는데, 내 아이도 하기 싫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질문을 육하원칙을 사용하여 잘못된 육하원칙이 아닌 제대로 된 육하원칙 질문을 사용해 아의 느낌을 의견을 충분히 존중해 주면 아이가 스스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공부법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왜 공부를 하고 싶니?



자신이 왜 이것을 하고 싶은지 이유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이유를 찾는 사람에게 이유는 꼭 생긴다.

우리 아이가 왜 공부를 하는지 이유를 찾게 해 주자. 그것이 우리 아이를 공부하게 한다.(70)


공부는 누가 하는 걸까?

누구나 자기 인생에서는 주인공이다.

엄마나 선생님이 주인공의 역할을 빼앗으면 안 된다.

아이가 자신의 역할을 잘 지키고 있어야 학습이 가능해진다. (73)


언제 공부하고 싶어?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이 질문은 아이로 하여금 생각하게 하고 스스로 판단하게 한다. (79)


어디서 하고 싶니?

정해진 장소에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조금만 생각을 바꾸어보기를 권한다.

아이가 원하는 장소에서 공부하는 것을 몇 번만 허용해보자.

그러고 나서 아이를 관찰해보면 된다.

공부하는 아이의 눈빛이 분명 예전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82)


무슨 공부를 하고 싶니?

무엇을 먼저 하고 나중에 할 것인지, 무엇을 더 많이 하고 싶은지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도 아이의 몫이다.

엄마가 분량을 정해주고 실천하게 하는 것은 아이를 숨 막히게 한다.


어떻게 하고 싶니?

"(         )할 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는 문장을 열린 질문의 기본형으로 제시하고 질문을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93)

긍정적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긍정적 질문이 우리 두뇌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다.

마음의 변화는 엄밀하게 말하면 두뇌의 변화다.

뇌는 실제로 긍정적 질문을 하면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면역력을 높이고 기쁨과 만족감을 주는 호르몬 분비가 활성화된다.

신체 리듬이 활발해지고 스트레스도 해소된다. (192)


가만히 있으면 저절로 부정 질문을 사용하고 만다.

우리가 살아온 세월만큼 부정 질문의 방식에 길들어 자동으로 부정적으로 질문하고 생각하게 된다.

 우리 아이가 늘 부정 질문을 던지고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좌절하고 포기하는 삶을 살기 원하지 않는다면 이다. (194)


저도 좋은 말보다 부정적인 말들을 더 많이 들어 마지막 부분에서 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어떤 일이든 그냥 되는 일 없듯, 안된다면 긍정 질문에 익숙해지도록 좋은 질문을 훈련하는 것. 아이를 위해서라면 지금부터 질문 방식을 바꾸도록 노력이 아닌 훈련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