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중권의 명성이야 영화 디워 논쟁의 핵심 인물로 시끄럽게 인터넷을 달구지 않았어도 익히 알고 있던 터! 미학자로써 문화 전반의 흐름을 분석하고 비평하는 그의 입담이나 글솜씨는 대부분 신랄하기에 그를 지지하는 사람도 많은 반면 적들도 많다.

이번 책은 우연과 필연, 빛과 그림자, 숨바꼭질, 수수께끼, 사라짐의 미학, 순간에서 영원으로, 다이달로스의 꿈, 인형풍경, 아크로스틱/리버스, 불꽃놀이, 종이접기...무지개빛 색으로 챕터를 분류! 놀이와 예술의 상관관계를 적절한 자료들과 설명으로 아주 쉽게 몰입시킨다.  놀이를 통한 상상력이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탄생되어져 왔는지를 미학적 관점으로 잘도 풀어낸다. 탄생되어진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탄생된 작품을 놀이적 상상력으로 바라본 진중권의 미학적 능력일지도...

이번 책읽기에서 가장 즐거웠던 점은 역시 책을 가지고 놀았다는 것이다. 텍스트 읽기에서만에서 벗어나 실제로 90도 거꾸로, 비스듬이 변형 시켜가면서 그림을 보고 확인해 보는 과정이 책읽기가 아닌 책 놀이 였던것! 진중권의 재치와 치밀함, 놀이의 의도와 중요성의 전달이 확실하고도 자연스럽게 전달된 작가의 노력이다.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은 갈수록 합리적, 이성적 사고를 강요받아왔고 실제로 그리 되어가고 있지만,,, 그와는 또 대조적으로 현대는 창조적인 독창적인 사고를 요구하고 있으니 언발란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고정된 이성으로는 자유로운 창의성은 존재 하기 힘들기 때문에...예술가는 그리하여 필요하고, 그들의 팔자는 그리하여 대부분 고단한 것일것이다... 더불어 예술은 그리하여 값 진 것일테고...진중권은 말한다.

" 창조적 인간이 되고 싶은가? 그럼 성숙의 지혜를 가지고 어린시절의 천진함으로 돌아가라. 500년전에 이미 기술적 상상력을 갖고 있었던 다빈치, 그는 호기심에 한계가 없고 상상력에 구속이 없는 '영원한 소년' 이었다 ." 라고....

나또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고 아이들에게 그림 그리는 방법을 전달하는 선생으로 창조적이지 않을  수 없는 팔자다. 그러기에 공상하고 상상하고 저질러 봐야하는 어린아이로 돌아가야만 하는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사실 요즘의 우리나라 어린아이들 그닥 창조적이지도 모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하지 않다. 이게 우리나라 현 교육의 현실이고 처절한 문제점이다. 경쟁력 있는 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도 개인의 풍부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상상과, 놀이는 필요하다. 예술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란 말이다.... 어쩜 인생 한바탕 꿈인것을,,,, 인생을 좀더 신나게 즐기는 놀이의 마음이 필요하다는게 나의 독서 후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7-09-18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중권과 님의 리뷰에 끌려서 꾹~추천!

행복한여행자 2007-09-19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갑습니다. 순오기님... 닉네임! 독특한 매력이 있으셔용~~자주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