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엄마 잃은 송아지가 외로워 보인다는 말도할 수 없다니, 이거야말로 정말 고독한 일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들지 않겠나."준도 일본어로 대꾸했다."외로움을 나쁜 것이라고만 생각하니까 그럴 수밖에. 외로워봐야 육친의 따스함을 아는 법인데, 이 사회는 늘 기쁘고 즐겁고 벅찬 상태만 노래하라고 하지. 그게 아니면 분노하고 증오하고 저주해야 하고, 어쨌든 늘 조증의 상태로 지내야만 하니 외로움이 뭔지 고독이 뭔지 알지 못하겠지. - P30
1장.삼십오 년째 나는 폐지 더미 속에서 일하고 있다. 이 일이야말로 나의 온전한 러브 스토리다. 삼십오 년째 책과 폐지를 압축하느라 삼십오 년간 활자에 찌든 나는, 그동안 내 손으로 족히 3톤은 압축했을 백과사전들과 흡사한 모습이 되어버렸다. 나는 맑은 샘물과 고인 물이 가득한 항아리여서 조금만 몸을 기울여도근사한 생각의 물줄기가 흘러나온다.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된 나는 이제 어느 것이 내 생각이고 어느 것이 책에서 읽은 건지도 명확히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지난 삼십오 년간 나는 그렇게 주변 세계에 적응해왔다. - P9
두번째 쪽부터 벌써 재밌다. 제인에어를 추억하는 공상수라니.
상상할 ‘여지’를 주지 않으니까. 여지는 삶에 있어 숨구멍 같은 것이었다. 상수는 그런 것이 없는 삶은 슬퍼서 견딜 수가 없었다. - P9
황야를 지나 숲으로 통하는 기나긴 길. 그 길을 낸 것은 누구였을까??이곳에 처음으로 왔던 남자, 그 사람이었으리라. 그가 오기 전에는 길이 없었다. 그가 다녀간 후로 이런저런 동물들이 습지와 황야에 찍힌그의 희미한 발자국을 따라가며 그 길을 한결 또렷하게 만들었으리라.그다음에 다시 어떤 라플란드인이 그 길을 발견하고는 이 벌판에서 제벌판으로 순록떼를 돌보러 다닐 때 이용했을 것이다. 이리하여 누구의소유도 아닌 주인 없는 넓은 공유지에 길이 생겨났다. - P9
한참 동안 무엇인가를 생각하던 노인은 느닷없이 화가 난 사람처럼 손에 들고 있던 엽총을강물에 던져 버렸고, 세상의 모든 창조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그 금속성의 짐승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모습을 하염없이 지켜보았다. - P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