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아몬드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일단 나는 공감하는데 문제가 있나보다. 아몬드나 먹어야겠다. 그렇게나 강조되었던 햇살을 머금은 캘리포니아산으로. (하지만 나는 견과류가 싫다)
분명 처음 읽는데 이미 완독한 것 같은 불안한 느낌이 스멀거렸다. 기시감이 드는 전개방식에 다음 장면이 전혀 기대되지 않는다. (적어도 연상될 장면은 배제되어야 하는건 아닐런지) 내가 나이를 먹을대로 먹어서 이 소년들의 행동에 위화감을 느끼는건지 꼰대마냥 세월탓을 해보려했다.

난 소설을 읽는 묘미가 나도 모르게 미끄러져 들어간 작가의 세계속에 이르러, 어느새 당사자가 되어있는 나를 바라보는 신기한 경험을 하는거라 생각했다. 그런 관점에서, 이 소설은 정확하게 그 기대를 역행한다. 불완전한 소년의 태생, 비극적인 사건의 피해자, 옹호하지않는 사회, 거리두는 주변사람들(학생들), 극적인 존재의 등장, 러브라인 형성. (사춘기 시절의 대부분은 이렇게 다들 극적인가?; 그래요 이건 픽션이라고요. 뭘 바라는 겁니까!) 각각의 소설속 장치들이 자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나머지 너무 두드러지게 또렷하다. 우리들은 작가를 위한 공무를 수행중이라고 그들은 외친다. 뜬금뜬금 배치되어 불쑥불쑥 등장하는 그들의 존재감이 이건 명백한 픽션이라 자꾸만 상기시키는데, 삽입된 중간광고마냥 거추장스럽기 그지없다. 영리한 의도인가 무의식적인 도전인가, 심히 고민스러웠다.
˝얘들은 이럴 때 이렇게 행동해도 돼요˝라고 그들을 너그러이 이해해주려는 취지가 남용된 나머지, 어른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소년들의 프레임에 감성을 마구잡이로 으깨넣어버린 작가의 감정이 앞섰다. 좀 독특한 소재로 주인공을 구체화하면 주목은 받겠지. 히어로 영화마냥 액션은 못펼쳐도(유체이탈은 아무나하는 것도 아닌데요) 소년기의 고뇌가 반영되는 것처럼 특별하게 보여질테니까. 소설이 읽히는게 아니라 소설을 쓰는 작가의 생각이 먼저 읽혀 여간 곤란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것도 지나가는 독자 한 명의 감상이니 대중을 거스른다 해도 어찌할 수 없지만, 씁쓸하게도 내게는 귀여운 일러스트표지가 전부였던 한 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항구 마을 식당
오쿠다 히데오 지음, 권영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본인은 아니라 부정하지만, 여정 얘기를 듣다보면 작가는 여행에 꽤나 잘 어울린다. 글을 그만큼 잘 써서 나는 그런 착각을 하게 된걸까.
뜯어보면 이 책은 낯선 지명이 수두룩하고, 여행이 목적이라고는 하지만 거의 구르메활동이 전부인것 같이보이는 (민망한지 작가본인이 언급할정도니..) 일정인지라 상황이 다소 엉뚱하긴하다. 심지어 본인기획도 아니고 편집자가 계획한 레디메이드 상품. 이유야 어찌되었든 재밌게 읽으면 됐지않은가 싶다. 재능있는 작가의 글솜씨에 담긴 여유가 슬쩍 부럽구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이렇게 책으로 살고 있습니다 : 책과 함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나이즈미 렌 지음, 최미혜 옮김 / 애플북스 / 2018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제목에 조금의 빈틈도 없이 충실한 한 권.

나와는 전혀 관계없던 분야도 아니었기에 기억에 새록새록 떠오르는 과정들을 되새기며 작가의 인터뷰들을 관찰했다. 모든일에는 이렇게 평소에 두드러지지않은 많은 분들의 노고가 숨어있겠거니 했다. 책을 읽으며 순차적으로 책 한 권을 만들어내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신기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무코다 이발소
오쿠다 히데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로드 / 2017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작가가 풀어낸 사소한 얘깃거리가 독자의 마음을 슬그머니 울린다. 그것도 그가 가장 잘하는 방법으로 살포시, 그리고 본인조차 눈치채지 못하게.

스크린 화면으로 비춰지는 사람들의 삶은 어찌나 극적인지 그게 누군가가 의도한 편집된 형태라는 것을 의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색하게 지지부진한 나의 일상을 한심하게 느껴지도록 부추긴다. 막장이니 말도안되는 전개라니 이러쿵저러쿵 말들은 많아도 요주해서 지켜보는 사람들이 많다는 건 그 자체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때문에 이 소설은 인스타그램 라이프를 삶의 기준으로 하는 요즘에 길들여지면 여간 텁텁하니, 마냥 입맛이 싱거운게 글의 전개가 밍숭맹숭하게까지 보인다. 근데 기억해보면 그게 우리네 삶이었고 원래 그렇게 살던 모습이 아니었나? 태어나 처음 바라본 거울 마냥, 본래 민낯 자체를 마주하자니 그 꼴이 우스꽝스러운 모양으로 변질되었다.

삶은 무료하다. 특별한 일이 있으면 심드렁한 날이 대부분이었다는 걸 잊게된다. 과소평가일지는 모르나 이 소설은 그렇게 극적이지 않다. 근데 나는 그런 작가의 지도(指導)가 맘에들어 어찌할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