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물만두 > 러시 라이프 중에서
콜트레인 [Coltrane, John William, 1926.9.23~1967.7.17]
미국의 재즈 테너색소폰 연주자 ·작곡가. |
|
국적 |
|
미국 |
활동분야 |
|
예술 |
출생지 |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
주요작품 |
|
《지고(至高)의 사랑》 | |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생. 1955년 M.데이비스의 캄보(combo)에 들어가 주목을 끌기 시작했으며 1960년 이후로는 자기의 캄보를 이끌고 활약, 전위재즈의 최첨단을 가는 음악가로서 독특한 경지를 개척하였다. 재즈의 역사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대표작에 《지고(至高)의 사랑》 등이 있다.
영혼을 담은 연주로 재즈계의 전설이 되어버린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 그의 연주는 재즈의 틀을 넘은 종교와도 같은 것이었으며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숭고한 것이었다. 생전에 그가 남긴 수많은 명연들은 재즈사에 길이 남아 후배뮤지션들에게 지침서가 되었으며 더불어 많은 재즈 팬들의 가슴속에 자리 잡아 언제나 큰 감동과 위로가 되고 있다. 1926년 9월 23일 노스 캐롤라이너 햄릿에서 양복 재단사이자 아마추어 뮤지션이었던 아버지 존 알. 콜트레인 (John R. Coltrane)의 아들로 태어난 존 콜트레인은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의 평범한 소년기를 보냈다. 12세가 되던 해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잇따른 사망으로 커다란 충격을 받았던 콜트레인은 이때부터 음악에 몰두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쌓아갔다.알토 혼과 클라리넷을 배우며 기본적인 연주 방법을 익혔던 그는 17세가 되던 해 생일 선물로 받은 알토 색소폰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인 재즈 뮤지션으로서의 꿈을 갖게 되었다. 온스틴 음악학교를 거치며 정식 음악교육을 받았던 그는 당시 재즈계의 전설적인 인물이었던 자니 호지스(Johnny Hodges)와 레스터 영(Lester Youg)을 모델로 피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44년 베니 골슨(Benny Golson)과 함께 지미 존슨(Jimmy Johnson)의 악단에 가담하며 전문 연주자로서의 첫 출발을 하게 된 존 콜트레인은 45년 군에 징집되어 하와이에서 군복무를 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도 색소폰 연습을 게을리 하지 않았던 존 콜트레인은 군에서 만난 덱스터 컬버트슨이 이끄는 밴드에 가담하여 첫 레코딩을 경험하기도 했다.제대 후 필라델피아로 돌아온 존 콜트레인은 당시 찰리 파커(Charlie Parker)와 디지 길레스피(Dizzy Gillespie)에 의해 새롭게 대두된 비밥(Bebop)의 열풍에 크게 충격을 받고 새롭게 자신을 재정비하며 자신만의 연주스타일을 개발하고자 더욱 매진하였다. 이후 에디 빈슨(Eddie Vinson)과의 연주활동 중 테너 색소폰으로 악기를 교체했던 존 콜트레인은 단 음식을 좋아했던 탓에 치아에 문제를 일으켜 한동안 활동에 지장을 받기도 했다.
49년 디지 길레스피(Dizzy Gillespie) 빅밴드의 오디션에 응시하여 알토 색소폰주자의 자리를 얻어냈던 존 콜트레인은 정규 레코딩에도 참여하는 기회를 갖기도 하였고 밴드가 해체되자 동료 지미 히스(Jimmy Heath)와 함께 손을 잡고 테너 색소폰 주자로 활약을 펼쳤다. 54년 듀크 앨링턴(Duke Ellington)으로부터 독립한 자니 호지스(Jonny Hodges)의 밴드에 가담하여 비밥에 기반을 둔 훌륭한 연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던 존 콜트레인은 그 시기 헤로인 중독이 날로 심각해지며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고 결국 팀에서 해고당하는 불상사를 당하고 말았다.
55년 20살의 나이에 네이마(Naima)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는 주아니타 그럽스(Juanita Grubbs)를 만나 결혼식을 올렸던 존 콜트레인은 그해말 트럼펫터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가 자신의 퀸텟(Quintet)에 가입 요청을 해오자 흔쾌히 승낙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이후 마일스 데이비스의 이 시기 명반 [Round About Midnight]과 마라톤 4부작 시리즈로 유명한 [Cookin'], [Relaxin'], [Steamin'], [Workin']에 참여하여 완벽한 연주를 선보임으로서 팬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게 되었다. 또한 그와 라이벌 관계에 놓여있던 소니 롤린스(Sonny Rollins)의 앨범 [Tenor Madness]에도 참여하여 전무후무한 연주경합을 펼침으로서 재즈계에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57년 또다시 마약 복용을 원인으로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의 퀸텟에서 해고당하고만 존 콜트레인은 피아니스트 셀로니어스 몽크 (Thelonious Monk)와 함께 [Thelonious Monk With John Coltrane]을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이때부터 그는 프레스티지(Prestige)를 통하여 본격적으로 자신의 솔로작을 공개하게 된다. 그의 초기 시절 혈기 넘치는 힘찬 블로윙을 담고 있는 [Coltrane]과 [Lush Life]의 성공으로 이름을 널리 알렸던 존 콜트레인은 블루 노트(Blue Note)에서의 유일한 작품이자 초반기 걸작 [Blue Train]을 발표하며 큰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이어서 58년 피아니스트 레드 갈란드(Red Garland), 드러머 아트 테일러(Art Taylor), 베이시스트 폴 챔버스(Paul Chambers)의 화려한 멤버진으로 발표한 [Soultrane]과 [Settin' the Pace]가 잇따라 호평받으며 명실 공히 테너 색소폰계의 새로운 거장으로 자리잡게 된 존 콜트레인은 59년 1월 아틀란틱(Atlantic) 레이블과 계약을 체결하고 역사적인 명반들을 발매하게 된다.
첫 앨범으로 발표한 [Giant Steps]에는 토미 플라네건(Tommy Flanagan), 윈튼 켈리(Wynton Kelly), 폴 챔버스(Paul Chambers)등의 뛰어난 연주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존 콜트레인의 완벽에 가까운 연주가 빛을 발한 작품으로서 재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이후 인도 음악에 심취하며 소프라노 색소폰까지 섭렵하게 된 존 콜트레인은 이어서 발표한 명반 [My Favorite Things]와 [Ole Coltrane]에서 경지에 다다른 놀라운 연주와 이러한 성향이 반영된 새로운 색소폰 연주를 선보임으로서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60년대 접어들어 임펄스(Impulse!)와 계약을 체결한 존 콜트레인은 61년 빌리지 뱅가드(Village Vanguard)에서의 라이브 명연을 담은 [Live at the Village Vanguard]를 발표하며 전성기 시절을 이어갔으며 같은 해 에릭 돌피(Eric Dolphy), 엘빈 존스(Elvin Jones), 맥코이 타이너(McCoy Tyner)와 함께 불꽃 튀는 연주를 담은 [Impressions]와 아름다운 발라드 곡들로 채워진 [Ballads] 앨범을 발표하여 크게 히트시켰다.
63년에 버드랜드에서의 라이브 실황인 [Live at the Birdland]를 발표하며 재즈팬들의 아낌없는 찬사를 얻어냈던 존 콜트레인은 64년 당시 새롭게 대두된 프리 재즈의 영향이 감지되는 [Crescent]를 발표하여 다소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사운드를 전개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그의 후반기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A Love Supreme]을 발표하였는데 전작과 마찬가지로 정통성의 맥락을 유지하는 가운데 프리 재즈적인 요소를 대거 수용한 이 작품은 존 콜트레인의 깊은 정신세계와 철학적인 영혼의 울림이 반영된 명반이었다. 이후 점점 더 프리 재즈에 심취하며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듯한 심오한 연주를 들려주었던 존 콜트레인은 [Ascension] 앨범 발표 이후 파로아 샌더스(Pharoah Sanders), 라쉬드 알리(Rashid Ali)와 같은 프리 재즈 뮤지션과 활동하며 몇십 분에 달하는 긴 연주와 굉음에 가까운 울부짖는 연주로 더욱 난해한 음악을 표현했다.
66년 존 콜트레인은 네이마와 이혼 후 동거 중이었던 피아니스트 앨리스 콜트레인(Alice Coltrane)과 결혼식을 올렸다. 67년 우주라는 심오한 주제를 다룬 앨범 [Interstellar Space]를 발표했던 존 콜트레인은 같은 해 3월 파로아 샌더스(Pharoah Sanders), 앨리스 콜트레인(Alice Coltrane)과 함께한 [Expressions]를 발표하며 아방가르드적인 그의 세계를 표현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존 콜트레인은 67년 7월 17일 간암으로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재즈계의 모든 이들은 그의 죽음을 아쉬워했고 결국 알버트 아일러, 오넷 콜맨과 같은 평소 그와 뜻을 같이했던 몇몇 뮤지션들이 모여 추모 공연을 펼치며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그가 떠난 후 임펄스(Impulse!)에서는 61~64년간의 녹음으로서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존 콜트레인의 13곡들을 모아 [The Gentle Side of John Coltrane]을 발표하여 그를 기억하는 많은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주었다.
56년부터 67년까지 단 11년간의 짧은 활동으로 재즈의 모든 것을 보여주었던 존 콜트레인은 오랜 세월이 흐른 현재까지도 가장 위대한 색소포니스트로 추앙받고 있으며 그의 단순한 재즈를 넘어 영혼을 담아낸 전설적인 명연들은 많은 재즈팬들로 하여금 언제나 커다란 감동과 기쁨과 위로가 되고 있다. 매해 그의 기일인 7월 17일이 되면 그를 애도하는 많은 재즈계의 공연과 행사가 펼쳐지고 있으며 그의 무덤가에는 언제나 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82309
트롱프뢰유
실제의 것으로 착각할 정도로 세밀하게 묘사한 그림. |
|
|
'속임수그림' 등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표본도 등과 다른 점은 다분히 공예적 기법으로 기울어져 있으면서도 구도나 물체의 명암·양감·질감을 회화형식으로 실물 그대로의 모습 재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데 있다. 따라서 화면은 작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터치 같은 것은 없고 매끄럽기만 하다. 예전 것으로는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W.바일란의 작품이 있다. 당시 시민생활에서 이 종류의 그림이 환영받은 것은 극명한 묘사력에 의해서 야기되는 착각이 마술적인 효과를 갖는 데 있었다. 이 수법은 현대에도 S.달리 등 초현실주의 작가의 작품에서 보게 된다. 그들 작품에서는 비합리적인 주제 속에 이 수법을 부분적으로 도입하여 현실에의 융합을 긍정하는 자세를 볼 수 있다. 가장 전형적인 작가는 19세기 미국의 W.하네트이다.

Cornelis Gijbrechts (Flemish, c. 1630 - after 1675), Trompe l'oeil, oil on canvas, 101.9 x 83.4 cm, Museum voor Schone Kunsten, Ghent.
에셔의 그림
http://www.aladin.co.kr/blog/mypaper/543589
타네다 산토카 (1882-1940)
일본의 하이쿠 시인. 5.7.5의 정형시인
하이쿠에 자유율을 도입한 일본의 천재 시인. 그의 평생의 소망은 <진정한 나의 시를 창조하는 것>과 <누구에게도 폐를 끼치지 않고 죽는 것>이었다. 무전 걸식으로 전국을 방랑하며 산토카는 오로지 그날 하루만을 사는 것처럼 언제나 죽음을 의식하고, 그 마음을 억누르기 위한 활력을 찾기 위해 방랑하면서 하이쿠를 지었다. 겉모습은 탁발승이었지만, 어쩔수 없는 한량에 술고래에다 툭하면 기생집을 찾는 등 소란을 피우며 문필가 친구들에게 누를 끼쳤다. 그래도 인간적인 매력이 많아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처절한 인생을 살며 토해내는 산토카의 하이쿠는 인간의 본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 자유와 인정이 넘치는 반면, 서러움과 외로움도 공존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p127
베살리우스의 파브리카라는 책이라는 말이 나온다. 속칭 파브리카인지는 모르겠지만 정확하게는 <인체해부에 관하여 (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이다.

Andreas Andreas Vesalius, 1514-1564.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septem. [On the Fabric of the Human Body] Basel: Ioannis Oporini, 1543. Gift of Harvey Cushing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82923
키스 자렛 (Keith Jarrett)
데뷔/결성 : 1968년
활동 시기 : 1960, 1970, 1980, 1990, 2000년대
멤 버 : 솔로활동
키스 자렛(Keith Jarrett)은 뛰어난 즉흥 연주자이다. 솔로 피아노 연주 앨범으로 이름을 떨치던 1970년대 초반부터 그는 피아노 하나로 클래식, 재즈, 가스펠, 팝송을 넘나드는 독창적인 연주 세계를 펼쳐냈다.
기타리스트 팻 메스니와 함께 ECM 레이블의 간판 스타로 자리 매김 해 온 키스 자렛은 서정적인 쿼텟 연주 앨범 (1978)로 한국 재즈 팬들에게도 제법 친숙한 연주인이다 .
'재즈계의 쇼팽' 이라 할 만큼 키스가 연주하는 멜로디는 운치가 있고 정감이 서려있다. 한번에 2-3사람이 동시에 연주하는 게 아닌가 착각이 들 정도로 그의 비범한 연주실력 또한 쉽사리 흉내낼 수 없는 대가다운 경지이다.
솔로 피아노 연주로 대변되는 뉴 에이지(New Age) 음악 열풍을 가능케 했던 선구자로도 평가받은 키스 자렛은 1980년대 조지 윈스턴(George Winston)을 위시한 뉴 에이지 스타 출현이 가능하도로 분위기를 조성했다는데에도 그의 업적은 남다르다.
1945년 5월8일 팬실베니아 알랜타운에서 태어난 키스 자렛은 1965년에 아트 블레이키(Art Blakey) 재즈 메신저에서, 이듬해 66년부터 69년까지는 찰스 로이드(Charles Lloyd) 밴드의 사이드 맨으로 활약한다. 드러머 잭 디죠넷(Jack Dejohnette), 베이시스트 찰리 헤이든(Charlie Haden)이 멤버로 있었던 찰스 로이드 밴드 내에서 그의 활동은 범상치 않은 피아니스트의 출현을 전 세계에 알렸다.
마일스 데이비스로 인해 시작된 재즈-록 열풍은 키스 자렛의 연주 이력에 전환점이 됐다. 1970-71년까지 그는 마일즈 데이비스(Miles Davis)의 재즈-퓨전 사단에 합류한다. 그와의 작업을 통해 그는 일렉트릭 키보드를 연주하는데 마일즈 데이비스의 1970년 앨범 에선 그의 신들린 키보드 연주를 접할 수 있다.
어틀랜틱 레코드에서 그의 첫 앨범 (1968)를 시작으로 비브라폰 주자 게리 버튼(Gary Burton)과 함께 한 (1970), 콜럼비아 레코드에서 내 놓은 (1970)까지 그는 일렉트릭-어쿠스틱 사운드를 번갈아 가며 자신의 연주 지향점을 찾아나간다. 그리고 ECM을 통해 발표한 (1971)를 필두로 어쿠스틱 피아노 연주에만 전념하며 솔로-쿼텟-솔로-트리오에 이르는 긴 음악 여정을 진행해 나간다.
ECM 레이블을 통해 그는 1973년 스위스 로잔에서 있었던 실황 앨범과 전세계에 200만장이 팔린 그의 최고 히트작인 (1975), 6장의 CD로 구성된 대형 솔로 앨범 (1976)를 발표했다. 이로서 키스는 명실상부 최고의 피아노 즉흥 연주자로 부상한다.
혁명 이데올로기의 쇠퇴와 함께 어느덧 사회인으로 변해갔던 60년대 히피들은 젊은 시절의 과열 발산을 누그러뜨리고 심신을 안정시킬 음악을 찾았고 이럴때 키스 자렛의 잔잔한 피아노 솔로 연주는 젊은 재즈 팬들의 구미를 당겼다.
클럽에서 연주하는 재즈를 넘어서 조용한 콘서트 장에서 정중동의 기운이 꿈틀거리는 키스 자렛의 깔끔하고 품위 있는 콘서트 식 피아노 연주는 유럽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어간다.
솔로 활동에 병행, 키스는 1970년대 내내 아메리칸/유러피언 쿼텟을 동시에 이끌며 다양한 음악 세계를 펼친다. 찰리 헤이든(베이스), 듀이 레드먼(색스폰), 폴 모션(드럼),키스 자렛으로 구성된 아메리칸 쿼텟은 프리/아방가르드 사운드를 표방하며 각이 선명한 실험적인 재즈 연주를 들려줬다.
반면 풍부한 서정성을 부각시켰던 유러피언 쿼텟은 얀 가바렉 (색스폰), 팔레 다니엘슨(베이스), 존 크리스텐션(드럼) 구성되었고 (1974), (1978), (1979)같은 수작을 남겼다.
1980년대 초반 다시 솔로 피아노 연주에 중점을 뒀던 키스 자렛은 1983년, 베이시스트 게리 피콕, 드러머 잭 드자넷 과 함께 트리오 스탠다드(Standard)를 조직, 재즈사(史)에 남을 고전들의 재해석을 통해 온고지신의 저력을 발휘한다. 트리오 스탠다드의 활동은 최근 2001년 발표한 에 이르기까지 근 20년을 걸치고있다.
http://cafe.naver.com/classic7979/2302
당랑거철 [螳螂拒轍]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다는 말로, 자기 분수를 모르고 상대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사물과 대적한다는 뜻
螳 : 사마귀 당
螂 : 사마귀 랑
拒 : 막을 거
轍 : 바퀴자국 철
《장자(莊子)》 천지편(天地篇), 《한시외전(韓詩外傳)》, 《문선(文選)》, 《회남자(淮南子)》 인간훈편(人間訓篇) 등 여러 문헌에 나온다. 당랑당거철(螳螂當車轍) 또는 당랑지부(螳螂之斧), 당랑지력(螳螂之力)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같은 의미이다. 당랑지부는 사마귀가 앞발을 치켜 든 모습에서 비롯된 말이다.
《장자》에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장여면(將閭勉)이 계철(季徹)을 만나 말했다. "노나라 왕이 내게 가르침을 받고 싶다고 하길래 몇 번 사양하다가 '반드시 공손히 행동하고 공정하며 곧은 사람을 발탁하여 사심이 없게 하면 백성은 자연히 유순해질 것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이 말이 과연 맞는 말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계철은 껄껄 웃으며 이렇게 대답하였다. “당신이 한 말은 제왕의 덕과 비교하면 마치 사마귀가 팔뚝을 휘둘러 수레에 맞서는 것 같아서(螳螂當車轍) 도저히 감당해 내지 못할 것입니다. 또 그런 짓을 하다가는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게 되고 집안에 번거로운 일이 많아지며, 장차 모여드는 자가 많아질 것입니다.” 이것은 세속적인 충고는 제왕의 도를 오히려 그르칠 수 있다는 말이다.
《회남자》에 나오는 이야기는 아래와 같다. 춘추시대 제(齊)나라 장공(莊公)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장공이 수레를 타고 사냥터로 가던 도중 웬 벌레 한 마리가 앞발을 도끼처럼 휘두르며 수레를 쳐부술 듯이 덤벼드는 것을 보았다. 마부를 불러 그 벌레에 대해 묻자, 마부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저것은 사마귀라는 벌레이옵니다. 이 벌레는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설 줄을 모르는데, 제 힘은 생각하지도 않고 적을 가볍게 보는 버릇이 있습니다.” 그러자 장공은 이렇게 말하면서 수레를 돌려 피해 갔다고 한다. “이 벌레가 사람이라면 반드시 천하에 용맹한 사나이가 될 것이다.”
다박나룻 : 다박―나룻[―방―룯][명사] 다보록하게 난 짧은 수염. 다박수염. *다박나룻이[―방―루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