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 - 짜게 본 역사, 간을 친 문화
유승훈 지음 / 푸른역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금이란 단어는 삶에 있어서의 필수 단어로 여겨진다.  세상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라는 의미로 빛과 소금을 빗대어 이야기하기도 하고. 실제로 우리의 삶을 가능케하는 먹거리에 있어서의 소금의 존재란 새삼 말할 필요없는 필수 요소가 아니겠는가.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고려에서 해방이후까지의 소금을 둘러싼 역사가 주된 테마다. 소금은 국가의 중요한 세원의 하나였으므로 각 시대에서는 소금세를 거두기 위한 여러 방책이 논의 되었으며 이는 백성들의 삶과도 직결되는 문제였다. 시대별로 각종 염세를 둘러싼 정책과 염세를 내는 백성들의 고단한 삶, 그리고 그 소금을 사용하는 전 백성들의 팍팍한 생활고를 소개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백성과 나라를 동시에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현명한 이들을 살펴보고 있다.

2부에서는 소금을 주제로 하는 여러 설화를 소개함으로써 생활과 문화 속에 스며들어있는 소금 이야기가 펼쳐진다. 해학적이고 엽기적이기까지 한 설화를 통해서 우리네 삶에 녹아있는 많은 역사와 문화를 전해주고 있다. 한편 자염(煮鹽)과 천일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전통적 소금 제조법을 알려주고 있다. 미각이 뛰어나거나 음식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기본 간으로 쓰이는 소금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것이다.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것은 질좋은 채소와 그 이상으로 질 좋은 소금이 필요하다. 깨끗한 갯벌의 염전에서 뜨거운 태양 아래 무수히 많은 땀을 흘린 염부의 노동이 결합해서 만들어진 소금이야말로 최고의 음식을 만들어내는 첫번째 재료이기 때문이다.

이미 세계적으로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해 질 좋은 소금으로 인지되고 있는 우리의 천일염 생산을 위해서는 무분별한 개발과 무지로 인해 파괴되는 갯벌을 반드시 살려야 할 것이다. 친환경,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느껴진다.

1,2 부를 통틀어서 5편의 답사기가 수록되어 있다. 전북 곰소만, 태안 소금, 낙동강 하구 염전, 인천, 전남 신안 증도에 있는 염전까지. 낙동강 하구와 인천지역을 제외하고는 여행하며 들러본 곳들이라 책을 읽으면서 감회가 새로웠다. 아마도 책을 먼저 읽었더라면 더 많이 느끼고 돌아왔을지도... 

이 책은 주제가 소금이라서 더욱 관심이 갔던 것 같다. 고단했을 민중의 삶보다는 개인적으로 요리와 음식에 관심이 많다보니 질좋은 소금의 중요함을 이미 알고 있었던 터라 더 그랬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소금에 얽힌 역사와 그 안에 녹아 있는 삶의 애환에 조금쯤은 더 깊이 다가갈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 신안군 답사기가 실린 것이 마음에 든다. 몇 해 전 들러본 증도를 가까운 시일에 다시 찾게 될 것 같다.  소금이 만들어지는 오랜 시간과 자연스러움~어쩌면 저자는 느림의 미학을 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