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문예신서 12
존 버거 지음 / 동문선 / 1990년 5월
평점 :
절판




 

다른 책을 통해서 꼭 읽어보고 싶었던 이 책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번역의 완성도에 만족하지 못한 리뷰를 다수 접하게 되었다. 결국 나는 원서를 구입해서 읽었는데.... 글의 논지를 이해하고 따라가는 데 어렵지 않고 명확하여 좋았다. 

 

서문에서 말하고 있다.

 

"Our principal aim has been to start a process of questioning."

이 책의 취지는 사람들에게 의문제기를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7편의 에세이 끝에 다음과 같은 문구로 마무리를 한다.

 

"To be continued by the reader...."

독자들에 의해서 계속....

 

 

존 버거를 포함한 5명이 동명의 방송프로그램을 모티브로 제작한 것이 이 책이다. 그들은 7 편의 에세이를 통해 그들의 취지에 맞게 수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

진지하면서도, 통속적이고, 냉소적이면서도 포용적이다.

글과 이미지(흑백)을 포함한 4개의 에세이와 그림만으로 포함된 3개의 에세이.

그들이 던진 의문에 따라 이미지로만 구성된 에세이 중에서 이미지 정보를 부가하지 않은 것과 이미지 정보를 삽입한 것이 있다.  (물론 어느 경우에도 출저는 미주로 담겨있다)

 

우리가 보는 것과 우리가 아는 것 사이는 합의점이 없다....라고 시작한 한 에세이.

우리가 보는 방식은 우리가 알고 믿고 있는 것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말한다.

'본다'는 행위도 무엇을 볼 것인가에 대한 '선택'의 행위이며, 무엇을 본다는 것은 그것과 우리 사이의 '관계'를 본는 행위라고 한다.

 

그러한 시각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테마로 이루어진 4편의 글 에세이는 시사하는 바가 많다.

 

고전 유화에 대한 '신비화'작업의 이면과, 사진술의 발명으로 가속화된 이미지 '재생산'의 의미, 그 안에 포착된 권력 구조와의 관계가 흥미롭다. 또한 남성위주의 그림 소유자의 시각에서 비쥬얼화된 여성의 전형에 의문을 제기하며

'관찰자'와 '관찰당하는 자'로서의 이중적 여성의 정체성과 '벌거벗음(nakeness)'와 '누드'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또 다른 에세이에서는 '자본'이 어떻게 모든 대상을 물화하였는지, '소유와 재산'이라는 가치로 고전 유화에 담겨진 사물과 인물, 풍경의 '과시욕'을 탐사한다. 

 

마지막 에세이에서는 광고와 PR의 '언어'가 어떻게 고전 유화의 '언어'와 닮아 있는지, 또 무엇이 다른지를 보여준다. 그와 함께 자본주의의 꿈과 희망, 가치로 대변된 현대사회의 화려한 이미지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나머지 세 편의 이미지 에세이들은 글이 이미지에 부여한 의미와 제한에 대해 심사숙고 하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된다.

 

원서로 160페이지에 불과한 이 가벼운 에세이 모음집은 결코 가볍지만은 주제들을 한데 어울어 흥미롭고 박진감 넘친다. 


글의 의도대로 '의문제기'에 충실하다.

그에 대한 대답은 이 책의 안팍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몫이다.

 

2007년 2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