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들의 전쟁 - 천년동안 읽는 동화 반달문고 1
김진경 지음, 최달수 그림 / 문학동네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500년 전 해커들의 전쟁이야기 '목수들의 전쟁(김진경 글. 최달수 그림/문학동네어린이 펴냄)'은 목수들의 신으로 모셔 질만큼 뛰어난 기술을 가진 노반과 뛰어난 목수일 뿐만 아니라 탁월한 사상가이자 실천가였던 묵적에 대한 이야기로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배경을 빌려 오늘의 우리 모습을 되새겨 보게 하는 작품이다.

노반과 묵적은 묵자라는 목수의 왕 밑에서 함께 기술을 연마한 선후배 사이이지만, 노반은 세상의 이치가 약한 자가 힘있는 자에게 먹히는 것이라 여겨 힘있는 제후를 도와 하루라도 빨리 천하가 하나되어야 전쟁도 그치고 백성들이 피를 덜 흘린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묵적은 전쟁 없이 사랑과 겸손으로 천하가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목수들의 전쟁'은 노반이 하늘을 나는 새를 만듦으로써 아버지가 죽고, 그 죽음이 안타까워 신선의 상을 만들어 지붕에 세움으로써 비가 내리지 않으며, 저절로 움직이는 마차를 만들어 어머니를 태워드렸지만 멈추는 장치를 하지 않아서 어머니마저 영영 잃어버린 후 사람들이 잘 알지도 못하는 기술을 함부로 쓴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던 중 묵적과 그의 제자 금활리로부터 스승의 죽음을 듣게 되고, 묵적이 목수의 왕 묵자가 된 것을 안다. 묵적은 스승이 노반에게 남긴 언사의 이야기를 통해 왕과 제후들을 도와 전쟁을 일으키는 데 기술이 쓰인다면 가장 나쁘게 쓰는 것이고, 많은 사람들을 위해 쓰일 때 귀하게 쓰이는 것이며, 자신만을 위해서 쓰일 때는 천하게 쓰이는 것이라 하며 장로가 되어 함께 일할 것을 부탁하지만 노반은 각자의 길이 따로 있다며 거절을 한다.

그 후 노반은 초나라에 가서 왕에게 전쟁에 유용한 기구들을 만들어 바치고 월나라를 빼앗은 후, 송나라를 쳐들어갈 준비로 하늘을 나는 까치와 구름사다리를 만든다. 한편 묵적과 금활리는 송나라에 초나라의 침입을 방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친다.

초나라가 송나라를 침략할 계획을 알게 된 묵적은 금활리를 송나라로 보내고, 노반을 찾아가지만 노반의 생각에는 변화가 없다. 장자의 이야기를 들어 노반을 설득한 후 초나라 왕을 만나서 노반과 묵적은 나무토막으로 모의전쟁을 하게 된다. 이것이 곧 해커들의 전쟁이다. 그 결과는 묵적의 승리였다. 화가 난 노반은 왕께 부탁해서 묵적을 죽일 생각을 하게 되자 묵적은 벌써 그 마음을 꾀 뚫고는 송나라에 금활리와 다른 목수들을 보내어 초나라의 침입에 대비를 해 두었다고 한다. 초나라 왕은 묵적의 행동에 감동을 받고 전쟁을 포기한다. 화가 난 노반을 위로해 주고 묵적은 송나라에 올 때와 똑같은 초라한 행색으로 노나라로 향한다.

이 작품을 읽으며 노반이 나무로 만든 하늘을 나는 새, 스스로 움직이는 마차, 비를 멈추게 했던 신선 상, 언사가 만들었다는 움직이는 사람이 신기하거나 허무맹랑하지 않다. 왜냐면 지금 우리 곁에는 그 모습들이 비행기, 자동차, 로봇으로 다가와 있고 조만간 날씨를 조정하는 장치도 틀림없이 발명되리라고 믿기 때문이다. 2500년 전을 이야기하면서도 21C와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해커라는 의미가 달라졌다. 해커(hacker)는 남의 컴퓨터에 무단 침입하여 정보를 빼내거나 프로그램을 파괴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 하여 범죄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본 뜻은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사용하던 말로써,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작품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란 뜻이다. 묵적 또한 빌게이츠 같은 첨단과학기술자이다.

현실과 공상을 구별할 줄 알고 역사와 신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4학년에게 권한다. 오늘날의 우리가 가장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 '목수들의 전쟁'은 첨단 시대를 살아가는 4학년들에게 삶의 지혜를 안겨 줄 만한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4-03-27 0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정한 해커, 묵적에 대한 이야기 잘 보았어요. 반갑습니다. 우리 딸도 4학년 때 이 책 참 재미있어했어요. 제가 봐도 그랬구요. 작가의 상상력도 그렇고 이야기구성도 간결하면서 자연스럽지요. 우리 아이는 '사랑과 겸손'이란 제목으로 독후감을 쓰더군요. 종종 아이들 책 이야기 나누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