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 - 김홍희 사진산문집
김홍희 글.사진 / 마음산책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사람들은 묻는다. 그 많은 여행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이 어디냐고, 내 대답은 언제나 간단하다.
"사랑에 빠졌던 곳"

책의 서문에 나오는 구절이 마음에 들어, 사진도 좋아서, 무엇보다도 글자 수가 많지 않아서, 끝까지 읽었다.
서문에 나오는 위의 구절만큼 마음에 드는 문장은 만나지 못했다.
하지만,
비슷한 정도로 마음에 드는 문장은 만났다.
"중요한 것은 머문다는 것"


2.
"진실로 울어본 자들은 알 것이다. 운다는 것이 얼마나 사람의 영혼을 맑게 하는 일인지."

이 문장을 읽고 문득 자문해봤다. 
나는 진실로 울어본 일이 있는가?
물론이다.
철들고 난 이후의 나의 울음은 늘 진실이었다. 
나이 든 성년 남자의 울음은 늘 진실일 수 밖에 없다. (드물게 거짓 울음을 우는 놈들도 있긴 하지만 그런 건 논외로 치워두자.
울면서 거짓을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자는 어린애와 여자 뿐일 게다.) 

그렇다면 다시 자문해보자.
울고 난 후의 내 영혼은 맑아졌는가?
내 대답은, 
"모르겠다."이다. 

나는 영혼이란 것이 뭔지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르겠다. 
그러니 그것이 맑아졌는지 어쨌는지 역시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자문해봤다.
"울고나면 정신은 맑아지는가?"
그렇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여지껏 나는 지극한 슬픔을 살아내 본 적이 없으므로, 역시 뭐라 답해야 할지 모르겠다.


3.
"천상천하에 혼자 설 기회를 절대로 잃어버리지 말아라."
지은이의 일본인 스승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다.

이 말은 나를 두렵게 만든다. 
나 역시 천상천하에 혼자 서 보고 싶다.
하지만 하늘 위에 하늘 아래서 오로지 혼자 견뎌야 할 고독의 시간들을 생각해보면 두렵기가 한량이 없다. 

그래서, 나는 평생동안 누군가에게 기대 살고 싶다. 
그게 내가 오로지 바라는 바다.  

그래서일까, 사람 '인(人)'자가 유독 정겨워 보인다. 
이 정겨움이 나를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 
따뜻하게 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자들의 섬 밀리언셀러 클럽 3
데니스 루헤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리 좀 식히려고 읽었다.
그럭저럭 재미는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이 결말이 마음에 안 든다.
마지막은 그저 45구경 권총으로 악당들을 쏴 죽여 버려야 속이 후련한 데, 이건 마치 똥 누고 뒤 안 닦은 기분이 들게 한다. 
 

영 찜찜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을 걷다 - 2009 경계문학 베스트 컬렉션 Nobless Club 11
김정률 외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우선 순위에 밀렸다가 마침 어제 시간이 나기에 또 요즘 이상하게 기운도 없어서, 내 몸과 마음의 기운을 북돋우고자, 내가 나한테 보시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이 책에 단편을 실은 작가들의 장편을 전부 읽어보지는 않았으므로 단편만을 기준으로 말하자면, 몇 편은 훌륭하고, 몇 편은 괜찮고, 또 몇 편은 그저 그렇고, 또또 어떤 것들은 읽기가 상당히 민망해서 읽다가 말았다.
 
좌백의 <느미에르의 새벽>
진산의 <두 왕자와 시인 이야기> <그릇과 시인 이야기>
이재일의 <삼휘도三諱刀에 관한 열두 가지 이야기>

위의 세 편은 몇 편의 '훌륭함'에 속하는 작품들이다. 특히 좌백 선생이 SF를 썼다는 소문을 듣고 무지 궁금했었는데, 읽고는 역시, 좌백! ^^b  그리고 진산 선생의 작품과 이재일 선생의 작품 역시 재밌었다.


전민희의 <11월 밤의 이야기>
한상운의 <거름 구덩이>
문영의 <구도>

위의 세 편은 '괜찮군'에 해당하는 작품들이다.  


조진행의 <월아月兒 이야기> 
하지은의 <앵무새는 단지 배가 고팠을 뿐이다>


위의 두 편은 '그저 그렇군'에 속하는 작품들이다.


아래의 나머지 작품들은 읽다가 말았다. 특히 민소영의 <꽃배마지>는 읽는 내내 많이 민망했다. 결국은 마지막 쪽을 보는 것을 포기할 정도로.

김정률의 <이계의 구원자>
윤현승의 <인카운터Have A Nice Encounter>
홍성화의 <마그니안>
민소영의 <꽃배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권의 이매진 - 영화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
진중권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1.
책 뒷표지에 써 있는 문구 "이것은 영화비평이 아니다! 새로운 놀이다."처럼 놀멘놀멘 읽었다.

2.
책에서 발터 베냐민(Walter Benjamin)의 말이 꽤 많이 인용되는데, 나는 발터 베냐민에 대해서 잘 모른다. 다시 말해서, 베냐민의 책은 읽은 게 없다. 도서관에서 베냐민 선집 중 몇 권을 뒤적거리기는 했지만 작심하고 읽어보지는 않았다. 
몇 년 전에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읽을 때, "아, 베냐민을 먼저 읽을 걸......,"이라는 후회는 한적이 있다만.
 
3.
그런데 '베냐민'과 '벤야민'과 어떻게 표기하는 게 맞냐?
한글 옆에 독일어 원어를 표기해 주지 않으면 같은 사람으로 생각하기 어렵다고~!! 그러니 통일하라고~!! 헷갈린다고~!!!


호.....혹시.....나만 그런 건 아니지?    ㅡ.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강 - 한홍구의 한국 현대사 이야기 한홍구의 현대사 특강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책에 나오는 짤막한 유머 하나. (물론 휘발유보다 10배는 더 휘발성이 강한  나의 기억력에 의존했기 때문에 일정부분 누락 되었을 수도, 혹은 첨가 되었을 수도 있음을 밝힌다.)   

박정희가 어디서 밥솥을 하나 장만해서 장작불 지펴서 밥솥 가득 밥을 해 놓고 정작 본인은 한 숟가락 퍼 먹어 보지도 못하고 죽었다.
뒤를 이은 전두환 닥치는대로 게걸스럽게 퍼 먹었다.

그 뒤를 이은 노태우 밥솥을 보니 밥이 얼마 없다. 누룽지까지 박박 긁어 먹었다.
아주 힘들게 밥솥을 차지한 김영삼이 밥솥을 보니 염병~! 뭐 남은 게 없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밥솥을 긁다가 에구머니나!! 밥솥을 깨버리고 말았다.

김대중, 집안의 귀중품을 비롯해서 손에 잡히는대로 그저 닥치는 대로 팔고, 과부 땡빚에 딸라 이자주고 카드빚까지 내어서 전기밥솥을 하나 장만했다.

노무현, 이게 110v인지 220v인지 고민만 하다가 밥을 짓지 못했다.

그때 2mb가 설레발치기 시작한다. "나, 밥 잘해, 나한테만 맡겨봐 푸짐하게 먹을 수 있어, 내가 밥 해 줄 께." 그리고는 전기밥솥을 장작불 위에 떡하니 올려 놓았다.   


2.
나는 몰랐다. 
'말죽거리 잔혹사'니 '말죽거리 신화'니 하는 말이 무슨 뜻인지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부동산으로 한 껀 한 데가 바로 말죽거리란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땅값이 폭등한 곳이란다.
그때 한 껀 한 사람들(지금의 우리나라 상류계층)에겐 신화로 남은 곳이고, 뒷차를 탄 사람들에겐 잔혹사로 불리는 것이란다.
평당 30원하던 땅값이 1년만에 3,000원으로 폭등했다고. 

이때 재미 본 사람들(대부분 친일파)이 열렬하게 박정희를 지지했고 또 전두환, 노태우를 이어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상류층을 형성하고 있다.  


3.
나는 또 몰랐다.
전투경찰이라는 거, 그거,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유일하게 있단다.

전투경찰은 군법의 적용을 받는 엄연한 군인의 신분이며 군에서 경찰에게 빌려 준 거란다. 법률적용어로는 전환복무라고 한단다. 

그러니까, 지금 현재, 우리 국민이 시위를 하면 전투경찰들이 시위를 제압하는데, 이는 다시말해, 군인이 시위를 제압하는 것이며, 계엄이 아닌 상황에서 군인을 치안유지(?)를 위해 투입하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대한민국 밖에 없다는 말이다.  


4.
우리나라에서 신자유주의를 주창하는 놈들,그러니까 지금 정권을 쥐고 있는 애들,은 폭력에 기댈 수 밖에 없다. (이데올로기상의 필연적 이유라고 해도 좋다.)
그 이유란?
제일 싸게 먹히니까!

시위대 진압하는데 전투경찰 투입하는 게 싸게 먹히겠냐? 아니면 시위대의 요구조건을 들어주는 게 싸게 먹히겠냐? 
신자유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답은 이처럼 간단명료하다. 


5.
스무 살 시절, 군대 지하벙커 안에서, 붉은 보안등 아래서  <다시쓰는 한국현대사>를 읽었을 때 느꼈던 분노가 새삼 솟는다. 

 
6.
불의가 판을 치는 현재의 시대상황을 냉정하게 살펴보고 판단하려면 먼저 역사를 알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역사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