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 <파우스트>에서 <당신들의 천국>까지, 철학, 세기의 문학을 읽다
김용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를 읽다. 저자 김용규는 '설득의 논리학'에서 논리를 이용한 설득을 통해 신선한 주장을 펼쳤다. 그 책을 통해 저자를 알게 되었고, 또한 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은 그 관심의 일직선 상에 있다. 감명받은 책의 저자의 여러 저작들을 읽어 봄으로서 그의 일관된 주장과 논리를 파악해 보고자 함이 이 책을 읽게 된 계기이다. 논리, 철학, 문학 내가 쉽게 접근 할 수 없는 분야이면서, 내가 알고 싶은 분야이기에 선뜻 손이 갔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문학과 철학의 절묘한 조합이다. 문학을 피상적인 가치 판단이 아니라, 그 책 속에 함의 된 생각, 가치관등을 철학이라는 명제를 통해 풀어 놓았다. 딱딱하게만 느껴져 왔던 철학과 내면을 보지 못했던 문학을 아우르는 하모니, 그 하모니 속에서 문학은 철학을 통해 내면을 표출하고 철학은 문학을 통해 유순해진다.
그렇다고 마냥 쉽게만 읽혀 지는 것은 아니다. 존재, 관계, 만난, 가정, 사회공학, 인간공학, 등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결코 가볍지 않다. 출퇴근 시간 졸린 눈으로 한줄 한줄 읽어와서 그런지 한장 넘기기가 쉽지 않았다. 내용 또한 쉬운 것은 아니다. 읽고 난 후 내가 이런 내용을 읽었구나.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룬 13가지 고전을 읽어 봐야 겠다란 생각 만으로도 충분 할 듯하다. 이 책은 고전을 읽은 이후에 좀더 빛을 발할 책이다. 이 책에서 다룬 고전들 중 일전에 읽어본 몇몇 고전은 정리되는 듯 뚜렸해졌고, 이해하지 못한 내 지식의 끝자락이 닿지 못하던 부분을 명쾌하게 긁어줬다.
다시 되돌아와 내가 왜 이 책을 집었을까? 단순히 저자때문일까? 다시 생각해보니 그 부분 역시 간과 하긴 힘들다. 하지만 이 책을 든 또 다른 이유는 철학에 좀더 쉽게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데카르트의 방법 서설을 읽으면서 그 딱딱함에 조금씩 지쳐갔다. 해설서로는 채워지지 않는 갈증과 원서에서 읽혀지지 않는 내용의 괴리, 그 괴리를 메꿔 보고 싶은 것이 이 책을 읽게 된 첫째 이유다. 저자 말대로 카페에서 가볍게 대화 할 수 있는 주제이며 글들이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는 나 같은 사람에겐 이 또한 쉽지 않다. 언젠가 가볍게 읽을 날이 올지도 모르겠지만, 지금 현실은 벅차다.
철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 그리고 고전을 읽어 봤던 이는 이 책에서 많은 부분이 정리 될 것이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난 뒤에 한번 더 이 책을 곱씹어 봐야겠다. 내게 철학은 늘 넘지 못하는 산이다. 봉우리에 오른 듯하다가도 다시 제자리, 그 발걸음이 늘 힘겹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