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농장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조지 오웰의 '
동물농장'을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민음사의 세계문학전집을 좋아합니다. 두께도 적당하거니와 머리 식히기 위해 이전까지는 읽지 못했던 고전을 짬짬이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민음사의 시리즈 5번째 권인 동물 농장을 펼쳤습니다. 왜 이 책을 선택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아마도 샀는지가 꽤 된 것 같습니다.
대충의 내용을 모르고 읽게 되면 생각보다 강한 충격을 받습니다. 지레짐작 조차 하지 못하니, 대충 넘겨짚다 정신 바짝차리고 다시 읽게 됩니다. 이 책이 그러했습니다. 구 소련의 정치적 상황을 풍자한 소설입니다. 사회주의자인 저자가 사회주의의 모순을 풍자합니다. 해설 부분에서도 이야기 합니다만, 풍자는 시기적절하지 못하면 그 소설이 미치는 영향이 미미합니다. 그러나 이 책은 풍
자와 더불어 독재 일반에 관한 우화이기에 지금 다시 보아도 소설과 현실의 교차에서 오는 힘이 상당합니다.
늘 그러합니다만, 책을 읽다보면 책 속에서의 현실이 지금의 현실에 투영되어 머리를 어지럽히기 다반사입니다. 지금이 독재냐구요? 독재도 아닌데 이런 우화가 힘을 가질까요? 대한민국이 박정희, 전두환을 거쳐 독재 일반의 겉모습을 벗어난 것은 명백합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피상적으로 벗어나 있지, 실제로 책에서 그리는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르다면 우리 스스로가 그 울타리 속으로 다시 들어 간 것입니다. 정치적인 이야기로 블로그를 더럽히고 싶지 않기에 각설하고 다시 책으로 돌아갑니다.
메이너 농장에는 존즈라는 주인이 있습니다. 동물들을 기르며, 농장을 경영하고 있습니다. 그의 모습은 지금의 우리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소젖을 짜 우유을 생산하고, 달걀을 팔고, 돼지를 길러 도축합니다. 일상적인 농장의 모습입니다. 그러나 동물의 입장에서 보면 억울하고도, 잔인한 일입니다. 자식을 기르고 싶은 어미의 마음을 외면하고 돈으로 자식을 팔며, 죽도록 일하면 굶어죽지 않을 만큼 먹이를 줍니다. 그러다 쓸모 없으면 도축의 길을 밟습니다. 인간의 물질적 풍요를 위해 동물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강요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동물들이 반기를 듭니다. 존즈를 내쫓고, 동물들만의 농장으로 새롭게 탈바꿈합니다. 되먹지 못한 인간들을 위해서 생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위해 일을 합니다. 그 사실 만으로 모든 동물들은 희열에 찹니다. 그러나 동물들 사회에서도 글을 알고, 영리한 돼지들이 서서히 힘을 가지게 됩니다. 엘리트 집단에 의해 사회가 재조직화 됩니다. 현재의 인간 세상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일부 기득권 세력이 온 나라를 좌지우지 합니다.
그렇게 되면서 스스로를 위한 노동이 점점 기득권을 위한 노동으로 변질되어 갑니다. 결국 인간에서 돼지들의 천국으로 바뀌었습니다. 힘없는 노동 계급은 별반 달라질게 없는 세상입니다.
교묘히 행동강령을 바꾸고, 자신들에 입맛에 맞게 법을 해석하며,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 하기 위해 선전을 일삼습니다. 스탈린 시대를 비꼬고 있지만, 현실과 한치 오차가 없습니다. 실패한 사회주의를 예견합니다만, 짐짓 저자는 인간 세상을 실패를 예견 하는 듯합니다. 역사 속에서 끊임없는 권력 다툼에 기득권이 부단히도 바뀌지만, 피지배 계층의 모습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술수에 평화로운 세상이란 풍월을 쉽사리 읊조립니다.
더불어 함께 하는 세상, 결코 오지 않을까 저어하는 마음이 가득합니다. 쉽지 않다는 생각은 확고합니다. 그러나 희망없이는 살고 싶지 않습니다. 언제일지 몰라도 희망의 끈은 놓지 않을 겁니다. 다만 두눈 부릅뜨고 세상을 대해야합니다.
언론에 휘둘려 본질을 놓쳐서는 안됩니다. 그들은 지금도 부른 배 두드리며, 우리의 우매함에 조소를 띄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