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아이 사이 우리 사이 시리즈 1
하임 기너트 외 지음, 신홍민 옮김 / 양철북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하임 G 기너트의 '부모와 아이사이'를 읽었습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육아에 관심이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기가 아직 와이프 뱃속에 있지만, 태어날 아기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어떻게 키워야 하나 조금씩 신경이 쓰입니다. 그런 이유로 일전에 서형숙씨의 '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를 탐독했습니다.
2008/12/03 - [독서 흔적] - 엄마 자격증이 필요해요

이 책은 육아관련 글들을 통해 알게되었습니다. 바이블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인기가 많아 한번 읽어보자 맘 먹고 펼쳤습니다. 고백컨데 전 힘들게 읽었습니다. 건조한 문체 뿐 아니라, 저자가 든 예들이 거부감을 많이 불러 일으켰습니다. 실제 예라고는 하나 너무나 환상적인 아이의 태도변화에 의구심이 일었다는게 좀더 솔직한 표현 입니다.

제 머리를 탓해야 할지 책을 탓해야할지 헤갈립니다. 일단 저자의 글들을 제대로 파악못한 저 자신에게 책임의 대부분이 있을 겁니다. 서형숙씨의 책이 말랑말랑한 육아서적이라면, 이 책은 바이블 답게 아주 딱딱합니다. 건조한 문체에 나열형 서술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기에 몰입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론 책 내용보다는 서문과 목록에서 임팩트를 받았습니다. 다음에 다시한번 봐야한다면 서문과 목록만 볼 생각입니다. 대부분의 핵심이 목록에 다 나와 있습니다. 많은 육아 서적을 읽지는 않았지만, 읽다보면 하나의 생각으로 결론지어집니다.

"부모가 되지말고, 부모로서 인간이 되시오"

서문에 떡하니 자리잡은 저자의 문구입니다. 제 생각을 적은 듯합니다. 부모 이전에 참다운 인간이 먼저 입니다. 알량한 육아 지식만으로 애들을 제대로 키울 순 없습니다. 앎 이전의 생활에서 베어나오는 부모의 행동이 우선입니다. 남을 배려할 줄 모르는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기는 확률적으로 상당히 낮습니다. 잘키우기 위해 육아 지식을 활용하더라도 한두번입니다. 부모의 생활에 아이는 결국 동화됩니다. 그렇다고 앎자체가 소용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앎은 부수적인 것입니다.

책 중간 중간 여러 말들이 많습니다. 요약해서 이럴경우에 이렇게 저럴 경우엔 저렇게 이야기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구체적인 상황을 예단할 수 없기에 전반적인 육아의 목표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정리보다는 책에서 맘에 와닿는 문장들을 간단히 나열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 아이의 감정적인 말들에 공감이 먼저다. 일단은 공감하고, 아이의 마음을 누그러뜨린 후에 대안을 제시하거나, 제재를 가해야한다.
  • 판결을 내리고, 가치를 평가하는 칭찬을 하지 않는다. 성격과 인격에 대해서 칭찬하지 말고, 아이의 노력과, 노력을 통해 성취한 것에 대해 칭찬한다.
  • 아이의 인격이나 성격을 비판하지 않는다면 분노의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다.
  • 보상이란 사전 예고 없이 받을 때, 기대하지 않았는데 받게 될때, 행동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칭찬의 대가로 받을 때 가장 유익하며 즐겁다.
  • 이미 내용을 알고 있으면서, 아이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 아이가 거짓말을 하더라도 신경질을 부리거나 융통성없이 굴어서는 안된다. 사실에 근거하여 현실적으로 대처해야한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거짓말을 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아이들이 깨우치는 것이다.
  • 아이들이 문제를 내놓으면, 부모들이 해결책을 찾아준다. 아이들이 성숙하려면, 문제를 자기 힘으로 해결하는 기회를 가져야한다.
  • 공평한 사랑보다는 특별한 사랑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사랑의 질이 중요하다.
  • 말은 아이의 정신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 지혜의 출발점은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