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현대 정치의 쟁점

바코드: 978-89-7418-024-9

가  격: 39,000원

발행일: 2011년 4월 20일

저  자: 유정환 외




목차




책머리에 




서언    한국 문화와 정치 : 유교적 정치질서에 대한 문화론적 해석 _유정환




제1부   정치학 연구동향의 쟁점




제 1장 보편적 과학성의 허상 : 사회과학 연구의 정치적 수렴성 _김웅진

제 2장 서구 정치사상의 흐름과 국내의 주요 연구지형 _홍원표

제 3장 국제정치 분야의 경험적 연구에 관한 분석 : 『국제정치논총』(1-40집)과 『한국정치학회보』(1-34집)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_이상환

제 4장 미국 정치 연구 60년 : 회고와 전망 _이정희

제 5장 한국 학자들의 태국 정치 연구에 대한 분석 :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_서경교




제2부  한국 정치현상의 쟁점




제 6장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_강정인

제 7장 한국 국가형태와 권력행사 방식의 전환 : 권위주의 개발국가에서 신자유주의 국가권력으로 _지주형

제 8장 옴부즈만 기능의 분석적 조명 : 과제와 한계 _박재창

제 9장 정치자금법의 변화와 정당민주주의의 발전 _이상묵

제10장 선거와 정치변동 _이남영

제11장 통상외교와 국회의 역할 : 한-칠레 FTA와 한미 FTA의 사례_유현석

제12장 안재홍과 신간회 : 노마연잔두(駑馬戀棧豆)의 경계와 백열(白熱)의 정치적 삶 _윤대식

제13장 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을 통해 본 이론적 쟁점과 한국화 가능성 _김종법




제3부  국제정치현상의 쟁점




제14장 국제정치에서 힘의 속성 변화 : 소프트 파워로서의 스포츠를 중심으로 _유호근

제15장 스포츠와 공공외교 수렴 가능성의 모색 :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_정기웅

제16장 9․11 테러 이후 미국의 대테러리즘 : 조직, 정책 및 한국에 대한 함의 _윤태영

제17장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의 경제와 정치참여 : 2000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_ 권의순

제18장 동아시아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저항 :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_김영철

제19장 동북아 안보 레짐 : 전략환경과 안보 다자주의 전망을 중심으로 _설규상

제20장 후진타오 정부의 빈곤정책 연구 _홍정륜

제21장 소말리아 해적 발생과 영향 _김석수

제22장 러시아의 체제변혁과 민주주의 전망 _우준모







저자 소개




지은이 

∙유정환(劉晶煥)

- 1945년 개성

-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외과 (정치학 학사)

- 파리 Sciences-po (정치학 D.E.A.)

- 파리 8대학교 역사학과 (역사학 박사)

- 청주대학교 정외과 교수 (현 명예교수)

- 파리 1대학교, 파리 7대학교, 파리 8대학교, 프랑스사회과학원(EHESS), 프랑스국립동양학대학교(INALCO),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초빙교수

- 한국프랑스정치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역임

- 프랑스 정부 학술공로상 기사장

공저 『현대정치사상』(서울 : 교학연구사, 1996), Dictionnaire de Géopolitique(Paris : Flammarion, 1993) 외.




∙김웅진(한국외국어대학교)       

∙홍원표(한국외국어대학교)

∙이상환(한국외국어대학교)       

∙이정희(한국외국어대학교)

∙서경교(한국외국어대학교)       

∙강정인(서강대학교)

∙지주형(서강대학교)     

∙박재창(숙명여자대학교)

∙이상묵(한국외국어대학교)       

∙이남영(세종대학교)

∙유현석(경희대학교)     

∙윤대식(충북대학교)

∙김종법(서울대학교)     

∙유호근(한국외국어대학교)

∙정기웅(한국외국어대학교)       

∙윤태영(경남대학교)

∙권의순(Western Michigan University)   

∙김영철(University of Evansville)

∙설규상(극동문제연구소) 

∙홍정륜(청주대학교)

∙김석수(한국외국어대학교)       

∙우준모(선문대학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제3의 물결

부  제: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isbn  :  978-89-7418-021-8

가  격:  19,000원

저  자:  새뮤얼 헌팅턴

역  자:  강문구, 이재영

발행일:  2011년4월20일

원서명: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원저자:  Samuel P. Huntington

페이지:  439페이지




약력:

지은이   새뮤얼 헌팅턴(1927-2008)

새뮤얼 헌팅턴은 하버드 대학 존 올린 전략연구소 소장, 국제센터 내 하버드 국제지역 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은책으로 <제3의 물결 -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불협화음의 미국 정치>, <쉽지 않은 선택>, <문명의 충돌>, <문명의 충돌과 21세기 일본의 선택> 등이 있다.




옮긴이   강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미국 뉴멕시코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정치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정치학 박사). 현재 경남대학교 신문방송정치외교학부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포위된 혁명 : 니카라과 혁명 10년사의 현대적 조명』, 『한국 민주주의의 구조와 진로』, 『자본주의 체제 하의 사회변혁운동 : 칠레혁명과 아옌데 노선 연구』 등이 있고, 역서로는 『비교정치학 이론』, 『마르크시즘과 기독교』, 『라틴아메리카 정치경제학』, 『농민혁명』, 『자유주의 이후』, 『정치학의 한계』, 『제3의 물결 :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등이 있다.




        이재영

계명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계명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경남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정치학 박사). 현재 경남대학교 신문방송정치언론학부에 재직 중이다. 석사학위 논문은 ������전쟁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삼단계 정치 분석수준을 중심으로������이며, 박사학위 논문은 ������국력의 구성요소와 평가방법 : 남북한 국력비교의 활용방안������이다. 저서로는 『정치학의 이해』, 『국가의 힘 : 남북한의 국력비교』, 『전쟁 : 개념․발발과정․원인』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제3의 물결 : 20세기 후반의 민주화』 등이 있다.







목차




발간사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무엇을?   

- 제3의 물결의 시작   

- 민주주의의 의미   

- 민주화물결    

- 민주화의 쟁점    




제2장  왜?    

- 물결에 대한 설명    

- 민주화물결에 대한 설명    

- 제3의 물결에 대한 설명   

- 정통성 쇠퇴와 성과 딜레마   

- 경제발전과 경제위기    

- 종교의 변화    

- 외부행위자의 새로운 정책    

- 전시효과 혹은 눈덩이효과    

- 다양한 원인    




제3장  어떻게? 민주화의 과정    

- 권위주의 정권   

- 이행과정    

- 변동    

- 대체    

- 전환    




제4장  어떻게? 민주화의 특징    

- 제3의 민주화물결의 증후군    

- 타협과 참여/온건의 교환    

- 선거 : 예측 밖의 선거와 그렇지 않은 선거    

- 낮은 수준의 폭력    




제5장  얼마나 오래?   

- 공고화와 그 문제점   

- 고문관 문제 : 기소와 처벌 대 용서와 망각   

- 근위병 문제 : 반항적이며 강력한 군대    

- 상황적 문제, 환멸, 그리고 권위주의에 대한 향수   

- 민주주의 정치문화의 발전    

- 민주주의 정치행태의 제도화    

- 신생 민주주의 국가의 공고화에 유리한 조건    




제6장  쇠퇴?    

- 제3의 물결을 발생시킨 원인 : 계속되고 있는가, 약해지고 있는가, 변화하고 있는가?   

- 제3의 역물결?   

- 지속적 민주화 : 장애물과 기회   

- 경제발전과 정치적 리더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개헌과 동시선거

저  자:  이준한

가  격:  17,000원

발행일: 2011년 1월 27일

바코드: 978-89-7418-015-7




목차




서문

제1장 미국형(혼합형) 선거주기 : 미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필리핀

제2장 중간선거주기 : 도미니카 공화국

제3장 신혼선거주기(프랑스)와 황혼선거주기(대만)의 도입 : 불규칙한 선거주기의 탈피

제4장 황혼선거주기 : 러시아와 콜롬비아

제5장 한국의 선거주기

제6장 한국의 동시선거 실험 :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제7장 한국의 개헌과 동시선거주기 4년 연임제 대통령제

제8장 결선투표제와 선거의 비동시화 효과

제9장 한국의 중선거구제에 대한 평가




이준한 약력

이준한은 1989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을 졸업한 뒤 1992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2001년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Economics and Elections in South Korea and Taiwan"이란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2년까지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Post-Doctoral Fellow를 역임했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의 교수로 재임 중이고 2010년 7월부터는 인천학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지금까지 Democratization, Asian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등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영역은 주로 선거, 정당, 의회, 정치제도, 민주화 등 비교정치에 걸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목 차 
 

인문독서 후기

 



1. 칸트의 역사철학 - 칸트와 공화주의


2. 신자유주의는 나쁘다, 참여민주주의는 더 나쁘다 - 한나 아렌트와 그 유사품들


3. 진리의 주체와 알랭 바디우 - 바디우 독서후기


4. 젠더 트러블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성차의 진리


5. 헤게모니 전략과 냉소주의 전략 - 라클라우와 문제들


6. 에티엔 발리바르에 대한 네 가지 의문 - 대중들의 공포 독서후기


7. 라캉주의 정신분석과 정치 - 세미나11 독서후기


8. 들뢰즈의 사도마조히즘 - 악덕의 윤리적 정초


9. 당신의 무지를 변명하지 말라! - 무지한 스승 독서후기


10. 법치주의를 위하여 - 폭력 비판을 위하여 독서후기


11. 랑시에르와 민주주의 -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독서후기

 



문화비평


1. 88만원 세대, 박민규, 그리고 무라카미 하루키 - 세대론의 풍경과 그 정치적 부침


2. 하루키와 사도 바울 - 상실의 시대에 대한 비판적 독서


3. 비평은 작품의 괴사(壞死)다 - 발터 벤야민과 비평가의 포지션


4. 예루살렘의 하루키 - 하루키 수상소식에 붙인 변


5. 비평의 오타쿠화를 경계하며 -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독서후기


6. 왜 한국문학은 재미 없는가 - 문학과 사회성


7. 배트맨 다크나이트 - 진정한 할리웃 칸트주의

 



인문적 사유

 


1. 삐리리 불아봐 해체주의 - 이웃 블로거 '람혼' 독서후기


2. 근대문학의 종언과 학생운동의 종언 - 종언의 정치적 귀결


3. 기표의 용법 - 고유명과 정치


4. 주체, 구조, 그리고 반복강박 - 주체성의 이론적 가능성


5. 칸트와 함께 물자체를 - 무한판단의 문제에 관하여


6. 칸트의 유물론 - 칸트 이후 근대의 존재론적 배치


7. 헤겔을 사랑하고, 나라를 읽자! - 헤겔철학과 국가관

 


시사비평


1. 우리는 좀 더 가난해져도 좋다! - 88만원 세대 독서후기


2. 레닌주의, 좌파정치의 진정한 교양


3. 왜 레닌과 마오여야만 하는가


4. 신자유주의와 인터넷의 정치적 주체성


5. 그녀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 이유 - 김예슬 대자보에 부쳐


6. 소위 말하는 학벌 드립에 관하여


7. 학생운동의 이율배반 - 대자보에 대한 정치적 전유의 결과들


8. 왜 아직도 김예슬인가 - 김예슬과 학생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차례

    - 김영국 선생 사진
    - 인산 김영국 선생 연보
    - 인산 김영국 선생 저술 목록

    머리말 - 김세균

    I. 인산 김영국 선생의 생애와 연구업적

    1. “김영국 교수의 정치학: 삶, 그리고 연구와 강의를 중심으로” - 김학준
    2. “김영국 선생의 연구업적 내용” - 이정복
    3. “김영국 선생의 박사학위 논문, 『Leo Strauss의 정치학 론고』에 대한 소고”
    - 김홍우

    II. 인산 김영국 선생의 관심 사상가와 연구 분야

    4. “마키아벨리의 정치론: 레오 스트라우스의 마키아벨리론 재고찰” - 김경희
    5. “프랑스혁명의 루소와 칸트의 루소” - 홍광엽
    6. “다원주의 정치론의 현대적 의의: ‘영국 다원주의 (English Pluralism)’ 국가론, 결사체 민주주의, 화이부동의 정치”- 임혁백/ 장주영
    7. “민주주의의 전개와 시민교육” - 김동수

 

저자 약력: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으로 재직중이다.

 

김학준
피츠버그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초빙특훈교수
주요 논저: 『한국전쟁』『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조선』『래스키: 현대국가에 있어서의 자유』『러시아 혁명사』『북한 50년사』외 다수

 

김홍우
조지아 대학 정치학 박사
서울대 정치학과 명예교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명예원장
주요 논저: 『한국 정치의 현상학적 이해』『가치와 한국정치』(공저)『법과 정치』(편저)『삶의 정치, 소통의 정치』(공저)『현상학과 정치철학』외 다수

 

이정복
워싱턴 대학 정치학 박사
서울대 정치학과 명예교수
주요 논저: 『한국 정치의 분석과 이해』『한국의 정치적 과제』『21세기 한국정치의 발전방향』(편저)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Japanese Press 외 다수

 

김경희
베를린 훔볼트 대학 정치학 박사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주요 논저: 『공화주의』『군주론』(역서) 「마키아벨리의 국가 전략 ― ‘저변이 넓은 정체’에 기반한 힘과 유연성의 전략」「마키아벨리의 선정론 ―《군주론》에 나타난 ‘건국’과 ‘치국’의 정치학」외 다수

 

홍광엽
파리 제2대학 정치학 박사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
주요 논저: 『탈중심과 불확정성』『신좌파운동의 국제적 비교와 한국학생운동』(공저) 「과학적 정치학에 의미를 가져다주는 정치사상의 전향적 조망」「이데올로기 분석에 있어서 현대 기호학의 기여」"Sur la pensee de Mao Ze-Dong" in Marxisme Cent Ans Apres 외 다수

 

임혁백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 박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주요 논저: 『시장 국가 민주주의』『세계화시대의 민주주의』『신유목적 민주주의』『신투자국가론』외 다수

 

장주영
고려대학교 정치학 석사
국회 입법조사처 연구조교

 
김동수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통일교육원 교수
주요 논저: 『레오스트라우스의 정치철학』(공저) 『가치와 한국정치』(공저) 『통일문제 이해』(공저) 「정치적 의무의 정치화」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민족공동체 형성의 철학적 기초」외 다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