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10살이 되면 부모는 토론을 준비하라 - 예측불허 십대의 마음을 여는 토론 양육법
이현수 지음 / 김영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육아를 하기에는 아직 한참 요원한 이야기이지만, 나는 육아책을 가끔 보는 편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육아에 '사람의 본능'에 대한 이야기가 잘 스며들어있어서 읽는 재미가 있다는 것이고, 언젠간 할 것이라는 생각에 이런 저런 정보를 미리 들어두는 것이기도 하고.

이번에 읽었던 책은, 육아 책이라기엔 아이가 어느정도 큰, 10살 이후의 아이를 대하는 법에 대한 책이다.

일단 제목에 있는 토론이란 것이 내가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한국에서 특히나 부족한 부분이라 느끼는 것이다보니 한 번에 집중이 되었다. 일단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야 할 것 같다. 작가인 이현수 작가님은 엄마이자, 심리학자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사진에 나온다.

책은 심리학자답게 양육법에서의 '독립적인 인간'을 형성하는 여러 토대들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그래서 좀 더 근본적인 육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아무래도 모든 이야기가 완전한 근거중심의학이 아닌바, 약간은 인간의 직관에 기댄 생각들도 섞여있으며 이런저런 이유로 그래서 독자가 주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세한 내용을 스포일러할 순 없고, 아주 간단한 부분을 가지고 책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해본 후 리뷰를 마치고자 한다.

위 부분은 내가 인상적이었던 부분이다. 가장 많이 아이를 대할 대 실수를 하는 것은 '아이의 눈높이로 보기'를 가지고 대화를 해야하는데 그러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아이의 눈높이에서 보기를 흉내내는 어른의 눈높이'에서 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위 예시로 나온 것 처럼, 소통이 아이의 눈높이에서 이루어 질 때, 진정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아이가 스스로 (이것 역시 중요한 부분이다. ) 자신의 감정을 소화해 내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인상적이었던 부분!

여기는 '아이가 자신의 안에 있는 꽃은 스스로 키워내는 것' 그러니 부모가 도울 수 있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에게 물을 주는 법을 익히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진행한 후 그에 대한 실천방식으로 4단계의 행동지침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 방법이 상대를 (여기서는 아이를) 스스로 성장 마음가짐을 갖도록 하게 한다는 것. 꽤 당연한 듯 하면서도 사실 다른 디테일들에 묻히다 간과되곤 하는 '숲'인 것 같아서 남겨 두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간단치 않다. 얇은 책이지만 사실은 쉽지 않은 이야기인 양육법을 이야기 하기 때문에. 그렇지만 이 책을 읽고 나면, 어느 정도 방향성이 보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육아를 시작한 분들께 추천해 보며 이만 리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ctfulness : Ten Reasons We're Wrong About The World - And Why Things Are Better Than You Think (Hardcover)
Rosling, Hans / Hodder & Stoughton General Division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사에서 미리 준 덕에, 발간 전에 읽어보게 된 팩트풀니스.

나름 꽤 두께가 되는 책인데, 크게 10개의 우리의 직관에 반하는 사실들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을 이야기하면서 이 세상의 진짜 이면을 보여주는 종류의 책이다.

대개 강연을 하는 사람인 저자는, 일단은 의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연구를 하는 사람이며 그래서 그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이 세상을 '제대로' 보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책 전체적인 이야기들은 대개 많은 사람들이 알법한, 그러나 정리해서 머리에 넣어두지는 않았던 이야기들을 개진한다고 볼 수 있다.

아래는 저자의 말이며 이 책 저자의 책에 대한 자세를 알 수 있다. 자신을 도운 이들에 대한 감사를 전하고 있다.

책 내용을 디테일하게 밝히는 것은 내 리뷰에서 지양하는 부분이니, 책에서 상당히 마음에 와닿았던 부분들을 위주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먼저 아래는 연속으로 나온 페이지인데 '세계 건강 도표'라는 것이다. 여기서 의미하는 바는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가 '같은 곡선'을 가지며 지향점인 건강하며 부유한 나라를 향해 간다는 것이다. 그 흐름이 매우 비슷하게! 나 역시도 이게 상당히 재미있었는데, 저자는 자신의 나라인 스웨덴과 이집트를 비교하고 있다.

위에 말한 도표가 바로 아래에 나오는 이 그림이다. 보면 2017년의 이집트는 1950년의 스웨덴과 건강과 부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내용은 일부러 책 내용이 너무 노출되지는 않도록 하려고 작게 찍은 부분들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생각도구인 '내 틀을 부수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좀 더 특별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카테고리화, 범주화에 대한 것을 너무 strict하게 가지지 말라는 이야기를 한다.

한 마디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인데, 그 방법으로 아래 다섯 가지를 이야기한다.

내부의 차이점과 집단 간 유사점찾기. 다수에 주의하기. 예외 사례에 주의하기. 나는 평범치 않다는 걸 생각하기. 일반화를 주의하기.

모두 다 꽤나 유용할 법한 도구라는 생각에 인상이 깊어 남겨둔다.

이렇게 팩트풀니스는 다양하면서도 꽤 핫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전개하고 있다. 출간 전에 받아봐서 가제본 상태로 봤더니 약간 책을 논문 훑어보듯이 본 경향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꽤 지식적 축적이 많이 되는 책이란 생각이 들었고 무엇보다 술술 잘 읽히는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표와 그림자료도 나름 다양한 편이고. 책이 꽤 쓸만함을 추천해 보면서 오랜만의 리뷰를 마친다!

참고) 이건 저자의 TED 강연 영상! 관심있는 분들은 한 번 보시길 추천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Sm5xF-UYg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 피할 수 없는 내 운명을 사랑하는 법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인수업이 새로운 제목으로 다시 나왔다.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니체 실존 철학의 전공자 중 한 분이신 박찬국 서울대 교수님의 책으로 이번 재판본을 받아봐 읽어 보게 되었다. 나 역시도 니체에 관심이 많고 니체의 사상들에 대한 정리책을 좋아하는 바, 이번 책 역시 재미있게 읽었다.

지은이 박찬국 교수님은 니체와 하이데거로 학위와 연구 활동을 하고 계신 분이다. 나는 2014년에 나왔다는 초인수업을 읽어 보진 못했으나, 이번 책을 읽으며 느낀 바로는 이 책은 일단 생각보다 자기 자신의 이야기가 많이 섞인 책이며 (그러니까 니체에 대한 해석본이나 정리본이라기엔 본인의 인생을 니체의 사상과 결부시켜 쓴 책에 더 가까운) 또한 생각보다 금방 읽힌다.


책의 내용을 시시콜콜 스포일러 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인 얼개들을 보여주고자 한다. 

첫 번째로 가져온 것은 책의 도입부.

이 책은 니체의 사상이 필요?하다거나 더 와닿게 하려는 노력을 여러가지로 하는데, 그 일예로 변한 세상에 대한 니즈를 이야기한다. 그게 도입부에 나와 있어서 가지고 왔으며 이런 부분들이 중간중간 등장해서 독자로 하여금 책을 읽는데 좀더 신경을 쓰게 만든다.

하나 더 가져와 본 것은 이제 저자 본인의 이야기가 많이 투영된 부분이다. 일단 나도 니체를 처음 관심을 가지게 된 건 고등학교 때의 친한 친구 때문인데, 그 친구와 이야기 할 때마다 니체가 인용되면서 나도 궁금증이 생겨 읽어보고 처음엔 비판적으로 다가갔으나 대승적으로 나와 비슷한 결이 많다는 생각에서 좋아하게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이 저자도 마르크스주의자였던 지난 날에서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이 부분 역시 내게도 확 와닿았다. 나 역시도 대학에 들어와서 초반에 마르크스주의에 호감을 가졌었으니까. 다만 이를 공부하는 이들과의 만남에서 그 '쓰임;에 실망을 많이 하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그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하며 별로 생각하지 않는 사상이긴 하지만.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철학자인 저자 본인의 이야기들이 녹아 있어서 마치 친한 어르신이 이야기해 주는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이런 느낌은 친숙하게 사상을 공부하게 하고 쉽게 받아들이게 해 주기에 이 책이 가진 큰 장점이다. 다만 생각보다는 니체에 대한 깊은 내용은 없는 편이기에 만약 빡빡한 기대를 가지고 접한다면 실망할 것이라 미리 말해야 할 것 같다.
아무튼, 오랜만에 읽은 즐거운 철학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면의 과학 - 오늘도 잠 못 이루는 당신을 위한
사쿠라이 다케시 지음, 장재순 옮김 / 을유문화사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수면에 관한 책이라 워낙 궁금해 서평을 신청해서 읽어보게 된 책 '수면의 과학'. 수면과 관련된 과학적 사실들을 이야기 해 주는 책이고, 꽤나 레퍼런스도 잘 달려있어서 대중과학서로는 충분히 좋은 책이었다. 

사실 저자에 대해서나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른 채로 제목만 보고 신청을 했던 터라, 저자에 대한 것을 먼저 살펴 보았다.

저자는 의학박사이며, 기초의학의 여러가지를 다룬 분으로 특히나 수면 연구에 일가견이 있는 분이다. 여러 상도 수상한 걸 보면 아무래도 이 책이 일본에서도 꽤나 선풍적 인기를 끈게 아닐까 싶다.

책에 대한 내용을 시시콜콜히 스포일러 할 수는 없지만, 개괄적인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하는데, 일단 이 책은 간단한 그림들과 함께 과학적 지식으로 수면을 다가가게 해 주는게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었다. 무엇보다 이렇게 기억에 대한 이야기를 초반에 시작하는 것은 매우 좋은 시작이란 생각. 내가 기억을 연구하기 때문에 좀 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와닿았을 수는 있지만, 적절하고 간단히 잘 보여주는 그림이란 생각이 들어 이 그림을 리뷰에 가지고 왔다.

위의 쪽은 뉴런의 종류를 보여주며 특히 콜린성 뉴런 (아세틸콜린을 방출하는 fiber를 통칭한다)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이야기 하며 이 신호경로를 따라가는 신호가 수면에서 중요하며 각성의 렘 수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단 걸 보여준다. 실제 뉴런 연구들은 한참 더 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이야기하는게 부족한 건 사실이라고 알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수면 연구를 어느정도 대중 들에게 설명하려는 저자의 의도는 느껴져서 그 부분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뒤에서도 수면에 관여하는 circuit에 대한 이야기가 간단히 나오는데, 현재 추세는 그게 좀 더 대세인 바, 좀 더 페이지가 할애되었다면 좋았을 거란 생각은 들었다. 그래도 충분히 즐거운 책이었고, 좋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이스트 미래전략 2019 - 기술변화부터 국제정세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메가트렌드 전망과 전략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지음 / 김영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이스트에서 내놓은 미래 전략 전망 도서 '카이스트 미래전략 2019'.

원래 과학을 하고 있기도 하고, 과학에 관련된 여러 책들에 관심이 있는 바, 이런 미래 기술 등의 얘기가 총 망라된 책을 보게 되었다. 대개 이런 쪽으로 유명한 다른 모 도서보다 좀 더 체계적인 느낌이 들어서 기본적으로 좀 더 좋았다고 생각한다.


나도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이란 곳을 처음 들어본 바, 어떤 곳인지를 일단 살펴보는 게 좋을 듯 하다.

미래전략 보고서를 벌써 5번이나 낸 이 곳은 우리나라 최초의 미래학 연구 기관이라고 한다. 미래학이라고 하면 아직은 뜬구름같긴 하지만, 그리고 그 효용성에 대해 물음표를 붙이는 사람도 많으나 나에게는 필요한 곳이란 생각이 든다. 이게 정답이든 아니든, 현재의 기술력 등을 비교적 편히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다. 

이 책의 과학챕터는 내가 꽤나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이야기들이 가득 있었으나, 국제정세, 경제 등은 거의 강의듣는 느낌으로 읽었다. 내가 참 보는 눈이 좁았구나 싶기도 했고. 
읽는데 생각보다 훨씬 오래 걸리기도 했다. 일단 가장 인상적이자 영향력이 클 듯했던 것을 찍어 두었다.

일단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라고 불리는 이 유전자 가위는 쉽게 말해 유전자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 컴퓨터가 망가지면 문제되는 부분을 찾아서 고치듯, 인간도 이제 유전자 수준에서 고치고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직은 질병의 치료 측면에서 생각 중이지만, 원래 발현되는 형질 (예를 들면 키, 외모 등)에 대한 변형도 가능하기에, 태아 편집에 대해 큰 윤리적 문제가 있다. 

이미 기술력이 꽤나 올라왔기에 이에 대한 생각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자동차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는데, 여기서는 자율주행차의 한계를 보여주며 사고 이야기를 하는 파트가 인상적이었다. 내게도 당연히 다가올 기술이라는 막연한 생각이 있는데, 아직도 생각보다 기술의 '완벽함'을 가지기는 한참 멀었구나. 그리고 완벽이란 없으니 어느 정도 확실해짐을 필요로 하는데 그 역시도 아직은 어려운 일인가보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그래도, 자율주행차에 대해서는 긍정적 생각이 들기도 해서 과연 어떻게 이 산업이 진행될지 궁금해졌다.

금융산업은 내가 좀 아둔하고 모르는 분야이긴 한데, 금융구조에 대한 진단에서 꽤나 와닿는 부분도 많았다. 내 입장에서도 비트 코인 등 새로운 화폐나 디지털 혁명등이 어느 정도는 책을 통해 접해본 바,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들이 생각보다도 성큼 다가와있음이 느껴졌다. 
 금융산업의 미래를 논할 때는 항상 부의 추월차선이란 책이 떠오르는데, 그 책에서 이야기한 것들이 펼쳐지고 있단 생각에 좀 놀랍기도 하고.

 내게는 이런 거시적 시각에서 디테일한 정보를 레퍼런스로 알려주는 책이 딱 맞다 느꼈다. 읽으면서도 내 그릇된 지식들도 좀 수정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여러모로 좋았던 시간이었다. 만족스러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