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소의 꿈 낮은산 너른들 1
김남중 지음, 오승민 그림 / 낮은산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곧이라도 거친 느낌의 종이를 뚫고 나올 것만 같은 표지 속의 들소!
'들소의 꿈'이라는 제목과 그림만 보고 있어도 전체 책의 느낌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

그리고 1시간 만에 다 읽었다.
다시 책장을 열고 장마다 나오는 그림들만 쭉 모아놓고 보니, 그것만으로도 마지막에 가서 약간 눈가가 따뜻해진다.

미국의 이라크 침공과 대한민국 파병, 그리고 그 속에 놓인 생명 존엄!
들소라는 알레고리를 동원해 작가 김남중은 우리가 놓치고 있던 전쟁의 실체를 고스란히 드러내 준다.

점점 궁금증을 만들어 가면서 긴장감 있게 이야기를 얽어 몰아가는 초반은 개성 있는 캐릭터들과 함께 읽는 재미를 준다. 
그리고  솔직히 중반에는 너무 직설적으로 비유해서 보여 주는 미국과 부시, 그리고 이라크와 파병 군인들의 모습에 약간 당혹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이야기의 초점이 단순히 적대적 관계, 혹은 침략과 방어의 문제가 아닌, 생명의 존엄에 대한 물음으로 치달으면서 들소 '깨진뿔'과 그의 아들 '큰머리', 그리고 인간 '용신'의 아픔 속으로 자연스럽게 빠져들게 된다.

김남중이라는 작가의 큰 장점은 바로 속도감 있는 문체, 잘 짜여진 이야기의 장치, 그리고 그 둘을 묶어 가슴으로 읽을 수 있게 만드는 능력이 아닐까 한다.

한 가지 고민. 내가 부담스럽게 느꼈던 중반부의 직설적 비유는 어쩌면 어른들만의 문제는 아닐까 생각해 봤다. 아이들은 그러한 배경지식 없이 글에 몰입해서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이러한 직설적 비유 역시 의미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괜히 어른 독자들을 상정해서 모호하게 구도를 짰다가 이도저도 아닌 설교만 늘어놓는 것보다 말이다.

하여간, 다음 작품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의 기원 - 자연선택의 신비를 밝히다 주니어 클래식 1
윤소영 풀어씀 / 사계절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분야를 전공하시는 누군가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솔직히 [종의 기원]을 원어로 읽어 보면 '참 못 썼다!' 이런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보고서는 오히려 [종의 기원]의 참 면목을 봤다고 했다.

그리고 그 분의 소개로 이 책을 주저없이 샀다.
생각해 보니, 예전 두툼한 책으로 좀 읽다가 내팽개친 기억이 난다.
뭐 물론 당시 세로쓰기에 워낙 엉망이었을 번역이었기에 그렇지만...

책의 표지에 보니 다윈의 이름이 아니라 '윤소영 풀어 씀'이라고 돼 있다. 역자라는 말을 괜히 이렇게 쓴 건가 의아했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난 후, 오히려 윤소영이라는 이름이 더 크게 들어가야 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 정도로
윤소영 씨는 [종의 기원]이라는 책을 따라가면서(인용하면서), 진화론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완벽하게 풀어서 새로 썼다.

진화론에 대한, 다윈에 대한, 그리고 [종의 기원] 번역서는 많다.
하지만 그 어떤 학습서도, 과학교양서도 이처럼 폭넓게 진화론을, 그리고 너무도 쉽게 설명해 내고 있지는 못하다.

진화론 이전의 과학계, 진화론 이후의 발전상, 만약에 다윈이 멘델의 유전법칙을 알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설명 등 그 어느 하나도 친절하지 않은 게 없다.

청소년부터 어른들까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 강추다!

그리고, 나머지 주니어 클래식 두 권도 꼭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복수는 나의것 ( 2disc ) - [할인행사]
박찬욱 감독, 송강호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드디어 박찬욱 복수 삼부작을 마무리했다. 역순으로.
몇 번을 틀었다가, 이러저러한 이유로 끝까지 보지 못했다. 첫째 현장음(철공소 소리, 사람 소리 등등)이 너무 강렬해서 저녁이나 밤에는 부담스러웠다. 둘째 처음 돌렸을 때, 기주봉이 자해하는 장면에서 끊김현상이 생겼다. 약간 짜증났다. 셋째, 그러다 보니, 금자씨까지 다 보고 봐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ㅋㅋ

우야둥둥 주말상영작 중 첫 번째 주자로 봤다. 뭐랄까, 가장 액션씬이 적지만, 가장 흠씬 두들겨 맞은 듯한 느낌이 드는 영화다. 송강호가 영화 끝날 즈음 그런다. 신하균을 죽이면서 "너 착한 거 알어. 그런데 죽여야 해. 너도 이해하지?" 그리고 강물 속의 신하균 발목을 끊는다. 글쎄,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건 바로 그거 아닐까? 혹은 올드보이, 금자 씨 공히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것 아닐까?

복수라는 매개를 가지고, 과연 나는 누구를 '심판'(평가)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그것은 곧 누군가는 나를 심판할 수 있는가? 혹은 절대자는 나를 심판할 수 있는가? 혹은 주체는 모두가 독립적일 수 있는가? 라는 질문 말이다.

성폭력이라는 범죄는 사형감이지만, 그 범죄자를 사형할 수 있을까? 사형 폐지론자들의 이야기다. '본보기'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래저래 생각을 해봤다.

박찬욱의 '달은 해가 꾸는 꿈'이 디비디로도 나올까? ㅋㅋㅋ 삼인조라도 나오면 좋으련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양연화 FE (2disc) : 아웃케이스 없음
왕가위 감독, 양조위 외 출연 / 드림믹스 (다음미디어)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오래 묵혀 놨다 봤다. 좋다. 근데 도대체 몇 번 대사와 화면을 확인해도, 이놈의 홍콩 집은 어떻게 된 건지 잘 모르겠다. 어디선가 나왔던 것처럼, 공동의 주방 혹은 휴게실이 있는 게 아니라, 복도가 쫙 있고, 몇몇 집이 있고, 그 안에 양조위나 장만옥이 세 들어 사는 거 아닌가 싶다. 각각 그런 공동 주방이 있고... 어쨌든 양조위와 장만옥은 몇 번을 봐도, 무슨 영화를 봐도 질리지 않는다. 그들의 컬렉션을 한번 만들어 볼까 고민중이다. 또 엄청 깨질려나? 어쩜 나는 왕가위를 좋아하고 있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단지 아픈 기억 때문에 그를 외면하고 있을지도. 슬슬 정직해 보려 한다. [동사서독]을 제대로 볼 수 있을 날이 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젝트 A 1 + 2 박스세트 [dts] - 할인판
성룡 감독, 성룡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역시 성룡이다. 한동안 잊고 지냈는데, 요즘 다시 그에 대한 혹은 이 삼인방에 대한 애정이 새록새록 각인되고 있다. 플젝 이후 홍콩영화를 자주 보게 되는데, 의외로 이 영화들은 효과음이 영화 감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래서 볼륨을 대략만 해놓고 봐도 충분히 아크로바틱을 만끽할 수 있다. 황비홍이나 프로젝트 A, 쾌찬차를 다시 보면서 든 느낌은 의외로 만담이 강하고, 스토리 전개에 신경 쓰면서 액션의 템포 조절에 신경을 쓴 영화다라는 것이다. 프로젝트 A에 중반 이후에 보면, 해적 소굴로 들어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물론 안에야 세트지만, 입구 부문은 얼마 전 가 본 남해의 섬 같았다. 혹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