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류세에 대해 인문학이 답하다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지음, 조성환.이우진 옮김 / 군자출판사(교재) / 2024년 11월
평점 :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종래에 '근대'라고 하면 봉건적인 중세와는 다른 '새로운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산업혁명, 자본주의, 국민국가, 합리주의, 자유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진보되고 발전된 세련된 시대라는 이미지가 지배적이었다. 반면에 인류세는 산업혁명과 자본주의로 인해 발생한 인위적인 기후변화가 일어난 시기를 가리킨다. 그래서 인류세 개념에는 인류가 전대미문의 위기 상항에 직면한 '어두운' 시대의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p.ⅹⅲ
차크라바르티는 기후변화를 이 시대를 대변하는 '시대 의식'으로 보고 있다. '시대 의식'은 야스퍼스의 개념으로, 쉽게 말하면 '문명의 위기 의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야스퍼스에 의하면 이러한 시대 의식은 분과적 학문의 관점에서는 접근하기 어렵다. 즉 전체적 관점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비록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은 분과적이고 전문적이어야 할지라도, 인류 '공통'의 시대 의식은 전문적인 학문 분야를 넘어서야 구축될 수 있다는 것이 차크라바르티의 생각이다.
p.ⅹⅶ
시대 의식은 우리가 공통적인 것을 구성해야 할 긴급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의 사고 실험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정치적인 것에 사로잡혀 당파적인 것이 될 위험이 있는 개념적 투쟁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시대 의식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이라면 감수할 수밖에 없는 위험입니다.
p.23
그렇다면 시대 의식으로서의 기후변화는 분할된 정치적 주체로서의 인류인 '호모'와 지질학적 힘으로서, 하나의 종으로서, 집단적이고 의도하지 않은 형태의 존재인 이 행성의 생명의 역사의 일부로서의 '앤트포로스' 사이의 분열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pp.77~78
우리는 지금 우리에게 닥친 지구 시스템의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집단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 역량은 정보에 입각한 정치적 의지에 의해 동원되어야 한다.
- J.L. 브룩
p.85
우리 인간은 정치적으로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인간 내부의 불의/정의와 복지의 역사는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노력과 무관하지 않고 필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기후변화의 위기는 인간과 무관한 생명의 연대기와 지질학의 연대기에 우리를 내던짐으로써, 우리를 분할하는 인간 중심주의로부터 멀어지게 합니다.
이 위기를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우리의 정치사는 계속해서 우리를 분할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분할의 정치사를 단지 자본주의 역사의 맥락에서가 아니라, 지질학적이고 진화적인 역사라고 하는 훨씬 광대한 캔버스 위에서 생각해야 할지 모릅니다.
p.103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인류세에 대해 인문학이 답하다> 中
+) 이 책의 저자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기후 위기 현상에 대해 지금까지의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중심, 자연 중심 등의 어느 한 측면, 혹은 자연과학적, 지질학적, 인문학적 등의 어느 한 학문이 아니라 지구적이나 세계적이라는 말을 넘어서서 조명해야 한다는 말이다.
저자는 이를 '행성적 사고'로 언급했는데, 인간을 행성과 생명의 역사적 흐름 속에 두고 자연사와 인간사의 통합인 새로운 지구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자가 언급한 '행성, 인류세, 앤트포로스와 호모, 생명과 시대 의식' 등의 개념은, 여러 인문학자들의 의견을 살펴 정리하고 다듬으며 새롭게 정의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지구 인문학자이면서 인류세 인문학자로 기후 변화와 관련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사람이다. 비교적 작고 얇게 구성된 이 책은 저자의 '테너 강연'인 [인류세 시대의 인간의 조건]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기후 변화를 인류세 인문학자의 시선으로 설명하고 있기에 쉬운 내용은 아니다. 여러 인문철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본인의 주장을 펼치기 때문에 천천히 곱씹어 읽어야 무슨 말을 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기존 학문에서 벗어나 새로운 학문을 개척하는 저자의 모습에 감탄했고, 인류세와 시대 의식 등의 낯선 개념으로 기후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 반가웠다.
이 새로운 분야에 호기심이 있거나, 기후 변화를 인문학적으로 풀어보는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읽으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 책이었다. 소논문을 읽는 느낌이었으니 대중적이라기보다 전문적인 글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