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15
칼 폴라니 지음, 홍기빈 옮김 / 책세상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카고 학파를 필두로 한 ‘신자유주의’에 대한 진지한 비판적 목소리들이 하나 둘 등장하고 있다. 케인즈주의로의 회귀, 마르크스의 이론에 대한 숙고 등이 한 방편으로 등장하고 있긴 하지만 어느 것도 자유주의의 전면적 대안이라고 하기에는 힘겨워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일종의 이론적 사면초가라고 할 수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학자가 있으니 그가 바로 ‘칼 폴라니(Karl Polanyi;1886~1964)’다.

가장 널리 알려진 폴라니의 저작은 <거대한 전환>이다. 그의 초인적인 박학다식의 영향을 받아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등의 전 분야를 망라하는 <거대한 전환>을 일반이 쉽게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는 그러한 어려움을 다소나마 완화하기 위한 폴라니 입문서라 할 수 있다.

이 짧은 문고판 책에도 폴라니가 가지고 있었던 시장과 노동, 그리고 사회와 경제에 대한 생각이 비교적 상세히 드러나 있다. 케인즈는 폴라니에 비하면 대단히 소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시장이 자연적으로 생겨났던 것이며, 경제생활이 인간의 삶을 특정한다는 전통적 견해를 폴라니는 전면적으로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시장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다만, 경제가 다른 사회영역보다 주도적 위치에서 인간 삶을 규정하게 된 것이 노동과 토지, 화폐의 상품화 때문이라고 봤다. 노동과 토지, 화폐는 본래 판매를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으므로 폴라니는 이들을 ‘상품허구’라고 말한다.

‘상품허구’가 탄생하기 이전, 즉 전면적인 시장경제체제 이전의 사회에서, 폴라니는 경제가 인간의 사회적 관계 속에 배태된(embedded) 것으로 보았다. 동시에 인간은 경제적 존재라기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갈파한 바 있듯, 사회적 존재라고 여겼다. 즉, 사회적 관계 속에 배태되어 있던 경제가 전면적 시장경제체제에 이르러 사회적 관계를 압도했고, 호모 이코노미쿠스라는 명제가 종교적 진리처럼 떠받들어지게 됐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폴라니에 따르면 경제체제는 사회 안으로 흡수되어야 한다. 경제는 본래 사회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그는 국가의 개입으로 전국적 규모의 시장이 확고부동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고 보았다. 노동이 상품화 되면서 인간은 ‘인간성’을 상실하고, 굶주리지 않기 위해 애쓰는 자가 되고 말았다.

이 책에서 폴라니는 시장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존재했으며 변모해 왔는가에 대해 나름대로 설득력있는 주장을 펼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는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민주적 사회주의’하에서 이상적인 조직의 모습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자신의 비판이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한다. 책의 가장 마지막 장에 수록된 역자의 폴라니의 삶과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다이제스트 역시 이 책에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