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한달여만에 들어와보는 블로그다. 10월 말 경에 랩탑을 교체했으니까, 새 컴퓨터로 글을 쓰는건 처음인 셈이다. 일기는 되도록 날마다 쓰면 좋다는 생각이 들지만, 쓸 만한 장소가 문제다. 싸이월드 다이어리는 너무 많은 주변 사람들이 읽을 것 같아서 부담스럽다. 그렇다고 그냥 일기장에 손글씨로 쓰기는 너무 번거롭다. 일기를 쓰는 것이 번거로워서는 일처럼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아무도 못 보게 워드프로세서 같은 데 쓰기는 정리도 안되고 성의가 없는 것 같다.

여기 쓰는 편이 가장 적당해 보인다. 오다가다 사람들이 읽어도 큰 부담 없고 너무 성의 없어 보이지도 않는다.

p.s : 트위터(twitter)에서 의외로 촌철살인의 글도 가끔 읽게 되는데 일상의 활력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년 10월 10일 토요일

전날 폴라니의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주의인가>를 읽느라 새벽 늦게 잠 들었다. 오전 10시 경 늦은 아침을 먹고, 폴라니의 또 다른 책 <거대한 전환>과 바바라 터크먼의 <8월의 포성>을 읽었다. 두 책 모두 다 읽지는 못했다. 역시 이론서인 <거대한 전환>에 비해 장면의 묘사가 실감나는 <8월의 포성>이 더 술술 읽히는 느낌이다.

동아리에서 폴라니 세미나를 3시간여에 걸쳐서 했다. 사실 폴라니를 읽은 이유도 이 세미나 덕분이다. 나는 발제자도 대표답변자도 아니었지만, 나름 능동적으로 세미나에 참가했다고 생각한다. 폴라니의 “자유방임은 국가의 계획에 의한 것이다”라는 주장은 신선했고 설득력도 있었다.

세미나가 끝난 후 나의 발언에 대한 한 참가자의 코멘트가 있었다. “정리를 참 잘하시네요”란다. 전에도 한 번 들은 적이 있는 말이다. 언뜻 듣기에 칭찬이다. 발화자의 의도 역시 그러했으리라 짐작해보지만, 마음이 개운치만은 않다. 정리를 잘 한다는 칭찬은 남의 말을 잘 알아듣는다는 뜻인 동시에 나의 주장이 그 남의 말 속에 함몰된다는 징후인 까닭이다.

어릴 적부터 말실수가 적다는 이야기를 나는 종종 듣곤 했다. 내가 말을 할 때 그만큼 조심한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조심하는 습관은 실수를 줄이게 마련이다. 나는 내 글에서도 종종 이와 비슷한 습관을 목도한다. 논리적인 글에 비해 감정을 표현하는 글에 있어서 내가 대단히 서툴다는 것은 이제 하나의 개인적 신화가 되어버린지 오래다. 글이 솔직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내 글이 솔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해서일까. 나는 언제부턴가 말과 글의 진정성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다.

진정성이 사라진 말과 글은 주목받지 못한다. 아무리 서툰 사람이라도 대상의 진정성은 감각적으로 알아차리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굶주린 아이의 눈빛처럼 진정성은 상황에 따라 의사소통의 도구인 말조차 불필요하게 만들 때도 있다. 인간은 타인의 진정성에 대해 똑같은 그것으로 화답한다. 그것이 축복이건 저주건 그 내용물은 중요하지 않다. 그것이 진정이냐 아니냐하는 것이 문제다. 진정어린 축복에는 진솔한 감사로, 처절한 저주에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 대응하는 것이 인간의 속성이다.

말과 글은 인간의 내적 감정에 대한 진솔함을 갖추고 있을 때 그 힘을 발휘한다. 그것은 오로지 진정성 아래서만 주목받는다. 진정성이 사라진 말과 글은 관례적 의미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러한 말들은 피상적이고 사무적인 차원에서의 의미는 가질지언정 진실로 인간들로부터 주목받을 수는 없다. 아울러 감동을 자아낼 수도 없다. 어떤 예술작품을 접하고 그것으로부터 별 감흥을 얻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만들어진 백마디는 진정으로 감동받은 사람의 소박한 한 마디보다 결코 사랑받을 수 없다. 

사회적 차원에서 이러한 관례적 소통이 갖는 장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발화자 스스로 적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차단을 의미한다. 늘상 자신을 감추고 몸을 사리는 덕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통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스스로의 의식적 노력을 통해 차단을 하던 초기와는 달리 그것이 습관화되면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말과 글에 진정성을 담는 것을 엄청난 모험처럼 여기게 되는 까닭이다.

대부분의 인간이 일상에서까지 굳이 모험을 선택하지는 않는다. 직장 혹은 학교에서 우리는 이미 충분히 시달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진정성에 대한 모험의 의지는 점차 잊혀져간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의지가 있기는 있었나?’라고 반문하기 시작하고 완벽하게 망각하거나 혹은 무시한다.

인간의 내적충동 혹은 열정은 ‘소통하고자 하는 의욕의 부재’탓에 그 활기를 잃을 위기에 처했다. 나의 내면에 존재했던 의지는 ‘말할 수 없음’으로 인해 식어가고 있다. 아무도 없는 황량한 사막 위, 생존을 위한 물질적 조건만이 주어진 현실에서 감정과 열정은 끊임없이 식어만 간다. 바야흐로 인간성의 위기다. 그것은 바로 ‘나’의 위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