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달콤하게 보다가 의외로 눈보라가 오래 갈지도 모르겠는데.”

에이이치가 나지막하게 말했다.

“달콤하게? 눈보라가 맛이 있습니까?”

나는 느낀 그대로 질문했다.

-이사카 코타로의 <사신 치바>, '산장 살인 사건' 중




위 인용문 중 '나'는 바로 사신(死神) 치바. 인간의 외모로 변신할 수 있으나

인간의 어법,  특히나 비유에는 약하다.

그래서 앞 사람의 말을 듣고  "눈보라가 달콤하냐"라는 말을 하게 된다.

그런데 첫번째 대사에서 "달콤하다"라는 말은 아마도 일본어 "甘い"를

번역했을 것인데 여기에서 "甘い"의 용법은 "달콤하다"가 아닌

"안이하다, 어수룩하다"(뉴에이스 일한사전 "甘い" 중 6번 용례)일 것이다.

자주 쓰는 표현이니 번역자가 실수한 것은 아니고 첫번째 대사에 이어지는

사신의 말 때문에 굳이 "달콤하다"라고 쓴 것이리라.

그런데 마음에 걸리는 건 한국어 사전의 용례에서 "달다"나 "달콤하다"가

"안이하다, 어수룩하다"라고 쓰이는 경우가 없다라는 것

(내가 과문하여 그런 말쓰임새가 있는데 모르고 있는 거라면...

그래도 넘어가자).

이 문제의 "달콤하다"를 적절하게 해결할 만한 마땅한 대체어도 떠오르지 않는다.

그럼 위 인용문을 다르게 표현할 경우의 수는 무엇일까.

두 가지 경우의 수가 떠오른다.

하나는 괄호나 각주를 통해 "甘い" 용법과 사신 치바의 오해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

그러나 소설에서 이런 게 달리면 지저분해지기 일쑤이고 다소 구차하다.

그럼에도 정확하게 의미 전달을 할 수는 있다.

또 하나는 문장을 한국식으로 바꾸는 것. 예컨대 다음처럼.


"하지만 그렇게 안이하게 보다가 의외로 오래 가서 눈보라에 쓴맛을 볼지도 모르겠는데.”

에이이치가 나지막하게 말했다.

“쓴 맛? 눈보라에 쓴 맛이 있습니까?”


이렇게 되면 문장의 전체적인 뜻은 통하게 되는데 역시 원문을 훼손하게 되어

고쳐놓고 왠지 뒷맛이 찝찝하다.

개인적으로는 설명을 다는 쪽을 택하겠지만.

역시 이것도 취향의 문제일까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igha 2006-06-23 2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게 괴로움이고 묘미고 그렇죠!(일단은 무책임할 수 있으니까요;) 사실 '쓴맛'에 꽤 경탄했어요@_@ 느낌도 살리고, 부자연스러움도 없는 좋은 선택이지 않을까요?

한솔로 2006-06-24 0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야 군소리 많은 편집자고, 아니 그 이전에 시비거는 독자니까 이런 소리하지요. 일감으로 번역한다면 그냥 대체로 눈감고 넘어갈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