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풍속의 역사 1 - 풍속과 사회
에두아르트 푹스 지음, 이기웅 외 옮김 / 까치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다른 생물과 공통적으로 가지는 본성은 거칠고 변덕스러운 환경에 맞서 그 생존을 오랫동안 지켜내려는 것이다.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개체자신을 지속하려는 것과, 짝짓기를 하여 생존력이 강한 후세를 만들어 번창시키려는 것은 생물의 갖가지 행동을 이루는 욕구 전체이다. 이런 저차원적 동물적 본능에 대하여 인간이 다른 생물과 차이점이라고 자랑하는 것은 지능과 문명이다. 고차원적인 문명이 중요한 축으로서 세우는 경제와 문화는, 그 流麗한 어감에도 불구하고 개체유지와 후세번식이라는 앙상한 동물적 본능을 꾸미는 지능의 장식에 불과하다. 장식하는 와중에 언뜻 다가가는 진리는 뜻밖의 부산물이다.
인류 중 생산수단을 가지는 지배적인 무리들은 그들이 가지는 생존에의 우월적 지위를 고정하는 방편으로 도덕률을 이용한다. 권력이나 법률 기타의 장치들이 피지배층들의 무릎을 꿇리는 대신 투쟁의지를 자극하는 측면이 있다면, 도덕률은 생산수단을 갖지 못한 무리의 마음 깊숙이 녹아들어 투쟁의욕을 잃게 한다. 무산계급이 도덕과 종교의 장엄한 거죽에 취해있을 때 생존의지, 성적충동, 생산관계 등이 얽혀진 도덕의 심층이 작용한다.
영구불변한 도덕에의 순진한 바램도 헛되이, 생산관계가 급변하는 시대에는 인간이 만든 도덕의 거죽은 자연이 만든 성적충동을 견디지 못한다. 생산관계의 변화가 역사를 움직이는 源泉임이 알려질 때, 풍속이 역사의 眞皮임을 간파한 지성인이 나올 법하다.

1870년에 독일에서 난 푹스는 성실한 수집가와 저작자의 태도로서 르네상스, 절대왕정, 초기산업사회로 이어지는 유럽근세사를 통찰하고 있다. 역사가 벌어지던 때 이야기와 경박한 호기심도 끌만한 삽화는 그가 역사를 보던 원시적인 창이었고 또 후세가 볼 수 있는 유일한 창이다. 경박한 호기심은 사회가 강요하는 도덕과 아울러 사람들의 행동을 만들어내는 재료라는 점에서, 근엄한 표정을 짓는 제도권 지식인들의 백안시에도 불구하고, 風俗畵는 훌륭한 선택이었다. 독자들은 박물관에 온 듯한 분위기에서 사회경제사적 통찰을 얻을 수 있다.
토지가 압도적인 생산수단이던 봉건시대에서 상업자본이 스며들기 시작한 르네상스, 봉건귀족과 상인이 겨루고 있던 절대왕정시대, 산업혁명의 힘까지 가진 상인이 독보적인 지배자로 나서는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도덕은 그들 경제적 지배계급의 시종이었다. 그들의 이익과 즐거움을 위한 도덕이 각 시대마다 발명되었고 무산계급에게 선전되었다. 재화를 독점한 지배계급은 성적 쾌락도 가급적 화려하게 즐기려고 했었다. 재화는 늘 부족한 법이므로 피지배계급으로부터 징발되었지만 성적 쾌락은 지배자들의 이해에 엇갈리지 않는 범위에서 좀 남겨두었던 모양이다. 모럴은 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布敎되었다.
이러한 관점을 과거로 뻗치면 일부일처제는 사유재산을 후손에게 높은 확률로 넘기도록 여자에게 강요한 것일 뿐 경제적 강자인 남자가 그 처신을 다듬고자 만든 금제는 아님을 알 수 있다. 생산관계에 결부된 각 시대들은 칼로 자르듯 나뉘는 것이 아니고, 어떤 시기에 어떤 시대의 성향이 주도적이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가 몸담고 있는 지금에 있어서도 옛 시대들의 자취가 남아 있어서, 그 때의 도덕률의 흔적이 남아있다. 섹스는 길고 도덕은 짧으므로, 어떤 시대의 도덕에 묶여서 현재의 풍속을 애달파하는 것은 허망한 일이다. 현재의 풍속은 통찰하면 그만이고 자기가 설정한 도덕은 자신을 향하면 되는 것이다.

원전은 푹스는 혼신의 힘을 다해 지었고, 그 진실에의 솔직함으로 인해 히틀러에게 焚書되었다. 일본인 安田德太郞은 열정을 다하여 번역하였고, 그 번역물은 군국주의 일본치하에서 압수되었다. 1972년에 완료한 번역을 우리말로 거듭번역하였다고 한다. 重譯 역시, 발터 벤야민의 푹스評의 번역에 빗대어 볼 때, 충분히 성실하다.
[2001-1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적 고통 - 인간의 고통에 대한 사회학적, 의학적, 문화인류학적 접근
아서 클라인만 외 지음, 안종설 옮김 / 그린비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관음증은 현실적인 개입이라는 사회적책임이 배제된 채 안전한 곳에서 고통을 분석할 때 생기는 결과이다.(19p)

삶의 괴로움에 대하여, 개인의 비극에서 사회적인 고통으로 범위를 넓혀서, 감성적이라기보다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사회학, 인류학, 의학의 전문가들이 통합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죽음과 고통, 잔혹에 관하여 이야기를 풀어 놓았다. 사회과학자들의 은어를 배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구비문학대계 6-1 : 전라남도 진도군편
지춘상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94년 6월
평점 :
절판


진도말을 통하여 내 문학적 뿌리를 찾기 위해 빌린 이 책에서, 1970년대 어른들의 정서와 익살, 따뜻한 동네분위기를 알아 볼 수 있었다. 화자와 청자들이 한마음으로 독백을 하듯 했다. 화자가 설득력이나 공통의 주제를 가지고 있느냐는, 청중이 곧바로 응답하였다. 이야기를 화자가 자기 가치관에 맞춰 다듬을 때 청중은 침묵했고, 화자의 가슴에서 터져나온 이야기에 생각의 틀이 얹혀있지 않으면 청중들은 자지러졌다. 녹취된 것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正本을 한 번 사서 보아야 한다.
---
(만든 사람들) 지춘상 전남대 국문과 교수
1. 군내면 둔전리 79.7.31-8.2
최소심(1907), 조공한(1931), 박길종(1920), 손판기(1918)
2. 지산면 인지리 79.7.26-28
벽재천(1905), 조공례(1927), 박병천(1931), 벽국전(1905)
3. 의신면 청룡리 1979.7.29-30
조덕순(1897), 주병욱(1914), 허삼심(1926), 한병문(1925), 김통순(19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을 넘어서 그리폰 북스 10
시어도어 스터전 지음, 신영희 옮김 / 시공사 / 1998년 3월
평점 :
절판


文明은 無明에서 태어났습니다. 문명은 明의 표현형태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한편, 세상에 살아 있는 사람에게 그의 존재는 정당성에 선행합니다. 문명에서 그를 '바보'라고 부르건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부르건...

'바보'는 문명의 바깥에서 길을 깨우치기도 합니다. [1장: 이상한 바보]론은 야만상태에서 자라나 청년이 된 다음에야 사람세상으로 들어옵니다. 그는 단지 자기를 돌봐준 농부의 트랙터가 진창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버둥거리는 것이 안타까워 반중력장치를 만듭니다. 론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언어 없이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제니는 무생물과 의식을 나누어 정신감응능력을 가지는 소녀입니다. 쌍동이 흑인소녀는 그들의 몸을 공간 어디에로든지 옮길 수 있습니다. 23번 염색체가 세 개여서 몽고증후군이라는 병명이 붙은 아기는 모든 문제의 답을 압니다. 제니의 언어-비언어 통역기능을 통하여 론은 아기와 대화를 나누어 반중력장치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이 다섯 사람은 공통의 의식을 가지면서 다른 몸에 존재합니다. 각각의 기억을 가지면서도.... 이들 각각은 '문명'의 이방인이지만 글들의 공통존재인 HOMO GESTALT는 ego의 존재를 속성으로 가지는 Homo Sapiens보다 한 차원 높은 존재인 것입니다.

[2장: 아기는 세살]일 무렵 론은 죽음을 예감하고 제리를 HOMO GESTALT의 새 식구로 불러 옵니다.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사는 방법을 배우기도 전에 H.GESTALT에 참여하게 된 제리는 억압된 욕망을 H.GESTALT의 능력을 통해 표출합니다. H.GESTALT의 능력에 sapiens들은 무력합니다. 제리의 눈동자에서 바퀴가 움직이는 모양을 본 sapiens들은 기억과 정신을 빼앗깁니다. 심리치료사의 ego로부터 정신에 관한 지식을 흡수한 제리는 세상사람들을 지배하려 들고, 그 욕망은 충족됩니다.

제리가 주도하는 H.GESTALT의 농락을 받던 힙은 십여년의 세월을 괴롭게 보내다 제리가 타도의 대상이 아닌 치유해야 할 아이인 것을 알게 됩니다. 제리가 힙의 정신을 흡수 하기 직전 힙은 혼신을 다하여 그의 의식에 [3장: 도덕성]을 띄어 놓습니다. 힙의 정신을 흡수하는 순간, 도덕성을 만나게 된 제리는 H.GESTALT가 인류의 발전을 도와 진정으로 새로운 종족을 번성하도록 만드는 소명을 받았음을 깨닫습니다. 부끄러움과 죄책감의 짧은 고통 뒤에 H.GESTALT는 지구 의식에 참여하게 됩니다. 통합성과 아울러 개성을 가진 존재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민수의 문화디자인 - 삶과 철학이 있는 디자인 이야기
김민수 지음 / 다우출판사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내가 敵과 나눠진다. 왼쪽에 서서 오른쪽을 추방하려 한다. 상대편이 中道에서 벗어난 만큼 반대쪽으로 떨어져 그들을 소외시키려 한다. 타도의 날이 강자를 향해 있는 것을 안 지은이는 응원군을 모아 상대방을 격살하려 한다. 융화의 주역을 강자에 맡기지 않으려는 극성스러움, 강자가 깨닫기 전에는 균일만 선연해 질 뿐이다. 김민수 교수는 디자인세계를 보는 반짝이는 견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반짝임이 문화를 덥혀주지 않는다. 이 책에서는 강적의 표현에서 그의 견해를 부각시키는 기교가 드물다. 반짝임은 우파와 통합 후에 전체를 위한 좋은 장식이 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