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의 인생>을 리뷰해주세요
헤세의 인생 - 삶은 아름답고 소중하다 헤르만 헤세 : 사랑, 예술 그리고 인생
헤르만 헤세 지음, 폴커 미켈스 엮음, 이재원 옮김 / 그책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터인가, 시를 읽기 힘들었다. 두꺼운 인문서적은 그래도 가늠이 되는데, 얇은 시집에 도무지 손이 가지 않는다. 가끔 어지러운 방 안, 침대 밑, 책장 밑에서 발견되는 먼지를 자신의 두께만큼 지고 있는 시집들은 비온 뒤 달라붙은 낙엽처럼 성가시기만 했다.  

한때, 낙엽이 찬란한 잎사귀였듯이 시집 역시 내 젊음의 흔적이었음에야 다르지 않을 것을. 그리고 때를 모르는 나무가 그렇듯 지하철 안에서 시집을 펴들기가 쉽지 않았다. 그럴 나이가 되었다고 했지만 그럴 나이가 왜 지금인지는 몰랐다.

<헤세의 인생>은 최초로 헤세의 전집을 편집했던 폴커 미헬스가 <헤세의 사랑>, <헤세의 예술>과 같이 출간한 아포리즘 가운데 한 권이다. 

영혼의 순례자, ‘나’로 살아가기, 모든 아이들은 시인이다, 청춘에 대한 오해, 나이 든다는 것은 이라는 소제목으로 단락을 나눈 책은, 연도 별 혹은 작품 별 구분이 애써 무시되고 있다. 작품의 한 대목이, 주고받은 편지의 한 구절이, 때로는 연도만 밝히기도 한다.

폴커 미헬스가 들은 말이 아닌 읽은 글로 헤세와 대화를 하면서 흥에 겨워 옮기지 않았을까 싶다. 어제와 오늘의 내가 다르고 글을 쓴 목적과 대상이 다르거늘, 자칫 헤세의 온 인생을 걸쳐 나누었던 말 중에서 가려 뽑은 아포리즘은 오해를 사거나 뭉뚱그려질 수도 있겠다 싶지만 ‘헤세’라는 이름보다도 마음을 비우고 흐르는 구름을 보듯이 살랑거리는 나뭇잎을 만지듯이 같이 걸음걸이를 맞춰 읽다보면 문학의 대가, 헤세의 인생을 만나는 게 아니라 지금 내 모습을 반추하게 된다.

구름과 나뭇잎을 통해 바람을 보듯이 말이다. 부러 페이지를 접어 둔 구절을 옮겨 적을까 하다가 그러지 않기로 했다. 책을 가까이 두면서 내 마음을 확인했으면 족하지, 뭘.

시집을 보고 전전긍긍하지 않기로 했다. 의무로 공부하듯이, 애써 짜낸다고 내 안으로 들어올 게 아니라고 마음먹었다. 오히려 먼지처럼 잡으려고 해도 주위를 떠돌던 시어들이 자연스럽게 햇살처럼 깃들 날도 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