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기획자들 - 삭막한 도시를 살 만한 곳으로 바꾸고 있는 삶의 혁명가들
천호균 외 지음 / 소란(케이앤피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서평] 도시기획자들 - 어둠의 도시를 밝히는 그들의 모습이 희망이다.

 

 

우리가 상상하는 도시의 모습은 무엇일까? 어두운 뒷 골목에 유홍가의 불빛이 어울려지면서 아무 상관없이 급하게 지나가는 자도차의 모습,,, 아마도 이러한 상상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도시기획자들은 우리의 공간이 인간과 함께 하는 그리고 삶이 함께 하는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책에서 나오는 기획자들은 책의 축제를 기획한 이채관, 도시의 농부 천호균, 도시에 숲을 만드는 이강오, 이야기의 재생산에 생각하는 오형은, 욕망을 상징화하는 최정한, 청년의 숨결을 불어넣는 김병수, 예술로 새롭게 입히고자 생각하는 유다희이다. 물론 도시의 기획자가 이들 만이 존재할까 하지만 이들의 과감한 도전은 우리 도시도 인간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와우북페스트벌을 만들고 지금까지 주최를 하고 있는 이채관씨는 출판사들의 밀접지역이었던 마포지역을 홍대문화와 결합시켜 새로운 문제의식을 생각하는 기획을 진행하면서 진정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 시간이었다고 말한다. 그는 지역과 저자, 독자, 문화, 예술, 출판사들이 함께 모여 어우러지는 축제만들기를 통해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의 행동만이 도시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원래 가죽유통업을 하다가 남는 조각을 가지고 무엇을 할까 생각하다 가방을 만들면서 (주)쌈지를 만들게 된 천호균대표는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에 대한 고민을 말하고 있다. 그가 인사동의 건물을 인수하고 주변의 공방들을 육성하려는 계획이 비록 어려움에 봉착해 있지만 자신의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생각한다. 

그는 새로운 활로를 위해 공방사장에서 농사꾼으로 변신하였다. 그리고 도시에 농업을 알리고 좋은 먹거리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의 노력이 성공할지는 기다려봐야 하겠지만 항상 새로움에 자신을 시험하고 있는 그의 모습을 통해 도시의 변화가 도전에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서울 숲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이강오씨는 공공의 재구성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생명의 숲 활동을 통해 숲의 건강성을 생각하던 그는 도시에도 숲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숲은 비록 도시 한가운데 있지만 도시의 시민들에게 자연의 모습을 최대한 선사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의 새로운 이야기를 써가고 있는 오형은씨는 매우 재미있는 시도를 하고 있다. 공동체 네트워크의 회복을 생각하고 있는 그는 수원못골시장에서 시장 상인들이 스스로 시장활성화를 만들어가는 사업을 시도했다. 상인방송국을 만들고 시장상인들이 주축이 된 불편불만 합창단을 통해 시장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낯설어하는 이들도 있었고 반대도 있었지만 지금은 수원의 명물이 된 문화가 되었다. 지금은 제물포기찻길옆 동네의 꽃길 조성을 통해 동네사람들과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일들을 만들고 있다. 이렇게 사람들이 한둘 모여 새로운 이야기를 써나갈 때 도시의 삭막함은 사라진다고 말하고 있다.

 

도시의 욕망을 건전하게 풀어가고자 하는 생각을 가진 홍대클럽데이의 창안자 최정한은 도시의 흐름을 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가 도시연대의 사무총장을 하게 되면서 이러한 흐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홍대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기획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홍대문화의 성공이 가져온 상업주의 문화의 문제는 물론 있지만 개인과 공공의 연대라는 틀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소명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한다. 욕망은 도시의 어둠이 아니라 새로운 활력을 위한 충전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오래된 도시 전주에 청년의 활력을 불어너는 청년사회적기업 이음의 대표 김병수는 전주라는 전통에 청년의 힘참을 입히고 있다. 그가 한옥마을 지킴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전통의 재구성이라는 타이틀을 청년이라는 상상을 집어넣음으로서 화석화된 쇠퇴의 도시가 아니라 건강한 새로운 도시로 창도하려 하고 있다. 처음 항교에서 청년들의 공연을 시작하면서 반대도 있었지만 도시의 새로운 건강성을 찾게 해주는 모습에 대해 많은 칭찬을 받게 되면서 새로운 활력의 시도라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공예술을 통해 도시의 활력을 불어넣는 공공미술프리즘의 대표 유다희는 자신의 스승인 임옥상님의 영향과 기획일이 너무 좋아 시작했다고 한다. 그녀는 생활 속 공공미술을 추구한다고 말한다. 처음 벽화사업을 통해 도시와 함께 했던 경험이나 도시의 작은 카페들을 통해 새로운 도전들을 하면서 도시도 아름다울 수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는 삶이 함께 하는 곳이다. 그래서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쌓여야 하는 곳이다. 이곳의 이야기가 더 이상 아무 의미없이 사라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거기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너와 내가 함께 살고 있는 우리들의 이야기가 살아 있는 그런 이야기들을 묶고 있는 책이다. 이런 이야기들이 하나둘 모여 풍성해질 때 아마도 우리 도시는 더 살아 있는 도시가 될 것이다. 으늘도 도시기획자들은 그런 꿈을 꾸며 한걸음 한걸음을 나아가고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