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저자인 알렉상드르 뒤마는 프랑스 왕실을 배경으로 하면서,
자유분방한 상상력과 빠른 화면 전환, 등장인물들에 대한
디테일한 성격묘사 등을 잘하는 뛰어난 작가로 평가 받고 있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역시
알렉상드르 뒤마의 역량이 제대로 발휘 된 소설이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은 성바르톨로메오의 학살 사건을 배경으로
당시 이탈리아 가문 출신의 프랑스 왕비인 카트린트 메디치의 섭정을 통해
프랑스 왕실의 타락상을 잘 보여주는 소설이다.
프랑스는 가톨릭을 믿는 프랑스와 개신교가 국교인 나바르로 양분되어 있었다.
프랑스의 왕 샤를르 9세의 어머니이자 메디치 가문 출신의
프랑스 왕비인 카트린느 메디치(프랑스 앙리 2세의 아내)는
신교도를 제거할 목적으로
딸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를 나바르 공화국의 왕이자
신교도의 수장 앙리 드 나바르와 결혼 시킨다.
결혼식이 있은 뒤, 샤를르 9세는 어머니인 카트린느의 무서운 계략에 따라
신교도 학살을 명령하고 결혼식에 참석했던
나바르의 신교도들은구교도들에게 무참히 학살당하고,
루브르궁은 결혼식에 참석하고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신교도들의 무덤이 된다.
마르그리트는 권력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자신이 결혼한 앙리가 죽으면
자신은 아무런 힘과 권한이 없는 미망인의삶을 살게 될 것을 걱정하면서
남편 ‘앙리’를 도와 신교도 편에 서게 된다.
점술을 믿는 카트린느는 자신의 핏줄이 아닌
앙리가 새로운 왕이 될 것라는 예언을 믿지 않고,
예언대로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앙리를 없애려고 온갖 음모를 꾸미게 되지만,
앙리는 여러 사람의 도움과 빗나간 계획을 통해 살아나게 된다.
소설이 본격적으로 재미있어지는 부분은
카트린느가 앙리를 독살하기 위해 준비했던 수렵 책을
앙리가 아닌 자신의 아들이자 프랑스의 왕인 샤를르가 읽게 되면서다.
자신의 몸이 이상하다는 것을 느낀 샤를르는
르네를 통해 자신이 읽었던 책에 독이 묻어있었다는 것과
자신의 어머니인 카르린느가 앙리를 제거하기 위해 그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상태가 악화 된 샤를르는 앙리에게 왕권을 넘겨준다.
그리곤 내란을 막기 위해 개종한 상태를 유지하는 왕이 되어야 하며,
군대의 힘을 빌려 어머니와 동생에게 맞서라고 당부한다.
샤를르는 어머니 카트린느와 동생 알리송을 불러
앙리에게 왕의 모든 권리와권한을 부여 할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까지 읽었을 때만 해도 우리가 흔히 예상하는 것처럼 왕이 된 앙리가
카트린느와 그의 자식들과 맞서 싸워서 이기고
마르그리트와 함께 행복하게 살 것이라는 뻔한 해피엔딩을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후 이어진 스토리와 에필로그를 통해 드러난
결말은 허탈하다고 느낄만큼 예상이 완전 빗나갔고,
이후 어떻게 전개 될 지에 대한 기대감이 느껴졌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은 겉으로는 많은 분량으로 느껴지지만
한 번 읽게되면 그 다음 전개가
어떻게 될 지 궁금해서 계속 읽게 되는 소설이다.
알렉상드르 뒤마의 뛰어난 표현력과 몰입 하게 되는 대사,
빠른 화면 전환 때문인지 소설 속 모습이 영화의 장면처럼
자연스럽게 연상되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