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58/20/coversum/8937830892_1.jpg)
온다 리쿠,는 이제껏, <삼월의 붉은 구렁을>이 최고의 책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왜 이제서야 <밤의 피크닉>을 읽었던가, 후회도 해본다. <밤의 피크닉>을 읽고 그 오묘하고 환한 분위기에 매료되었는데, 좀더 일찍 그 매력을 알았다면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외면하고 식상해 했을리 없다. 도코노 연작에서 느낄 수 없었던, 유지니아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아름다운 청춘이 이 책에 있다. 온다 리쿠,에 열광하는 이유는 분명히 있었다. 가슴 벅찬 소설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6/41/coversum/8901069474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6/41/coversum/8901069482_2.jpg)
사실은 관심이 쭉- 없다가 몇 편의 리뷰를 읽고 흥미가 동한 작품이다. 역시, 내 취향은 아니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느끼는 거지만, 나는 '추리소설'을 좋아하나 '스릴러소설'은 좋아하지 않는다. 그 둘은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전혀 다른 느낌이다. 악의 영혼은 전형적인 스릴러 소설로 피가 난무하는 작품인데다가, 연쇄살인범이 등장한다. 새로울 것 없는 설정에, 질릴 정도로 소재로 사용된 '단테의 신곡'이 등장한다. 작가인 막심 샤탕이 스물여섯에 쓴 작품이라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조금은 묘사가 부족하고 어설픈 몇 군데의 흐름이 눈에 거슬렸다. 그의 작품이 곧 출간될 예정이라 더 관심이 갔었는데 일단 보류다.
폼페이 최후의 그 날. 왠지 끌린다. 평소 '로마'에 지긋지긋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있던 나는 올커니,하고 집어들었는데 술술 잘 읽히기는 한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 궁금증을 유발하며 진행되던 초반부에서 중반부로 넘어가면서 흡입력은 떨어지고, 이미 다 알고 있는 결말의 나열에 지나지 않은 묘사에 긴장감도 떨어진다. 로버트 해리스라는 작가가 팩션으로 유명하다고 들어 '당신들의 조국'도 덜컥 구입했는데 어떨지 심히 걱정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0/89/coversum/8972883166_1.jpg)
독특한 소설임에는 틀림없다. 이메일, 일기, 편지, 일반적 서술이 두루 사용된 구성상의 특징만으로도 이 소설은 특이하다. 또한 미스터리한 요소와 유머러스한 요소가 절묘하게 결합되어 읽는 내내 궁금증과 피식대는 웃음을 참을 수 없다는 점도 이 소설이 가지는 장점이다. 하지만 억지스러운 설정이 눈에 거슬린다. 캐릭터에 대한 별다른 설명없이 '동기'를 부여하고 독자에게 이해하기를 요구하는 것은 작가의 오만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