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 지식의 한계 세계관 - 과학적 생각의 탄생, 경쟁, 충돌의 역사
리처드 드위트 지음, 김희주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7월
평점 :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이 세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여기서 세계는 단순히 우리 주위의 인간관계, 한국이라는 나라에 국한되는 말이 아닌 이 지구, 우주를 아우르는 말이다. 소설로 예를 들자면 주인공들이 활동하고 사건을 만들어내 는 배경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소설을 볼 때나 들었던 '세계관'이라는 말이 우리가 실제 살고 있는 곳에 적용한다니 새롭다. 우리를 둘러싼 법칙이나 진리가 있을까?
빅뱅을 통해 우주가 생겨났고 그 속에서 생명체를 품을 수 있는 지구가 탄생되었다. 그 작은 행성 위에서 사람들이 어울리며 100년 정도의 시간동안 살다 사라지는 것. 내가 생각하는 우리 세게의 정의이다. 이밖에 어떤 내용이 더 있을까? 또 '당신 지식의 한계 세계관'에서는 세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아리스토텔레스와 뉴턴, 슈뢰딩거 얘기가 나오는 걸 보니 결코 가벼운 내용은 아닐 것이다. 철학과 과학이 합쳐진 깊은 탐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우선은 기술과 과학이 그렇게 발전하지도 않았던 고대 사람들은 어떻게 우리가 사는 세계를 탐구했을지 파헤치는 것부터 시작한다. 우주와 세계의 법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바로 철학자들이다. 그들은 끊임없이 사고하며 우리를 둘러싼 세계에 대해 연구한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 다른 천체의 존재와 공전 등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에 꽤 근접한 것들도 있어 놀라웠다. 기술과 과학이 아닌 철학으로 주위 현상을 연구하고 이해한다니 둘의 연결고리가 의외인 것 같지만 꽤 합리적이고 각 철학자의 의견을 비교하는 것도 재미있다. 이들은 지식의 한계까지 도달한 이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책에선 보다 많은 과학적 지식들을 소개해준다. 철학에서 시작해 21세기 과학까지 도달하기까지, 수많은 이론과 실험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책을 읽다보면 이 많은 과학적 사실들이 어떻게 이어지고 변해왔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세계관을 아는 건 왜 중요할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물체는 본질적 성질과 자연적 성향이 있고 달 아래는 불완전한 장소라고 했다. 하지만 그가 주장한 이런 얘기들은 현대인의 시각으로 보면 분명히 틀리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영향력은 오랜 기간동안 서구 지역을 지배하는 사상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옳다고 믿었다. 그들은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을 믿는 마음과 눈으로 세상을 바라봤고 그렇게 살아왔다. 이는 종교에도 영향을 주고 훗날 지구도 돈다는 의견을 받아들이기 어렵게 만들었다. 견고했던 이 믿음이 현실과 미래에 영향을 끼치며 또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뉴턴의 세계관을 배우며 자란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이 세계관은 틀리지 않을 것인가?

2장과 3장은 21세기까지 논의되는 진리와 과학적 관계에 대해 설명해준다. 과거 철학과 우주에 대한 가설과 사실, 뉴턴의 법칙 등은 익숙했지만 상대성이론이나 양자론은 다소 이해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그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두고 있어 어떤 것인지 파악은 할 수 있었는데 여태 불변한다고 생각했던 우주와 양자들이 과학적으로 파헤쳐지는 걸 보자니 마치 마법을 보는 기분이었다. 실제로 현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은 점점 발전할수록 신의 영역에 가까워지는 건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였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들을 설명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이론이 진리가 될 지, 혹은 틀릴 가능성이 있는지 짚어주어 더 흥미로웠다. 사실 전공자가 아닌 사람에겐 다소 깊고 어려운 내용이라 모두 이해하진 못했지만, 우리가 '과학적'이라고 믿는 이론들도 여전히 많은 가설과 연구가 나오는 중이며 앞으로도 바뀔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학교에서 배우고 책에 적힌 모든 과학적 지식은 검증을 마친 불변하는 진리인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건 내게 새로운 시각을 눈뜨게 만들었다.
과학은 계속해서 바뀐다. 무작정 신뢰하기보다 철학적 관점과 논증으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더 발전시킨 덕이다. 과학이 왜 철학에서 기반되었는지 느껴지는 부분이다. 꽤 먼 미래는 지금 우리가 배우는 세계관과 다른 세계관을 믿고 있을지 모른다. 더 많이, 더 확실히 알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생각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