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 30분 근대 속의 대한제국을 읽다 - 개항부터 한일합병까지 한국사 이면 엿보기
이수광 지음 / 북오션 / 2018년 9월
평점 :
'근대'란, 봉건 시대가 끝난 이후부터 현대 이전의 시기를 말한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대한제국을 건국 했던 고종 이후부터 광복 이전일까? 현대인이 느끼기엔 제일 가까운 시기지만 정작 우리에겐 가장 멀게 느껴지는 시기일지도 모르겠다. 고조선 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하면 당장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있지만 근대에는 아픈 일본의 침략 때문에 우리나라 고유의 모습을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100년도 채 안되어 기간도 짧아 나도 이 시기 우리나라에 대해 알고 있는 건 역사 교과서 몇 줄 뿐이다. 그래서 근대는 어렵고도 신비로운 인식이 남아있는 것 같다.
이 책에선 그런 우리를 근대에 한 발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게 다리 역할을 해 준다. 교과서에선 '~이러이러했다'고 한 줄로 적혀 있던 얘기가 과연 그럴까? 그렇다면 '왜' 그럴까? 질문을 던져 우리가 알고 있던 사실에 살을 붙여 더 풍부한 이야기를 만들어 준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리델 신부는 왜 프랑스 함대를 조선으로 끌고왔는가?' 등 우리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다.', '프랑스 함대가 조선으로 쳐들어왔다'까지만 알고 받아 들여왔다. 근대를 교과서로부터 접해서 그런지 이러한 사실들에 의문을 가질 생각도 못 했는데 이를 하나하나 쪼개 들여다 보니 꽤 흥미로운 얘기들이 많았다.
동시에 교과서라고 해서 여과 하지 않고 무작정 받아들이기만 했던 내 모습을 깨닫고 반성했다. 이 책에서 얘기하는 모든 주제가 분명 처음 듣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분명 들어 본 얘기지만 단편적인 정보만 얻고 '생각'을 하지 않았기에 지금 이런 이야기가 어디에 숨어 있었는지 새삼 놀라워지는 것이다. 나와 같이 무작정 받아들이기만 한 독서를 했다면 이 책을 읽고 새로운 이야기에 놀라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세세하게 풀어주는 이야기 속에서 정말 그랬을지, 왜 그랬을지 다시금 생각해보고 나도 이야기 속에 들어가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하루 30분 근대 속의 대한제국을 읽다' 책을 통해 마냥 막연했던 근대 속 우리나라 모습을 가까이서 지켜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하루에 한 장씩, 30분 책을 읽어도 충분하다. 여러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풀고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줘서 책을 읽은 하루는 대한제국 속에 빠져 지냈다. 대한제국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들을 더 많이 알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