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지능이 인간을 죽이는 날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자동차, 의료, 무기의 치명적 진화
고바야시 마사카즈 지음, 한진아 옮김 / 새로운제안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요새 기술이 발전하면서 AI부문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현재도 휴대폰 속의 시리나 자율주행 자동차, AI스피커, 웬만한 가전제품 등 미래의 산물이라고만 여겨졌던 인공지능이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히 떠오르는 걱정거리가 있다. '인공지능이 자아를 가지게 되어 인간에게 반기를 들면 어쩌지?' 하는 생각. 이미 많은 영화 소재로도 이용되어 왔지만 사실 이것이 가능한 얘기인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우리 곁에 성큼 온 이상, 아무리 어이없는 상상이더라도 위험을 예상해야 한다.
이 책은 옛부터 우리가 가진 그 '인공지능에 대한 고민'을 현실적으로, 과학적으로 차근차근 풀어내준다. 어디서 낭설만 주워 듣고 막연히 두려워하기만 했었는데 '로봇'이란 존재가 우리가 우려하는 만큼 위험한 존재가 아니란 것도 알았다. 기술의 발전에는 이유가 있을 것인데 그것이 단순히 '편하다'는 이유만이 있는 게 아니란 것도 알았다.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나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기계가 대신 일을 해준다는 건 생활의 편함을 넘어서 몸의 일부가 될지도 모르는 아주 중요한 과제이다. 내가 비장애인이고 사는 데 불편함이 없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기술의 발전을 마냥 '사치'라고만 여긴 스스로의 모습을 반성하기도 했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도 익숙한 자율 주행과 의료에 AI가 어떻게 접목되는지, 또 '실제' 문제점은 무엇인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혹은 감수하더라도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지. 객관적인 정보를 받아들이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었다. 표지엔 'AI 유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인공지능의 메커니즘과 개발자들의 생존 매뉴얼!' 이라는 소개 문구가 있어 전문가들이 읽어야 하는 책인가 싶었지만 이런 방면에선 영 초심자인 내가 봐도 차근차근 이해가 잘 되도록 설명이 되어 있다. 현재 기술과 앞으로 발전 가능성에 대해 연관지어 보여주니 쉽고 재미있었다. 또 내심 기계의 발전이 이렇게까지 앞서 있구나, 내가 알고 있던 '기술의 발전'이 이제야 명확히 알게 되었다고 느꼈다. 기계도 학습을 하고 또 적용될 수 있다니 앞으로 기술의 발전이 미래에 어떻게 조정해 나가고 더 발전시킬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