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숫자가 만만해지는 책 - 한 번 배우고 평생 써먹는 숫자 감각 기르기
브라이언 W. 커니핸 지음, 양병찬 옮김 / 어크로스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어릴 때부터 배우고 일상에서도 자주 접하는 수학이지만 '계산'이란 생각만해도 머리가 아파지는 건 여전하다.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해서 남들에게 뽐내고도 싶고 인정받고도 싶은데 수학은 나에게 여전히 가까이하기 어려운 숙제일 뿐이다. 수학을 잘 하는 사람들은 날 때부터 정해진 것 같고 숫자만 보면 머리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가 제대로 수학을 접하는 방법을 알고 나면, 의외로 수학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 학문일지도 모른다. 그에 대한 답은 '숫자가 만만해지는 책'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는 수학은 항상 명확히 떨어지고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계산은 한 치 오차도 없이 정확해야하고 세밀한 숫자일수록 미래까지 정확히 예측해줄 것 같다. 하지만 이건 우리를 포함한 사회 전반에 흔히 깔려있는 착각일 뿐이다. 그리고 이런 착각은 수학을 더 어렵게 느끼도록 한다.
이 책에선 여러가지 재미있는 예시를 들어주는데, 그 중 한 블로거가 '경기 회복 계획'을 포스팅함으로써 벌어지는 사건이 흥미롭다. 국민들에게 배당금을 주는 것이 경기에 이롭다는 것을 계산한 포스팅인데 재밌는 점은 포스팅에 쓰인 계산식이 틀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놀랍게도 포스팅을 본 100명 중, 계산이 틀렸다는 것을 지적한 사람은 2명밖에 없다. 저자는 이를 숫자 감각 마비라고 말하며 너무 커서 평가할 수 없는 숫자에 대해 생각하기보다는, 그냥 무시하거나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큰 숫자를 어려워하는 건 나뿐만이 아니라는 안도감도 듦과 동시에 숫자만 들어가면 무심코 믿고 넘어가 버리는 안일한 모습도 자각되었다. 저자는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이해하기 어려운 큰 수를 작은 수로 치환하여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우리에게 할당되는 몫은 얼마인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따져봄으로써 그 수가 얼만큼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숫자가 만만해지는 책'은 계산을 빠르거나 정확하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마냥 어렵게만 느껴지던 수를 우리에게 가까이, 그리고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뉴스에서 보여지는 그래프나 통계도 어떻게 보여질 지 다르게 나타낼 수 있으며 국민들은 쉽게 휘둘린다는 것도 놀라웠다. 책 속에 들어있는 예시들이 현실성 있고 흥미로워 보이는 것에만 치중한 내 모습도 반성하게 된다.
경제. 기업, 가계 등 일상에서 숫자는 너무나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들에 휩쓸리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