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초등학교(그땐 국민학교)에 다닌던 시절 텔레비전 뉴스엔 늘 시위하는 '폭도'들과 열심히 때려잡는 '경찰'이 나왔다. 무장한 전경들보다 곤봉을 든 청자켓 입은 아저씨들이 맹활약했다. 백골단이라 불린 그들이 훨씬 무자비한 폭력을 휘둘렀다. 그 폭도들은 경찰에게 돌과 화염병을 던지고, 최루탄을 맞고 그랬다. 그땐 그들이 왜 그렇게 돌을 던지는지 몰랐다. 

  

 

 

 

   그때 돌을 던지던 스물세 살의 아직 앳된 청년 종철이는 당시 치안본부(지금의 경찰청)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 조사실에서 받은 불법적인 고문을 못 이기고 1987년 1월 14일 짧지만 영원할 생을 마감했다. 전두환 군사 독재정권의 무자비한 탄압이 계속되는 가운데 그의 죽음은 '6월 항쟁'의 밑거름이 되었다.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고 그의 죽음을 숨기려던 시도가 탈로나 민주화 운동이 더욱 거세게 일어났다. 6월 9일 종철이를 죽인 정권에 항거하는 시위 중에 연세대에 다니던 한열이가 최루탄을 직접 맞고 혼수상태에 빠졌다. 결국 깨어나지 못하고 7월 5일 스물한 살의 짧은 생을 마감한다. 독재타도를 외치는 시위는 들불처럼 번지고 넥타이부대로 상징되는 시민들까지 참여하는 전국적인 시위에 전두환 독재정권은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이는 6.29 선언으로 꼬리를 내리게 된다. 이로써 '미완'의 민주화를 이루게 된다.

  

 

 

     

   종철이와 한열이가 죽고 민주화를 이룬 지 아직 25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먹고살기 바쁘다고 나와 무관한 것처럼 여기면 또다른 종철이와 한열이를 봐야 할지도 모른다. 이들이 지금 살아 있다면 쉰을 바라보는아저씨들이지만, 독재정권에 항거해 민주화 운동을 벌이던 1980년대 당시엔 20대 초반의 젊은 학생들이었다. 수많은 종철이와 한열이가 있었기에 지금이 있다. 그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다.

 

 

 

 

 

 6월 항쟁 - 1987년 민중운동의 장엄한 파노라마
   서중석 지음,

   돌베개, 2011년 10월, 704쪽, 28,000원

  서중석 교수는 "수십 년 싸워서 얻은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남북 화해와 평화가 너무 쉽게 훼손되고 후퇴"하는 지금의 한국 사회를 보면서 시위와 투쟁을 통해 '공동선'을 추구한 선배들의 헌신을 젊은 세대가 잊지 말기를 바람으로 '6월 항쟁'의 전 과정을 생생히 복원하고 그 역사적 의미와 유산을 현재적 시점에서 평가했다.

 

 지금 이 순간의 역사 - 한홍구의 현대사 특강 2
   한홍구 지음, 

   한겨레출판, 2010년 3월, 388쪽, 14,000원

 《특강》에 이은 두 번째 강의로 1980년 광주 항쟁에서 노무현 대통령 서거까지 최근 30년의 역사를 다뤘다.

 특강 - 한홍구의 한국 현대사 이야기
   한홍구 지음,

   한겨레출판, 2009년 3월, 392쪽, 14,000원 

   뉴라이트, 간첩, 토건족, 헌법, 민영화, 괴담, 경찰의 폭력, 사교육, 촛불 지금 우리가 짚어봐야 할 한국 현대사의 8가지 쟁점에 대해 살펴본다.

 

 

  

 100℃ - 뜨거운 기억, 6월 민주항쟁
   
최규석 지음,

   창비, 2009년 6월, 211쪽, 12,000원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만화로 생생하게 그렸다.

 

 

 

 87년 6월 항쟁 - 비타 악티바(개념사 13)
   김원 지음,

   책세상, 2009년 8월, 190쪽, 8,500원

   1987년 6월을 각기 다른 위치에서 경험한 가상의 인물들(대학생 출신 노동자, 대학생, 부산에서 시위에 참여한 배달 노동자, 기자 등)을 등장시켜, 그들이 1인칭 화자로서 토로하는 이야기를 통해 87년의 기억을 재구성했다.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 - 광주학살과 서울올림픽(전 4권)
   강준만 지음,

   인물과사상사, 2003년 5월, 300쪽 내외, 각권 12,000원

   1980년 계엄령 선포와 신군부의 광주 학살이라는 비극으로 시작된 1980년대를 시간순으로 긴박하게 펼쳐낸다.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정해구 지음,

   역사비평사, 2011년 5월, 264쪽, 13,000원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물론 1980년대를 지배한 전두환 정권의 정치·경제·사회도 아울러 서술함으로써 20세기 끝자락의 한국 사회를 들여다본다.

  
   

 젊음이여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 시대의 격랑을 헤쳐나간 젊은 영혼들의 기록
   황광우 지음,

   창비, 2007년 6월, 224쪽, 11,000원

   6월 항쟁 20주년을 앞두고 지난 격변의 시대를 성찰해 보는 책. 광주항쟁 전후부터 6월 항쟁까지 시대의 거센 파고를 뚫고 나간 젊은 영혼들의 고난의 행로를 생생히 기록했다.

 

 

 야만시대의 기록 - 고문의 한국 현대사 (전3권)
   박원순 지음, 

   역사비평사, 2006년 10월, 543, 442, 635쪽, 각권 25,000원

   한국 고문의 역사를 최초로 파헤친 인권변호사 박원순의 기념비적인 노작. 일제 강점기부터 노무현 정권까지 각종 신문 자료와 잡지, 단행본, 논문 등을 총망라하여 자료들을 모았고, 그를 토대로 국내외의 다양한 고문 사례들을 통사적으로 정리해낸 최초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