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전부터 익히 명성은 들어왔으나 한번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다가 결국 못읽었었다. 그러다 우연히 친구 책장에 꽂혀 있는 이 책을 작심하고 빌려보았다. 도대체 어떤 작품이길래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걸까.

책을 읽으면서 만약 좀더 내가 어린 나이에 읽었다면 훨씬 더 재미있게 읽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혹시, 너무 심취했다가 나도 누군가처럼 살인자가 될지도 모르겠지만...-_-)

책은 재미있게 읽었다. 읽다보니, 존 레논의 암살범이 왜 이 책을 읽고 살인자가 되었는지 이해할 것도 같다. 그 배경은 잘 모르겠지만, 그의 눈에 존 레논이 '위선, 가식' 적인 인물로 비추어졌던 걸지도.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스스로에게 어떤 설득력을 갖게 되었으리라.

이 책을 빌려준 친구가 홀든의 세상을 대하는 방식이 나를 닮았다고 했다. 어떤 의도로 한 말인지 충분히 알겠더라.^^;;

홀든보다 어른인 나는 홀든의 행위와 행동들이 약간 치기어리게 느껴졌다. 그는 또래 아이들보다 많은 생각을 하고, 정신적으로 성숙한 듯 보인다. 그러나 세상을 향한 그의 예리한 시각과는 달리, 그는 현실 속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반복되는 유급과 티학, 게다가 그는 남성적인 힘과 매력을 지니지도 못했다. 그의 세상을 대하는 방식은, 그런 자신에 대한 변명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확실히 세상은 순수한 사람의 영혼을 바닥부터 갉아먹어버릭노 하지만 때론 그런 세상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들은 소외된 그들을 위로하기도 한다.

"내가 잘못된 것이 아니야. 세상이 잘못된 거야. 저놈들이 나쁜 거라구" 하면서 말이다. 소설 속에서 홀든의 자아는 서서히 무너져 내린다. 그리고 결국 그는 정신병원에 가게 된다. (사실 정신병원에 간 결말은 좀 생뚱맞게 느껴졌다. 그의 순수성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나?)

중학교 시절 일기를 읽어보면, 나는 종종 '진짜 나'와 '가짜 나'의 경계선에 대해 고민했던 것 같다. 지금 내가 행동하는 것이 진짜 나의 모습일까 아닐까... 하는 생각. 난 내가 누군가의 시선을 의식하여, 타인의 눈에 그럴듯하게 보이도록 행동하는 스스로의 모습에 대해 경멸감 같은 감정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경멸감과는 다르게, 나 역시 종종 그런 식으로 행동하고 있었고, 쓸데없는 말을 덧붙이며 '잘난척'을 하기도 했다. 그런 행동 뒤에 바로 스스로를 부끄러워하고..

'진짜 나'와 '가짜 나'의 경계라.. 아직도 잘 모르겠다.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내가 진짜 나인지, 아니면 어떤 의도를 갖고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나를 조종하던 내가 진짜 나인 것인지..

아무튼, 이 책을 읽으며 예전의 내 모습도 떠올려보고, 이런 저런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