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유곤 옮김 / 문학사상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군대에서 휴가 나온 한 친구가 자신은 같은 책이 두 권이라며 내게 이 책을 휙 던져주었다. 책을 읽지 않는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주어서 책꽂이에 얌전히 모셔두게만 하는 것보다는 그래도 내가 읽는 게 나을 것이라고 하면서. 하지만 그 친구의 기대와 다르게 난 몇 년 동안 이 책을 책꽂이에 '얌전히 모셔두기만'했었다.;; 그리고 책장 정리를 하다가 우연히 손에 잡힌 이 책을 읽기 시작한 것이 바로 며칠 전이었다.
나는 하루키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아, 좋았다!'라고 느꼈던 적이 별로 없었다.('상실의 시대'와 여행기 '먼 북소리'를 제외하고) 불행하게도(?) 내 주변엔 온통 하루키의 열렬한 팬들 뿐이어서, 그들은 이런 나의 감상을 납득하지 못하곤 한다. "왜 별루인데?"라고 묻는 그들의 질문에 내 대답은 궁색하기 그지없다.
그의 책을 그렇게 많이 읽었던 건 아니지만,(지금 곰곰히 생각해보니 수많은 그의 책들 중 그래도 여섯, 일곱 권은 읽었던 듯) 그의 소설들을 읽으면 항상 공중에서 겅중겅중 발을 조금씩 움직이며 이동하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 실체와 환상의 경계가 모호한 그의 많은 소설들은 내게 손으로 직접 만져 그 질감을 확인할 수 있는 실재감을 주지 못한다. 그러다보니, 등장인물의 슬픔과 아픔과 고독 역시 잘 공감할 수가 없다.(단순히 환상적인 요소가 섞였다고 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의 소설 속에서 흔히 등장하는, 조금은 퇴폐적이면서 일반적인 도덕률에 얽매이지 않는 인물들을 볼 때면, 고지식한 모범생이 억지로 맞지 않은 옷을 입고 있는 것 같아 안쓰러운 느낌마저 든다.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는 그의 다른 소설들처럼 역시 술술 잘 읽힌다. 그러나 '새 문학을 지향하는 하루키의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책 표지의 극찬과는 다르게,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3인칭으로 바뀌었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차별성을 느낄 수가 없었다.
무미건조한 감정으로 이 책을 죽 읽어나갔지만, 마지막 단편인 '벌꿀 파이' 만큼은 무척 마음에 들었다.
주인공이 사라라는 이름의 여자아이에게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곰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면이 무척 귀엽기도 했지만, 서른이 넘은 나이가 되어서도 여전히 '학창 시절이 이어지는 것처럼 느끼'며 20대 초반에 해결되지 못한 내면적 문제에 전전긍긍하는 우유부단한 주인공의 모습에 무척 마음이 아팠다. 책 뒤편에 실린 인텨뷰 글에서 하루키는 '벌꿀 파이'에 등장하는 주인공 쥰페이가 자신과는 다른 타입의 소설가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소설집에서는 '벌꿀 파이'가 그의 진솔한 자전적 이야기에 가장 가깝게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