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애 소설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가네시로 카즈키. 그의 이름은 일본 영화 <GO>를 보면서 처음 접했다. 재일 한국인의 삶과 정체성이라는 묵직한 소재를 이야기하면서도 굉장히 유머러스하고 유쾌했던 그 영화를 난 정말 재미있게 보았다.
(물론 주인공 쿠보츠카 요스케의 매력이 한몫 단단히 하기도 했다.-_-)
이 영화는 가네시로 카즈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데 바로 작가의 자전적 스토리이기도 하다.
내가 남원으로 출장을 다녀오며 읽었던 <연애소설>은 최근에 나온 가네시로 카즈키의 소설, 아니 소설집이다.
<연애소설>, <영원의 환>, <꽃>이라는 세편의 소설이 묶여 있는 이 책은 특이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연작소설도 아니고, 옴니버스 형식도 아니지만 묘하게 세 편의 소설이 겹쳐지며 연결되어 있다. 세 편 모두 어느 대학의 법학부를 무대로 이야기가 펼쳐지며, 인기 교수인 다니무라 교수가 등장 또는 언급된다.
공통점은 또 있다. 세 편 모두 절절한 러브스토리를 담고 있지만, 그 사랑은 현재 진행중인 사랑이 아니라 이미 비극으로 끝난 기억 속의 사랑이다. 그 과거의 사랑은 낯선 타인과 타인이 만나 대화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과거의 상처는 조심스럽게 위로 받거나 치유된다.
이 책을 읽고 후에 <Go>도 읽었는데.. <GO>가 그러했듯 이 책은 쉽고 재미있게 읽히지만 가벼워 보이지는 않는다.
사실 작품성으로 보나, ‘재일문학’의 연장선 상에서의 위치나 공헌도(?) 면에서 볼 때 <연애소설>이 데뷔작인 <Go>보다 무게감 있는 소설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감성을 좀더 세련되게 표현하는 작가의 솜씨는 능숙해졌다. <GO>에서 보여주었던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 있는 입담은 줄었지만, 책 전반에 흐르는 멜랑꼬리한 분위기가 마음에 든다. (개인적으로 요런 분위기에 약하다.;;)
다른 사람에게 그의 소설을 ‘강추!’해야 할 필요성은 못 느끼겠지만,
내 개인적 취향엔 잘 맞는 거 같다.
마음에 들었던 구절 몇 개..
“굳이 말로 표현할 필요는 없었다. 중요하고 소중한 일은 약하디 약한 얼음 조각 같은 것이고, 말이란 망치 같은 것이다. 잘 보이려고 자꾸 망치질을 하다 보면, 얼음 조각은 여기저기 금이 가면서 끝내는 부서져 버린다. 정말 중요한 일은, 말해서는 안 된다. 몸이란 그릇에 얌전히 잠재워 두어야 한다. 그렇다. 마지막 불길에 불살라질 때까지. 그때 비로소 얼음 조각은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보이며 몸과 더불어 천천히 녹아 흐른다.”
“귀가 아플 정도의 침묵.”
->아, 정말 공감 가는 표현. 난 이 귀가 아플 정도의 불편한 침묵을 잘 견디지 못한다. 그럴 경우, 나도 알지 못하는 이야기를 마구마구 떠든다. 특히 편하지 않은 사람일 경우 더욱 그렇다. 그리고 바로 후회한다.-_-;;
“내게 어떤 힘이 작용한 것일까? 그의 운명? 나의 운명? 아직 만나지 않은 누군가의 운명? 아니면, 달의 힘? 어떤 것이든, 싱겁게 흘러가는 시간의 힘에 지배되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았다. 만약 운명이란 게 있다면, 나는 생각했다. 운명은 언젠가 내게 소중한 것을 줘놓고는, 또 언젠가 가차없이 그것을 빼앗아가 버릴 것인가? 아니면, 벌써 이미? 나는 오른손을 꽉 쥐었다가 다시 천천히 폈다.”
“나는 지금, 분명하게 생각한다. 언젠가, 내게 소중한 사람을 만나게 되리라고. 그리고 그 사람을 살아있게 하기 위해서, 그 손을 절대 놓지 않으리라고. 그렇다. 설사 사자가 덮친다 해도. 결국은 소중한 사람의 손을 찾아 그 손을 꼭 잡고 있기 위해서, 오직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이 싱겁게 흘러가는 시간을 그럭저럭 살고 있다. 그렇지 않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