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니코 일기 5
마리 오자와 지음, 정혜영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어떤 사람이 이런 말을 했더란다. 아무도 욕을 하지 않는다면 미련 없이 몽땅 갖다버리고 싶은 것이 ‘가족’이라고.

내 주변의 사람들에게서도 그런 비슷한 뉘앙스의 말을 종종 듣는다. 그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에 대해 난 어떤 도덕적 비난의 말을 할 수도 없고 하고 싶지도 않다. 비교적 안정된 가정의 평범한(?) 부모 아래에서 성장한 나 역시 가족이 지긋지긋하게 느껴질 때가 있으니 말이다.

내가 ‘결혼’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은 이유 중 하나에 그런 지긋지긋한 가족이란 존재를 더 늘리고 싶지 않다는 것도 포함된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자신과 혈연이나 어떤 법적 관계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한 꼬마를 가족으로 받아들이게 된 여자가 있다. 독신으로 자유로운 싱글 생활을 하고 있는 방송작가 케이가 그녀다.

그녀는 8년 전 어느 유명 여배우의 매니저로 일을 했었는데, 임신을 한 여배우의 출산을 비밀리에 도운 적이 있었다. 그런데 몇 년 동안 연락 한번 없던 그 여배우가 처치(?) 곤란해진 숨겨둔 딸 니코를 그녀에게 보내버린 것.

표면상으로 보면 케이와 니코는 일종의 계약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니코의 엄마인 시노 미후유가 케이에게 매달 양육비와 수고비를 보내주고, 케이는 시노 미후유 대신 니코를 돌본다.

그러나 ‘give & take'가 확실한, 그 살벌해 보이는 관계도 그 사이에 오고가는 어떤 감정의 교류 때문에 다른 색채를 띠게 된다.

엄마의 사랑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자란 니코는 ‘케이 언니가 세상에서 제일 좋아.’라고 말하고, 케이는 프로포즈하는 남자 대신 자신이 딸처럼 여기는 니코를 선택한다.

그들은 혈연관계도 아니고 그 어떤 법으로도 단단하게 묶여있지 않은 관계이다. 언젠가는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떠나게 되리라는 것을 아는, 그야말로 불안정한 관계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둘의 관계는 타성에 젖지 않고 더욱더 애틋하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완전하게 마음을 여는 데는 얼마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걸까.

내 경우는 꽤 오래 걸리는 편이다. 오래 걸릴뿐더러 너무나도 까다로워 아주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문이 잘 열리지도 않는다.
아마 누구나 그럴 것이다.

그러나 ‘내 사람’이라고 느낀 사람과 주고받는 감정의 기쁨이란 것이 어떤 것인지는 안다.
그것은 사람을 꽤 착하게 만든다.
(어쩌면 정말로 ‘함께가는세상’ 덕분에 정서적으로 순화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사랑은 없다, 우정은 없다, 모든 것은 허상이며 우리는 모두 허깨비를 쫓고 있는 것이라고 시니컬하게 내뱉는 것이 쿨하고 멋지다고 생각했던 시절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그저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불쌍해 보일 뿐이다.

물론 완벽하게 충족감을 주는 관계란 없다. 사람이란 원래가 완벽하지 못하고 이기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모든 관계란 ‘give & take'의 기본바탕 위에 이루어지는 타산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을지 모르지만, 너무 까다롭게 굴며 따지지 않으련다.

지금 이 순간 그 사람이 있어 나의 외로움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다면, 그리하여 우리 둘 모두 행복하다면 그것으로 충분한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