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였더라.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가 온 나라에 열풍을 일으켰던 때가. 그때, 난 꽤나 많은 베스트 셀러들을 탐독하는 문학소녀(?)였지만, 유독 그 책은 읽지 않았었다. 분명히 읽기 위해 펼쳐든 기억은 나는데, 무슨 이유였는지 몇장 읽지도 않고 그만 덮어버렸다. 만화의 세계에 입문하던 그 시절, 더 급히 읽고 싶었던 다른 만화책에 밀려 우선순위에 밀려버렸거나 누군가에게 빌렸다가 다시 돌려줘야 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한국 도서계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 작가의 책을 난 단 한권도 읽지 않았었다. (실제로 베르나르는 자신의 조국인 프랑스에서보다 한국에서 더 많은 책을 팔았다고 한다. 그에 감복한 그는 자신의 작품에 언제나 한국인을 등장시키는 등 한국인의 사랑에 열렬히 보답한다나?;;; 이 책에서도 한 마음착하고 현명한 젊은 한국여자가 등장한다.)
내가 하고 있는 일 때문에 이 책을 읽어야 했다. 서점에서 베스트셀러 코너에서 <나무>를 찾는데, 도무지 보이지 않았다. 이상하다 싶어 두리번 거리는데, 정문의 바로 앞쪽에 <나무>를 위한 코너를 따로 마련한 것이 아닌가. 베르베르의 힘인 것인가, 마케팅의 힘인 것인가.
이 책은 18개의 짧은 단편(꽁트에 더 가까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책의 엄청난 판매고에 비해, 많은 이들이 혹평을 했는데 그것은 좀 식상하게 느껴지는 상상력의 전개와 책의 가벼움 때문일 것이다.
글쎄, 이 작가에 대해 기대치가 없었기 때문인지, 아주 좋았다...까지는 아니더라도 난 재미있게 읽었다. 조경란이었던가.(하성란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전에 누군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가 누구냐고 질문에 대해 그녀는 좀 싱거운 답을 했는데, 바로 자신은 모든 작가들을 다 존경한다는 대답이었다. 글을 쓰는 일이 얼마나 힘이 드는 일인지 너무도 잘 알기 때문이라나.
아직 난 허접한 작가 지망생일 뿐이지만, 책을 읽을 때 독자보다는 작가라는 입장에서 읽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재미있고 새롭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다.
마치 나무의 수많은 가지가 한 기둥에서 자연스럽게 뻗어나가듯, 현실 속의 작은 동기를 놓치지 않고 작가는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끌고 나가본다. 그건, 그가 '지금부터 글을 쓰는 시간이다.'라는 생각하에 글을 쓴다기 보다는 24시간 끊임없이 자신이 소설가라는 인식아래 작은 재료 하나 하나를 주워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베르나르가 참 부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