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자다움의 사회학 - 남자를 지배하는 ‘남자라는 생각’
필 바커 지음, 장영재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3월
평점 :


- 사실 첫 표지에선 이미지가 확 끌어당겨 보였습니다. 뭔가 남자다움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마초적이고 강인한 인상, 힘센 수컷..등등 이런 느낌에 대해 고찰하는 내용인 것 같다고 생각했죠. 게다가 사회학이란 제목이 붙어있길래 사회학자분께서 쓰신 글인가 했더니 그건 아니었어요. 어쩐지 쉽게 씌여졌다고 생각했죠. 저자분은 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라고 하더군요.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남자다움이 뭔지, 남자다움을 어떻게 배워왔으며, 진정 남자다움이 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어요. 전 여자로서 부모님은 아들을 어떤 식으로 키우실까 궁금했는데, 여기선 이런 예시를 보여주더군요. '뭔가를 하다 넘어졌을 때 무릎에서 피가나는 소년은 부모의 어떤 터치나 스킨십이 없단 점이죠. 단지 '괜찮아, 부러진데는 없어, 씨씩한 아이가 되어야지, 씩씩한 아이는 울지 않아.'라는 식으로 사내아이한테는 그런 식으로 교육을 하더군요. 그래서 남자아이는 어렸을 때부터 강한 아이로 성장할 수 밖에 없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여성끼리는 신체적 접촉이 자연스러운데 반해, 남성끼리는 그러한 접촉이 부자연스럽거나 거의 보기 힘들더군요. 신체적 접촉은 절대 부정적인 감정보단 긍정적인 감정의 효과가 좋은데 남성 혹은 남성끼리는 아무래도 거리감을 가지게 되더군요. 길을 지나가다보면 신체적 접촉이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아보이더군요. 신체적 접촉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자긍심을 북돋아주는 장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경쟁 사이로 보는 까닭이 더 강해서 그러한 접촉은 꺼려보이는 듯 합니다. 게다가 끼스런 게이는 따돌림이나 놀림을 받기 쉽지만, 마초적이고 강인한 인사의 게이는 오히려 친구들사이에서 추앙받거나 같이 재밌게 어울리기도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차별이 있을 줄은 몰랐네요. 뒷 장의 요약정리 부분이 있는데 간략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듯 보였어요. 낯선 외국 용어를 익숙치는 않아서 끝까지 읽진 못했지만, 영화<소년은 울지 않는다>에 나오는 힐러리 스웽크가 떠올랐습니다. 여자들이 생각하는 남성이미지는 그런 사회적 성역할을 부여받는 게 아닐런지, 다시금 남성과 성별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상 남자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해보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치겠습니다. :)
#사회학 #남자다움의사회학 #소소의책출판사께감사드립니다
